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Repository Library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공공도서관협력망을 이용한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Repository Library and Repository Library by Using of Public Library Cooperative Network)

  • 강현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9-53
    • /
    • 2006
  • 오늘날 급속한 인쇄출판물의 증가에 따라 도서관계는 심각한 장서의 소장공간 부족문제를 겪고 있다. 문제해결방안 도출을 위해 먼저 해외 주요국의 자료공동보존 실태를 소개하구 국내사례로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보존관과 국립디지털 도서관의 자료보존서고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발행한 "공공도서관협력망 운영실태 자료집 2005"를 기초로 하여 국내 공공도서관간 자료보존 협력 및 운영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고는 도서관계의 소장공간 부족문제 해결방안으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앙관으로 하고 487개 공공도서관이 참여하는 $\lceil$공공도서관협력만$\rfloor$ 활용하여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설립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Analysis of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26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계법령, 국가정책, 도서관계의 인식도, 실제 수장공간의 측면에서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은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모형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광역시도는 공동보존서고 건립에 문화정책의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국가도서관 지역분관 건립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nch Establishment Planning of National Library)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1-34
    • /
    • 2006
  •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국가도서관은 정부가 설립 운영하는 국립도서관으로서, 자국에서 생산 유통되는 모든 유형의 정보자료를 수집 보존하여 당대의 국민에게 제공하고. 완벽하게 전수하여 후대의 접근과 이용을 보장해야 하는 책무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문화선진국은 석러 지역에 위치하는 분산형 국가도서관시스템을 운영하는데 비하여 한국은 서울중심의 완전 집중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집중형 국가도서관 시스템을 집중-분산형으로 재편하기 위한 논거를 도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국립 지역분관 건립을 위한 중장기기본계획을 제시하였다.

The COAPI Cats: The Current State of Open Access Repository Movement and Policy Documentations

  • Roy, Bijan K.;Biswas, Subal C.;Mukhopadhyay, Parthasarath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69-84
    • /
    • 2016
  • The paper investigates open access (OA) self archiving policies of different Open Access Repositories (OARs) of COAPI (Coalition of Open Access Policy Institutions) founder members as reported in June 2011 (i.e. a total of 22 members against a total of 46 COPAI members as reported by Open Biomed (http://openbiomed.info/2011/08/coapi-cats/). The paper consulted three databases (OpenDOAR, ROAR and ROARMAP) in order to evaluate twenty-two (22) COAPI-members OARs self archiving policy documentations and highlights of some progress on issues so far. After analyzing policy documentations, key findings have been highlighted and common practices have been suggested in line with global recommendations and best practice guidelines 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for strengthening national research systems. The paper has implications for administrators, funding agencies, policy makers and professional librarians in devising institute specific self archiving policies for their own organization.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설립.운영의 중요성 및 타당성 (Importance and Feasibility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Academic Libraries)

  • 윤희윤;이재민;김일영;최은종;이경희;박금화;전승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9-50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설립 운영의 중요성을 검토하고 타당성을 논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설립 운영의 중요성은 도서관 수장공간, 국가 지식정보관리, 사례분석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설립 운영의 타당성은 지구촌 지식정보의 출판 유통, 도서관 관계법령의 법리, 범정부 학술정보관리의 정책, 도서관 수장공간의 현실적 측면에서 논증하였다. 그 결과, 권역별 내지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설립 운영은 중요하고 타당한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을 위한 공동보존서고 모형을 조속히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Open Access Repository)

  • 곽승진;신재민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4호
    • /
    • pp.67-96
    • /
    • 2008
  •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는 법적, 경제적, 기술적 장벽 없이 전 세계 이용자 누구라도 자유롭게 무료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생산자와 이용자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지식정보 저장소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 리포지터리(dCollection, DSpace@MIT)와 주제별 리포지터리(arXiv, PubMed Central)로 구분하여 각 리포지터리에서 제공하는 기능분석과 비교를 실시하였고 분석된 자료를 기초로 이용자 중심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공유가 중요시 되는 웹 2.0시대라 불리고 있는 현 시점에서,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서 향후 구축되는 리포지터리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오픈액세스를 위한 리포지터리 시스템에 대한 수요 분석과 경제적 가치 측정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of a Self Archiving and Journal Repository System for Open Access)

  • 권나현;표순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9-203
    • /
    • 2022
  • 본 연구는 국가오픈액세스플랫폼(AccessON)의 개인 연구저작물 리포지터리인 Self Archiving과 학회의 Journal Repository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측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조사와 서비스 수혜자 및 관계자 15명과의 심층면담, 국내 연구자 1,31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가치 측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Self Archiving의 가치는 시간가치법을 적용하여 연구자 개인의 연간 절감 시간가치를 측정하였다. 국내 연구자들의 실제 학술활동에 기반하여 연구자 시간당 인건비, 국내생산 OA 논문 편수 등과 같은 요소들을 측정한 후, 연도별 이용 목표치를 토대로 총 수요를 추정하여 총 가치를 산출하였다. Journal Repository는 시장유추법을 적용하여, 상용 서비스의 객단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절감비용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총 사업기간 8년 동안 Self Archiving의 가치는 1억 450만 원, Journal Repository는 312억 원으로 산출되었다. 두 서비스의 총 가치는 8년간 총 313.5억 원, 연평균 390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OA 환경 구축을 위한 핵심 전략인 개인 및 학회 리포지터리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를 핵심 수혜자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추정했다는 데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ata Repositories in the Field of Ecological Research

  • Kim, Suntae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2호
    • /
    • pp.139-143
    • /
    • 2021
  • In this study, data repository information registered in re3data (re3data.org), a research data registry, was collected. Based on collected data, the current status was analyzed for 354 repositories (approximately 14% of total repositories) in the field using keywords in the ecological field suggested by two experts. Major metadata formats used to describe data in ecological research data repositories include 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 Content Standard for Digital Geospatial Metadata (FGDC/CSDGM), Dublin Core, ISO 19115, Ecological Metadata Language (EML), Directory Interchange Format (DIF), Darwin Core, Data Documentation Initiative (DDI), and DataCite Metadata Schema. The number of ecological repositories according to country is 102 in the US, 34 in Germany, 31 in Canada, and one in Korea. A total of 771 non-profit organizations and 12 for-profit organizations are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ecological field research data repository. Data version control ratio of the ecological field research data repositories registered in re3data was analyzed to be somewhat higher (86.6%) than the total ratio (83.9%).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policies to build and operate a research data repository in the ecological field.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운영 모형 연구 - 부산·경남지역 국립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University Librarie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National Universities in Busan/Gyeongnam area)

  • 강은영;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5-129
    • /
    • 2018
  • 최근 지역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자료의 공동보존을 위한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으나 이는 대체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움직임이다. 이에 이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국립대학도서관을 위한 공동보존서고 건립 운영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 참여도서관 보존서고의 규모와 시설, 운영정책, 장서량과 이관현황, 포화상태 등을 조사하고 이관예정자료의 규모를 추산하는 등 현황분석을 실시한 다음, 2) 건립형태, 조직과 인력, 자료이관지침, 자료정리와 배가, 자료제공 등 공동보존서고 건립 운영 모형을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Evaluating Service Quality in Special Subject Repository: Focused on the 5·18 Archives

  • Lee, Dae-Hong;Hong, Hyun 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85-10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analyze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the users by evaluati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rchives, which is a representative,special subject repository, using the SERVQUAL model. To do this,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such as service satisfaction of the archive users, overall service quality and intention of the action. Through this, this study developed service evaluation factors by considering the special subject reposi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