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Territorial Us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1초

융복합 공간정보의 국토계획 분야 활용가능성 분석 - LH 국토·주택관련 미래사업 예시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he Possibility for Using Converged Spatial Information(CSI) in National Territorial Planning - The Case Study of LH's Future Business about Land and Housing)

  • 최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71-81
    • /
    • 2013
  • 공간정보의 폭발적 증가와 공간정보 활용 기술의 발전으로 국토의 비교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정보와 도시계획 및 부동산 정보 융복합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토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융복합 공간정보의 장래 국토공간 계획 및 이용 활용도를 전망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국토, 주택분야 공기업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장래 2029년까지 6대 분야별 미래사업을 도출하였다. 또한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한 7종의 융복합 공간정보의 미래사업 분야별 활용도를 설문조사하여 국토주택개발 분야의 미래 활용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3D, 모바일 데이터, 정형 빅데이터, 지오센서, 참여형 공간정보 순으로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업분야에서는 도시 및 지역개발이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융복합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해서는 토지이용 이외에 해양이용, 연안이용, 지하공간 등 균형있는 국토이용 공간정보의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ACTIVITIES OF AMALGAMATED TERRITORIAL COMMUNITIES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 THE EXPERIENCE OF UKRAINE AND THE EU STATES

  • Ridei, Nataliia;Bakhmat, Oleh;Plahtiy, Danylo;Polova, Olena;Holovnia, Yul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9호
    • /
    • pp.323-331
    • /
    • 2021
  • The relevance of the study implies the need to explain the main determinants of environmental policy, allowing countries to converge on a common working basi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plore ways in which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EU regions and territories can be shaped to apply to domestic environmental policy. A total of 997 representatives from the Ukrainian UTCs, who are involved in local environmental policy,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of the research. A hierarchy of regional environmental policy objectives has been identified. Three key principles of eco-policy development have been distinguished. The means of the innovative approach strategy implementation have been outlined (formation of the regional market of environmental services; organization of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al agencies and market structures;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funds which finance environmental activities; implementation of the "collateral return" system; formation of a system of benefits and loans to enterprises that successfully implement the environmental policy). The means of the prognostic approach implementation strategy to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s environmental policy have been determined (the use of an orderly and successful long-term strategy of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gion; obligatory consideration in the mechanisms strategy aimed at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of the region, interbranch impact of the projects implemented on the region's ecological situ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conomic and geographical peculiarities of the region, the necessary infrastructure, issues of the territorial location of the large enterprises in the region and their impact on the environment). The means of the traditional approach strategy implementation have been outlined (activity programs focused on solution of specific problems, rather than on the implementation of measures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enhancement; nature conservation problems have interbranch, interdepartmental character due to unity of the region's ecosystem; tracking complexity of changing conditions (water basins, woodlands, air-mass transport), regional boundaries generally do not coincide with natural ecosystems boundaries).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certain aspects of Ukrainian UTC's environmental policy.

디지털국토통계지도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Digital National Survey Map System)

  • 이종용;안종천;조성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0-70
    • /
    • 2006
  • 2004년에 실제적인 서비스가 시작된 국토통계지도는 각종 국가 통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지만 기존 국토통계지도 시스템은 안정성과 다양한 기능성이 부족하였다. 이를 개선해 2005년에 개선된 국토통계지도 시스템은 기존의 약 8배의 공간데이터를 처리하면서도 단 하나의 통합지도만을 사용하며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안정성 면에서도 개선 되게 되었다. 여러 사정들로 인해 기존 파일구조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을 도입할 수는 없었지만 기존 시스템에서 개선된 형태의 파일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공간자료와 동적으로 연결되어 각 공간자료들을 각각의 인덱스(연도, 지표, 지역 등)만을 가지는 자료로 독립시켰으며 이를 통해 인덱스 관리, 검색 시스템 등 DBMS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구조를 파일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었다. 공간자료가 각 단위 시스템에 자료를 요청하면 각 시스템 엔진들이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시스템은 향후 DBMS도입을 위한 중간자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독도를 포함한 우리 지도를 보다 상세히 수정하여 보다 현실적인 국토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 PDF

한국에서 해저지명 부여를 위한 활동 (Activities on Naming Undersea Features in Korea)

  • 성효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00-622
    • /
    • 2006
  • 해저지형에 대해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지명을 부여하는 것은 해양학과 관련된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들끼리 의사소통을 원활이 하며 그 연구결과의 활용이나 해도 사용에 혼동을 초래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수적인 작업이다. 따라서 각 국가나 국제기구에서는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해저지명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대한민국도 영해 범위 내에서나 EEZ 또는 공해상에 해저지명을 부여하기 위한 여러 활동을 전개하여 왔다. 본 연구는 최근 대한민국에서 해저지형에 지명을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 연구 내용은 첫째, 한국에서 해저지명을 부여하는 활동들을 역사적으로 조명하고, 둘째 해양지명 표준화를 위한 지침개발 내용을 소개하며, 셋째, 그 동안 과학적 탐사가 종료되어 SCUFN(국제수로국 산하 해저지명 소위원회)에 제안할 동해에 위치하고 있는 14개의 해저지형의 특색을 밝히고, 마지막으로 체계적 해저지명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미래계획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목표계획법을 활용한 군 공역 및 사격장 할당 모형 연구 (A Study of Allocation of Military Airspace and Range Using Goal Programming)

  • 류현민;이문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63-77
    • /
    • 2015
  • The territorial air that our sovereignty is being applied to is divided into several zones and areas. In order to use and manage them effectively, these zones and areas have laws, regulations and rules. The number of airspaces (MOA : Military Operation Area) and Ranges that are used in the military are limited and many airbases are being used for training. Currently the central department manages some, and the rest are independent airbases. Therefore, efficient allocation is not performed and the result occurs where airspaces and ranges are allocated unnecessarily. This is increasing the workload of staff leading to unnecessary re-work. To slove problem, this study proposed models for allocating airspaces and ranges using goal programming with multi-objective functions of minimizing the deviations of the target values.

Information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to Ensuring the Economic Security of the State in the Banking Sphere

  • Shemayeva, Luidmila;Hladkykh, Dmytro;Mihus, Iryna;Onofriichuk, Andrii;Onofriichuk, Vitali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spc호
    • /
    • pp.477-482
    • /
    • 2021
  • The existing approaches to ensuring the banking security of the state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peculiarities of the banking system in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economy (increasing uncertainty, imbalance and nonlinearity of processes in the banking system under the influence of innovation, institutions, information asymmetry, etc.).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determining the synergetic effec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regulatory influence of the state on the development of innovation processes related to informatization in the banking system, based on the use of differential equations and modelling the sensitivity of innovation processes related to informatization in the banking system, to the regulatory influence of the state to prevent the deployment of risks and threats to economic security of the state in this area has been suggested in the present article.

붉은배새매($Accipiter$ $soloensis$)의 번식기 세력권 추정 (Territory Size of Breeding Chinese Sparrowhawks($Accipiter$ $soloensis$) in Korea)

  • 최창용;남현영;이우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6-191
    • /
    • 2012
  • 붉은배새매($Accipiter$ $soloensis$)는 국내에서 가장 흔히 번식하는 맹금류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이 종의 번식기 공간이용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붉은배새매의 번식기 세력권과 행동권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번식하는 6쌍(2005년 4쌍, 2006년 2쌍)의 수컷을 6월부터 7월까지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수컷이 3회 이상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주요 지점과 명확한 세력권 방어 행동을 보이는 지점을 확인하고, 이를 GI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확인된 $25.2{\pm}5.3$개 지점을 중심으로 100% 최소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붉은배새매의 번식기 세력권은 $4.62{\pm}0.90$ ha, 행동권은 $22.57{\pm}5.12$ ha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붉은배새매의 세력권과 행동권은 비록 기존에 보고된 값보다 넓었으나, 전체 번식기에 걸쳐 이용하는 절대적인 공간 규모가 여전히 작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붉은배새매가 먹이를 제공할 수 있는 좁은 서식지, 특히 0.6-2.0 ha에 불과한 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 변화나 자원 고갈에도 상당히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관찰을 통한 세력권 추정에 해당하지만, 붉은배새매의 보전과 관리,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중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공간 빅데이터를 위한 동태적 시각화 모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ynamic Visualization Model for Spatial Big Data)

  • 김동한;김다윗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70
    • /
    • 2018
  • 빅데이터 시대로 진입하게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생산 및 공유되어지는 무수한 양의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데이터와 발전된 기술을 통해 국토와 도시 공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전통적 방식에서 보여주지 못하던 새로운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이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틀을 넘어서는 정보의 구득 방식, 활용 및 전달을 위한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방법과 수단이 필요하며 이를 공공의 의사결정의 지원수단으로 활용하려는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 이 연구는 국토도시계획지원(planning support)의 한 수단으로 공간 빅데이터의 동태적 시각화 모형의 개발과 실증적용에 주요한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주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터 시각화의 개념과 의미와 함께 계획지원 또는 의사결정에서의 공간 빅데이터 시각화의 적용이 가지는 효용성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공간 빅데이터 동태적 시각화 모형을 개발하고, 제주도를 대상으로 실증적용을 수행하였다. 도시 공간의 현황 파악과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의 시각화 자체는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빅데이터와 새로운 시각화 툴을 활용할 경우 기존의 방식과는 차별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계획지원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의 활용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Parks in the Direction of Providing of the Purposes Achieve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 Melnychenko, Anatolii;Shevchuk, Nataliia;Babiy, Irina;Blyznyuk, Tetyana;Akimova, Ol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7-14
    • /
    • 2022
  • The presented research is devoted to the problems of achieving the goals of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parks and their transformation into eco-industrial parks. The importance of the functioning of industrial parks and their transformation into eco-industrial ones in the direction of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s substantiate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parks and their transformation through the coordination of dynamic development process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 due to the peculiarities of their functioning aimed at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ensure the achievement of sustainable spatial development.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parks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tax revenues of local budgets, increasing employment in the regions, raising public awareness of the nee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efficient production, increasing the balance and harmony of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modernization of territorial communities and regional enterprises resources and increase entrepreneurial initiative, rational use of available resources, intensific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cluding innovation. The authors' scientific achievements are the substantiation of the principles of functioning of industrial park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are based on a systematic approach and provide for the transformation into eco-industrial parks.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Estimation of Economic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Kazakhstan's Experience

  • NURLANOVA, Nailya K.;OMAROV, Akedil K.;SATPAYEVA, Zaira T.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4호
    • /
    • pp.317-324
    • /
    • 2020
  •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economic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ystematization of scientists view on monitoring and economic and innovative evaluation, analysis and diagnosis of factors affecting these processes. 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level of innovative resources development obtained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azakhstan regions. Calculations were done based on official statistics during 2010 and 2015-2017. Based on obtained data there has been grading of the country regions and their ratings were determined by the level of development of innovative resources. This research identifies areas and mechanisms to ensure balance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The findings suggest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state is affected by the innovative activity of the region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which is ensured by innovative enterprises. Transition to the model of sustainable territorial development involves the formation of such conditions and the use of mechanisms under which the natural base of this development is not destroyed, the environment suitable for human existence is preserved and reproduc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pport for pursuing a national policy of reducing regional imbalances, and promoting a more balance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whole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