•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Preservatives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9초

경단구슬모자반(Sargassum muticum)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argassum muticum Extracts)

  • 김지영;이정아;김길남;윤원종;이욱재;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63-669
    • /
    • 2007
  • 본 연구는 갈조류인 모자반속 중에서 경단구슬모자반(Sargassum muticum)을 대상으로 에탄올추출 및 용매분획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그 상관성 등을 조사함으로써 식품 저장성이나 안전성을 향상하기위한 식품첨가제나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경단구슬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의 항산화활성은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활성도 비례해서 증가되었으며, 특히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항산화활성이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항균활성은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에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이 본 실험에 사용된 6종의 균주 모두에서 가장 효율적인 항균활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경단구슬모자반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별 항산화 및 항균활성 결과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한편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디클로로메탄 분획물>부탄올 분획물>헥산 분획물>에탄올 추출물>수용성 분획물순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디클로로메탄 분획물>헥산 분획물>부탄올 분획물>에탄올추출물>수용성 분획물 순으로 나타났다.

천연 식품 첨가물 개발 및 연구동향 (Trends in Development and Research of Natural Food Additives)

  • 이형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994년도 하계 학술 심포지움
    • /
    • pp.17-22
    • /
    • 1994
  • Food additives are minor components which are used to enhance nutritive or sensory values, and to improve shelf life of foods. In foods, natural additives are preferred over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s because of concern on food safety. Many biotechnological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food additives since the biotechnology has been utilized to prodyce many flavor components such as glutamate, 5'-nucleotides, esters, 2,3-bytadione, pyrazines, terpenes, and lactones. Natural flavors, fragrances, sweetners, and colorants can be produced by plant cell culture. Many lactic acid bacteria produce bacteriocins such as nisin or diplococcin. These bacteriocins are used as safe preservatives in foods and many researches on the improvenment of bacteriocin productivity by genetic engineering are in progress.

  • PDF

콘택트렌즈용 다목적용액(MPS)의 세포증식저해 및 실험용 토끼 각막에 미치는 영향 (The Cytotoxicity and Effect on the Experimental Rabbit Cornea of Soft Contact Lens Multi-Purpose Solution (MPS))

  • 고은경;채수철;박수경;김덕송;이종빈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3호
    • /
    • pp.141-153
    • /
    • 2006
  • 본 연구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인 다목적용액 (multi-purpose solution, MPS)이 세포에 미치는 증식저해정도와 실험용 토끼눈의 각막 상피 및 내피조직에 미치는 손상정도를 비교 관찰하고자 시행하였다. MPS는 $ReNu^{(R)}$ (Baush & Lomb, USA), Opti-free $express^{(R)}$ (Alcon, USA), Free-sol $plus^{(R)}$ (Hanamedicon, Korea)를 사용하였다. 세포증식 저해율은 L929세포주를 배양 후 MTT assay로 검정하였고, 형태학적으로는 광학 현미경과 Hematoxylin & Eosin staining 표본을 제작하여 관찰하였다. In vivo 실험은 백색 가토 9마리 (18안)를 3군으로 분류하여 실험군인 좌안(9안)에는 각 MPS제품을, 대조군인 우안(9안)에는 보존제가 포함되지 않은 멸균생리식염수를 점안하였다. 일정기간 점안 후, 실험용 토끼눈의 각막표면을 Rose bengal로 염색하여 관찰하였고 각막상피 및 내피조직의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으로 관찰하였다. 세포증식 저해율은 각각 54, 73, 36%로 나타났으며, 형태학적 변화는 L929세포주의 일반적인 형태와 달리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위축되었다. Rose bengal 염색 결과, 각 실험군은 대조군과 달리 전반적으로 붉게 염색되었고 주사전자현미경 (SEM)관찰 결과, 각막상피는 다각형 모자이크(polygonal mosaic)형태의 균일도가 감소하였고, 각막내피 또한 형태가 불규칙하였으며 섬유아세포만 국소적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MPS의 항미생물의 효과와 더불어 생체세포의 안전성면에서 고려해 볼 때 합성보존제의 농도개선과 세포독성이 없는 새로운 보존제 개발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REPARATION OF MULTIFUNCTIONAL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AND ITS APPLICATION IN COSMETICS.

  • Ryu, Chang-Suk;Kim, Hyung-Bae;Kim, Jeong-Ha;Jo, Byoung-Kee;Suh, Sang-Bong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9-95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ater-soluble chitosan with a molecular weight of 5,000-200,000. Water-soluble chitosans have demonstrated a regular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tested strians by the paper disk method. In the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CC-01 (MW=5,000) with the lower MW showed the higher MIC value than the higher MW chitosan. The MW of chitosan increase, the MIC decreases. MICs of 4 chitosans(CC-02∼CC-05) against S. aureusTCC 65389, E coli ATCC 8739, p. aeruginosa, ATCC 9027 and C. albicans ,ATCC 10231 were 7.0-39.O$\mu\textrm{m}$, whereas MICs of chitosans against A. niger were over 2.OmM. Formula containing chitosan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the formula made with the chemical preservatives(Methylparaben 0.2% and Imidazolidinyl Urea 0.3%). Among 5 water-soluble chitosans, CC-03(MW=92,163) showed the most potent anti-oxidative activity (IC$\sub$50/ : 0.2mM). In conclusion, the water-soluble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could be served as natural preservatives and antioxidant in cosmetics.

  • PDF

감초와 향신료 물추출물의 향균 및 항산화능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icorice and Spice Water Extracts)

  • 박추자;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93-79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eservatives, in which licorice and spices (clove, fennel fruit and Chungyang green pepper)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 extracts were tested for their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The polyphenol contents of the water extracts from licorice, clove, fennel fruit and Chungyang green pepper were 17.4, 21.4, 6.6, and 0.9 mg/g, respectively. The water extracts from licorice and clove demonstra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 of the water extracts from the licorice and other spices ranged from 60 to 88% at 1,000 ppm; the highest value was for the licorice followed by fennel fruit, clove, and green pepper. The xanthine oxidase inhibition ratio (XOD) of the extracts ranged from 28 to 50% at 1,000 ppm, where the highest value occured in the cloves, followed by fennel fruit, green pepper, and licorice.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ranged from 33 to 53% at 1,000 ppm, and the highest value was for the licorice followed by cloves, fennel fruit, and green pepper.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NSA) at 1,000 ppm of the clove and fennel fruit water extracts were 95% and 65% at pH 1.2, respectively. The NSAs of the extracts were highest at pH 1.2,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Considering all the obtained results, we have concluded that licorice and spice extracts can be used as natural preservatives in the development of health foods.

붉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균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Rhus javanica L fruit)

  • 장덕영;양재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45-15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붉나무 열매 Ethanol extract(ET)과 Ethyl acetate fraction(EA) 및 Butanol fraction(BT)을 천연보존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을 측정 하였다.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E. coli), Pseudomonas aeruginosa(P. aeruginosa), Candida Albicans(Candida. A)에 대하여 Paper disc법으로 생육저해환과 최소저해농도(MIC)를 평가하였다. Paper disc법으로 생육저해환을 측정한 결과 ET, EA, BT 모든 시료에서 S. aureus, S. epidermidis, E. coli, P. aeruginosa 균주에서 생육저해환이 관찰되었고 BT에서는 Candida. A 균주에 대한 생육저해환이 추가로 관찰 되었다. MIC 측정결과 EA 시료가 S. aureus, S. epidermidis, E. coli, P. aeruginosa 대하여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붉나무 열매 추출물이 다양한 항균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에서 천연보존제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 된다.

식품유해균에 대한 홍국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onascus koji extracts)

  • 김은영;류미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6-81
    • /
    • 2008
  •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색소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Monascus 균주 중 붉은 색소 생산력이 높은 6종의 Monascus 균주(M. araneosus KFRI 00371, M. kaoliang ATCC 46597, M. pilosus IFO 4520, M. purpureus IFO 4482, M. ruber IFO 32318 및 M. sp. ATCC 16437)로 홍국을 제조하고 색소 추출력이 높은 70% 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6종의 Gram 양성균(Clostridium botulinum, Bacillus subtilis, B.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Micrococcus luteus, Listeria monocytogens), 3종의 Gram 음성균(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roteus vulgaris), 2종의 효모(Saccaromyces cerevisiae, Candida albicans) 및 1종의 곰팡이(Aspergillus flavus)에 대한 항균활성과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M. kaoliang ATCC 46597과 M. purpureus IFO 4482가 B. subtilis, B. cereus, M.luteus, S. aureus 및 S. typhimurium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균주 중 M. purpureus IFO 4482가 M. kaoliang ATCC 46597에 비해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대표적 식중독균의 하나인 S. typhimurium에 대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M.kaoliang ATCC 46597과 M. purpureus IFO 4482의 시험 미생물 증식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에 따른 증식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배양 48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천연의 붉은색을 띄는 홍국 추출물이 식품의 천연착색제 및 보존제 소재로의 적용 가능성이 나타났다.

구실잣밤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Extracts)

  • 김지영;윤원종;임은영;박수영;김영주;송관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0-207
    • /
    • 2011
  • 본 연구는 구실잣밤나무를 식품 저장성이나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식품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실잣밤나무의 잎을 에탄올로 추출하고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였다. 먼저, 항산화활성으로 DPPH 소거활성,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 그리고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을 농도별로 조사한 결과 다른 분획물에 비해 Bacillus sublit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그리고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높은 활성을 띠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때, 구실잣밤나무 잎 추출물은 식품 보존제의 개발에 적합할 수 있다고 사료 된다.

사물탕 재료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능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amultang Ingredient Extracts)

  • 최미애;김미림;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2-5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relates to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eservatives. Here, Samultang ingredients (Rehmannia glutinosa, Cnidium officinale, Paeonia lactiflora and Angelica gigas)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70% ethanol, and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test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s were found in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aeonia lactiflora (100 g) at 843.2 mg and 721.1 mg, respectively (p<0.05). The ethanol extract of Cnidium officinale demonstra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and that from Paeonia lactiflora against S. aureu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 of the water extracts ranged from 67 to 84%, and those of the ethanol extracts ranged from 68 to 84% at 1,000 ppm.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of the water extracts ranged from 47 to 50%, and those of the ethanol extracts ranged from 50 to 56% at 1,000 ppm.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NSA) of the water extracts at 1,000 ppm of the water extracts ranged from 30 to 49%, and those of the ethanol extracts ranged from 42 to 54% at pH 1.2, respectively. The NSAs of the extracts were highest at pH 1.2, and then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The highest levels of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ccurred with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aeonia lactiflora, which ha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among the Samultang ingredients. Over all, the ethanol extracts of the Samultang ingredients had higher activities than the water extracts. Considering the combined results, one can conclude that Samultang ingredient extracts would be useful as natural preservatives in the development of health foods.

가공조건에 따른 marta rosemary의 항균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arta Rosemary under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 최혜련;손선영;최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0-54
    • /
    • 2005
  • 천연식품보존료의 개발을 목적으로 marta rosemary의 항균활성을 조건을 달리하여 조사하였다. 균주에 따른 에탄올 추출 marta rosemary의 항균성은 S. typhimurium과 B. subtilis에 대하여 높았다. 용매별 항균성은 극성이 작은 butanol과 hexane 추출액에서 높았고. 수용액에서의 항균 활성은 pH 7에서 가장 높았다. 허브의 미생물의 생육억제 양상은 B. subtilis에 대하여 저 농도에서는 유도기 지연형, 고농도에서는 유도기 지연 및 비증 식속도 억제형이었으며 S. typhimurium은 농도에 관계없이 비 증식속도 억제형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낮은 pH 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항균물질의 $100^{\circ}C$에서의 열안정성은 가열시간이 길수록 허브의 항균력이 저하되었고 $121^{\circ}C$에서 15분간의 열처리로 인한 허브의 항균력은 B. subtilis보다 S. typhimurium에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