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archives

검색결과 2,665건 처리시간 0.029초

표준기록관리시스템(RMS)의 기능 현황 및 발전방향 10년의 운영 경험과 기능 개선 사항을 중심으로 (Functional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 유영문
    • 기록학연구
    • /
    • 제57호
    • /
    • pp.235-279
    • /
    • 2018
  • 전자기록물이 중앙행정기관에서 생산된 후 국가기록원까지 이관되고 있다. 전자기록물에 하자 또는 오류가 없는 경우에 범정부 전자기록관리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도출되었고, 현재도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남아 있다. 그 중심에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이 있고, 지속적인 기능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본고에서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기록관리 기능에 대한 기능별 개선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이 중 중요 사안은 기능 개선된 배경이나 사유 및 개선 사항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발전방향을 기록관리 종사자의 인식전환, 사용자와 개발자 간의 협력 강화, 메타데이터 품질 개선, 유관시스템 연계, 기록관리 자동화 및 IT 환경 변화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광역자치단체의 정부간행물 납본과 보존 관리 개선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Deposit Copy and Preservation of Government Publications in Regional Local Government)

  • 김소량;이명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9-147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광역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정부간행물의 납본과 보존 관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정부간행물의 납본과 보존 관리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광역자치단체의 정부간행물 보유 목록을 파악하고, 기록물관리전문요원과 사서에게 인터뷰를 시행한다. 조사하는 동안, 정부간행물의 발행 목록 현황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자치단체의 보유 목록과 국가기록원에 납본된 납본 목록이 일치하는 정부 간행물이 적었다. 이에 개선안으로는 정부간행물의 소장목록의 서식을 만들고, 정부간행물의 비공개와 부분공개의 요소를 구성하고, 정부간행물의 등록과 통보를 의무화하고, 기록물관리전문요원과 처리과 담당자의 업무분장에 정부간행물 관리를 명시하며, 정부간행물의 관리 교육을 받도록 권장한다.

Clin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 Kim, Sue Min;Cha, Bohwan;Jeong, Kwang Sik;Ha, Non Hyeon;Park, Myong Chul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6권5호
    • /
    • pp.414-420
    • /
    • 2019
  • Backgroun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CMT) is characterized by persistent head tilt toward the affected side. No consensus exists regarding the cause of this disorder. In this study, we analyzed various clin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CMT who were treated with surgical release. This analysis enabled us to identify potential causative factors of CMT and to establish a basis for surgical interventions. Methods In total, 584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intervention for CMT from October 2007 to December 2016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irthrelated factors, and clinical features were analyzed. Results Data from 525 patient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after exclusion of those with insufficient information. Before birth, 31 patients (5.9%) were diagnosed with oligohydramnios, and 87 (16.6%) had a breech presentation. Seven (1.3%) cases of clavicle fracture and two (0.4%) cases of cephalohematoma were noted at birth. Before surgery, 397 patients (75.6%) underwent physiotherapy and 128 patients (24.4%) did not. The duration of physiotherapy ranged from 1 to 50 months (average, 6 months). Conclusions Our study shows that 16.6% of the CMT patients presented in the breech position, which is a much higher rate than that observed in the general population (3%-4%). We hypothesize that being in the breech position as a fetus appears to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shortening and fibrosis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 dual padding method for ischial pressure sore reconstruction with an inf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fasciocutaneous flap and a split inferior gluteus maximus muscle flap

  • Ku, Inhoe;Lee, Gordon K.;Yoon, Saehoon;Jeong, Euicheol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6권5호
    • /
    • pp.455-461
    • /
    • 2019
  • Background Various surgical management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ischial sore reconstruction, yet it has the highest recurrence rate of all pressure ulcer types. A novel approach combining the advantages of a perforator-based fasciocutaneous flap and a muscle flap is expected to resolve the disadvantages of previously introduced surgical methods. Methods Fifteen patients with ischial pressure ulcers with chronic osteomyelitis or bursitis, who underwent reconstructive procedures with an inf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IGAP) fasciocutaneous flap and a split inferior gluteus maximus muscle flap from January 2011 to June 2016,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split muscle flap was rotated to obliterate the deep ischial defect, managing the osteomyelitis or bursitis, and the IGAP fasciocutaneous flap was rotated or advanced to cover the superficial layer. The patients' age, sex, presence of bursitis or osteomyelitis, surgical details, complications, follow-up period, and ischial sore recurrence were reviewed. Results All ischial pressure ulcers were successfully reconstructed without any flap los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12.9 months (range, 3-35 months). Of 15 patients, one had a recurrent ulcer 10 months postoperatively, which was repaired by re-advancing the previously elevated fasciocutaneous flap. Conclusions The dual-flap procedure with an IGAP fasciocutaneous flap and split inferior gluteus maximus muscle flap for ischial pressure ulcer reconstruction is a useful method that combines the useful characteristics of perforator and muscle flaps, providing thick dual padding with sufficient vascularization while minimizing donor morbidity and vascular pedicle injury.

전자기록 장기보존 위험관리 사례 (A Case Study on the Risk Management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Business Activities Related to Electronic Records)

  • 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39호
    • /
    • pp.3-43
    • /
    • 2014
  • 이 논문에서는 2010년 국가기록원에서 DRAMBORA(Digital Repository Audit Method Based on Risk Assessment) 프레임워크를 응용하여 전자기록 장기보존 업무에 대해 점검했던 사례를 상세히 제시하고 있다. 국가기록원은 2010년 전자기록 장기보존 업무에 관련하여 총 44개의 위험요소를 도출하여 정의하였고, 업무담당자들의 평가를 거쳐 위험도 등급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고위험도를 지닌 2개의 위험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관리방안을 개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NR04 '기록정보의 무결성 손실' 위험요소에 대한 사전관리방안, 사후관리방안, 비상대책조직, 재난선포 주체와 기준, 개인임무카드 개발 내역을 소개하고 있다. 이 논문 내용을 통해 기록관리자들은 위험관리 기법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기록관리 기관들은 중요 업무관리 방법으로 위험관리 기법을 수용할지 점검하는데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폐지기관 기록물관리제도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rds Management for Dissolved Agencies)

  • 김송이;이영학
    • 기록학연구
    • /
    • 제51호
    • /
    • pp.5-44
    • /
    • 2017
  • 공공기록물은 공공행정의 효율성과 민주성을 증명하는 동시에, 국민으로 하여금 이를 확인하고 감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알권리를 충족시켜주는 수단이다. 그러나 폐지기관은 존속기한 설정으로 인해, 생산한 기록물을 등록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분실 위험이 크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본 연구는 폐지기관 기록물관리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현황파악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논문은 폐지기관 기록물관리 제도를 기관별 관리현황과 관련 법령 지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폐지기관과 국가기록원을 대상으로 기록물관리 기반 구축 현황과 관련 정책에 관한 인터뷰를 진행했고, 현행 폐지기관 기록물관리 관련 법조항과 지침사항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법령 지침의 실효성 문제와 폐지기관의 기록물관리업무에 대한 인프라 구축 미흡, 국가기록원의 소극적인 대응방식 등을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관련 법령과 지침의 보완, 폐지기관 내 기록물관리업무의 전문성 강화, 유관기관간의 협의 감독 체계 구축 등 크게 세 가지 방향의 개선책을 제안하였다.

이미지의 시대 기록전시와 사진기록 (Archival Exhibitions and Photographs in the Age of the Image)

  • 조민지
    • 기록학연구
    • /
    • 제39호
    • /
    • pp.73-100
    • /
    • 2014
  • 한 사회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지난 과거의 기억을 현재화하여 문화적 기억으로 생산해내는 것을 필요로 한다. 과거와 현재가 갖는 시간적 격차에 의한 망각의 상황은 흔히 기념일이나 기념 공간 등으로 현재화되고 있다. 각기 반영하는 재현 형식은 다르지만 지나간 과거가 어떻게 기억되고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와 관련되어 있다. 기록, 특히 국가가 확보한 진본 기록은 지나간 현재에 대하여 지금의 현재에 설득이 가능한 증거라는 존재론적 특징을 가지며 근원적 객관성에서 연원한 신뢰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이 가진 이러한 엄정함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는 시각적 전시 행위를 통해 구체적 기억의 촉발성을 구현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재현 공간에서 과거를 이해하는데 국가 기록, 특히 사진기록의 의미와 전시 활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청남대 건립 관련 잔존 기록물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urvived Records Related to Building Cheongnamdae)

  • 정상희
    • 기록학연구
    • /
    • 제47호
    • /
    • pp.161-193
    • /
    • 2016
  • 청남대는 1983년에 건립되어 2003년까지 대통령 별장으로 사용된 공공건축물이다. 그렇다면 건립과정에서 공공기록물이 생산되었을 것이다. 공공기관의 기록물은 보존기간 동안 관리되다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당시 보존기간표를 고려하면, 청남대 건립 시작부터 완공까지 설명책임성을 보여줄 기록물은 남아 있지 않을 확률이 크다. 그렇지만 보존기간과 상관없이 기록물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확인해 볼 필요는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이 연구는 청남대 건립 관련 기록물의 잔존여부 조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건립과정에서 생산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그것을 생산 또는 보존하고 있을 것으로 짐작되는 공공기관에 잔존 기록물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이 결과를 가지고, 기존 공공건축물의 기록물 수집전략을 제언하고, 앞으로 세워질 공공건축물의 기록물 관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인지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멀티노드 채널 랑데부 알고리즘 (A Multi-Node Channel Rendezvous Algorithm in Cognitive Radio Ad-hoc Networks)

  • 성진욱;이봉환;양동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453-461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비효율적인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연구되고 있는 CRAHNs(Cognitive Radio Ad-hoc Networks)환경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전에 다수의 노드들이 여러 채널 중 하나의 공통 채널에서 만나는 연구에 초점을 맞춘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두 개 노드의 채널 랑데부를 다루는데, 이를 3개 이상의 노드들에 적용하면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통신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3개 이상의 다수 노드들이 빠른 시간 내에 하나의 채널에서 만나게 해주는 MNSEQ(Multi-Node Sequence)를 제안한다. 또한, 랑데부 후 데이터 교환을 위해 CSMA/CA 기법을 적용하였다. 기존 두 개의 노드 기반 랑데부 기법과 MNSEQ를 통신완료시간 및 전송의 효율성 관점에서 성능평가를 수행하여 MNSEQ가 기존의 기법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Comparison of the outcomes of nasal bone reduction using serial imaging

  • Lee, Cho Long;Yang, Ho Jik;Hwang, Young Joong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93-198
    • /
    • 2021
  • Background: Nasal bone fractures are frequently encountered in clinical practice. Although fracture reduction is simple and correction requires a short operative time, low patient satisfaction and relatively high complication rates remain issues for many surgeons. These challenges may result from inaccuracies in fracture recognition and assessment or inappropriate surgical planning. Findings from immediate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and those performed at 4 to 6 weeks postoperatively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outcomes of nasal fracture reduction.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patients diagnosed with nasal bone fractures at our department who underwent closed reduction surgery.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additional CT scan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Clinical examinations, patient records, and radiographic images were evaluated in 20 patients with nasal bone fractures. Results: CT findings from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a 1month follow-up were compared in 20 patients. Satisfactory nasal projection and aesthetically acceptable results were observed in patients with accurate correction or mild overcorrection, while undercorrection was associated with unfavorable results. Conclusion: Closed reduction surgery for correcting nasal bone fractures usually provides acceptable outcomes with relatively few complications. If available, immediate postoperative CT scans are recommended to guide surgeons in the choice of whether to perform secondary adjustments if the initial results are unsatisfactory. Based on photogrammetric data, nasal bone reduction with accurate correction or mild overcorrection achieved acceptable and stable outcomes at 1 month postoperatively. Therefore, when upward dislocation is observed on postoperative CT, one can simply observe without a subsequent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