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Police

검색결과 790건 처리시간 0.033초

요인의 안전을 위한 경호조직 분석 및 발전 방안 (The Current VIP Guard System and Its Development)

  • 오세용;김창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81-98
    • /
    • 2003
  • In modern society, there are diverse sorts of VIPs including a king and individuals. Some like a king or president are in need of professional secret services, and others become VIPs by being guarded by a bodyguard company at their own request. The former is called a public guard, and the latter is a private one. In the field of the public guard, the nation should be furnished with a guard system in consideration of political circumstances to protect VIPs. That is,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and presidential system call for a different guard system, and the guard system's professional features vary to some degree with political situations and cultural climate. If the ultimate goal of guard is to protect the chief of the democratic and open state in a most efficient and safe manner, it's mandatorily necessary to set up a professional and specialized guard organization to provide democratic and efficient secret services. It's desired that the domestic presidential guard division should be staffed with not only expert guards but other personnels dispatched from the military and police. In the police, guard mission is splitted among various guard and security agencies, including the National Police Agency's public security bureau or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s public security division, 101 security unit, mobile police and 22 special guard division. As a chain of command is separated and it's difficult to manage such organizations effectively, the National Police Agency should be exclusively in charge of VIP guard and security. In the area of private guard, the private police system has shared national security task as a middle organization between the private police and private guard. But now its intent has gradually weakened, and its mission should be redefined. In addition, the way people look at private guard should change, and they should be well informed that it could serve to prevent possible crimes, protect them against crimes and get rid of their inconveniences. To make a good impression on people, the guard associations and businesses should put their efforts into reinforcing publicity activities, and the government, academic circles and press should team up with them as well.

영국 치안기구의 역할분담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Role Sharing Policing Organization in Britain)

  • 서진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3호
    • /
    • pp.117-144
    • /
    • 2000
  • Not only has there been movement along the sectoral continuum, Johnston argues, but changes in the spatial balance of policing are also visible. More concretely, he suggests that British policing has been undergoing a century-long process that has gathered pace since the 1960s. Three factors have been central to this process. First, legislative centralization brought about by the Police Act 1964 - which established the tripartite structure for police governance and amalgamated forces - and the Local Government Act 1972 which reorganized local government. Secondly, the political and industrial unrest of the 1970s and early 1980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new levels of national police co-operation and, in the words of one author, to the establishment of a 'de facto national police force'. Thirdly, increasing European influence has further internationalized police co-operation and organization. Johnston concludes that the spatial restructuring that appears to be taking place in British policing is indicative of a broader process of fragmentation of social structures and systems for maintaining order.

  • PDF

청원경찰 채용 개선방안 (Improvement plan for Recruitment of Private Police Guards)

  • Kim, Sangwoon;Shin, Jaeh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19-227
    • /
    • 2016
  • 이 연구는 청원경찰의 채용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연구로서, 청원경찰 채용의 공정성을 확보하여 우수한 청원경찰을 선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청원경찰은 청원주의 요청에 의하여 해당지역 내에서 경찰활동을 하는 것으로서 민간경비와 달리 국가주요시설에서 경찰의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특수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채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재 청원경찰의 채용은 비공개채용, 면접위주의 채용, 면접위원의 구성문제 등으로 채용상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청원경찰 공개채용 의무규정 마련, 경비시설의 특성을 고려한 체력검정 또는 필기시험 등 도입, 면접위원 구성 시 외부위원 위촉 의무화를 해결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국내 해상보안 위협의 유형별 특성과 대응방안 (A Study on the Feature and Countermeasure on Maritime Security threats in Korea)

  • 임희준;김동혁;손현민;이은방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99-104
    • /
    • 2003
  • 미국에서 발생한 항공기 테러 사건이후 해상의 보안위험성이 높게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해상범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상보안위험의 현황을 파악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상보안위협을 예방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자치경찰의 대형재난 대응 개선방안 (Measures for Improving Response of Autonomous Police Against Mass Disasters)

  • 이재민;신재헌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481-489
    • /
    • 2023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따른 재난대응 실태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의 연구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완성을 위하여 경찰의 재난대응 매뉴얼과 관련 통계자료, 법령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치경찰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각 지역의 실정에 맞도록 경찰을 운용하게 되었는데, 대형 재난 발생 시 대규모 인력이 동원 상황 발생 시 대응에 대하여 여전히 의문을 가지고 있다. 대형 대난 발생 시 자치경찰의 역할이 대하여 살펴본 결과, 현재 경찰이 대형재난 발생 시 대형재난 현장에서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현장 통제 및 추가적인 재난 피해 예방, 요구호자 구조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그러나, 자치경찰의 경우 대규모 재난에 대응하기가 쉽지않은 구조 탓에 대형재난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결론:이 연구에서는 대형 재난 발생 시 기본적인 경찰의 재난현장 통제 및 2차 피해 예방활동과 함께 인근 지역 자치경찰과 협동 재난 대응 활동 및 컨트롤 타워 등 제안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였다.

경찰공무원에서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기질 및 성격 특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Character Dimension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olice Officers)

  • 이정현;김옥주;남윤영;신정하;이희봉;김지애;심민영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1-68
    • /
    • 2015
  • Objective : Police officers are exposed to job-related traumatic events and have a high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TSD symptoms and dimension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police officers. Method : Thirty-six police officers participating in a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were enrolled. All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a demographic questionnaire,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and other self-reported symptoms scales. Results : Among all participants (age $40.8{\pm}10.2$, men 94.4%), the rat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group' was 47.2%. After controlling for confounding factors, lower self-directedness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PTSD symptoms (${\beta}=0.6$, p=0.03)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 Character traits, especially self-directedness, were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PTSD symptoms severity. These finding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personality factors related to PTSD in police officers.

영국의 범죄정보 기반 경찰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icing Based on Crime Intelligence in UK)

  • 장광호;김문귀
    • 시큐리티연구
    • /
    • 제54호
    • /
    • pp.101-125
    • /
    • 2018
  • 경찰에서 범죄정보는 범죄에 대응하는 경찰 본연의 활동을 위한 의사결정의 근거이다. 경찰의 의사결정은 개별 사건의 수사와 범죄예방뿐만 아니라, 자원의 배분, 조직 우선순위 결정 등 다양한 유형에서 이뤄지고, 이 과정에서 범죄정보는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영국 경찰이 범죄정보를 분석하여 경찰활동에 반영하는 활동을 조사하고 이를 한국 경찰과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실시했다. 영국은 지방경찰체제를 근간으로 중앙경찰기관을 운영하면서 전 국가적인 범죄 정보를 운영하는 제도를 국가정보모델(NIM)로 정착시키고 있다. 중앙집권식 경찰활동이 아닌 조정과 협력을 통해 범죄와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경찰기관의 정보부서는 통합적인 범죄정보 분석을 통해 범죄를 예방, 제압할 뿐 아니라, 선제적이고 융합적인 방식으로 경찰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 경찰은 각 부서별로 통계, 사건정보, 심리행동 정보 등 유형별 범죄정보를 운영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식도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조직적으로도 범죄정보를 기반으로 조직의 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분석 활용하는 사례가 영국에 비교하여 활발하지 않다. 향후 발전을 위해 범죄정보에 대한 통합적인 운용제도와 분석 조직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범죄정보 분석 조직은 현재의 정보부서의 역할을 재편하거나, 각 부서의 현재 역할을 유지하면서도 정보시스템을 통해 별도의 분석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견봉쇄골 탈구와 동반된 오구돌기 골절 - 2예 보고 - (Acromioclavicular Separation with the Fracture of the Coracoid Process - 2 Cases report -)

  • 유재호;한성호;양보규;안영준;주민홍;이승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124-130
    • /
    • 2007
  • 견봉쇄골 관절 탈구는 흔한 손상으로 심한 경우 대개 오구쇄골 인대의 파열이 동반된다.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 드물게 오구쇄골 인대의 파열 없이 오구돌기 골절이 동반될 수 있다. 지금까지 31례만이 보고된 상기 손상을 저자들은 두 증례에서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오구돌기 골절은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전후방 방사선 촬영에서는 발견하기 쉽지 않다. 고도의 견봉쇄골 관절 탈구가 있으면서 오구쇄골 간격이 늘어나지 않은 경우 오구돌기의 골절을 의심할 수 있다.

폐암으로 오인된 기관지성 낭종 1례 (A Case Report of a Bronchogenic Cyst Misconceived to Lung Cancer)

  • 김영욱;이승희;홍순창;이호학;박상준;이권전;김진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5호
    • /
    • pp.526-530
    • /
    • 2003
  • 기관지성 낭종은 보통 단순 흉부 사진상 폐실질이나 종격동 내에 얇고 때끄러운 벽을 가지며 경계가 뚜렷한 원형의 종괴 흑은 낭포로 발견되고 보통 Hounsfield Number 0-20의 음영을 가진다. 본 증례는 단순 흉부 방사선 소견 상 폐실질내 경계가 불분명한 종괴로 보이고 CT상 Hounsfield Number 26의 연조직 음영을 보여 폐암을 배제하기 위하여 수술까지 하였던 경우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거골 박리성 골연골염의 치료 (Treatment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이동호;이철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0-194
    • /
    • 2002
  • Purpose: We present our experience about the clinical aspect and treatment modalities of oste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Material and Method: This study included 35 patients, 38 cases diagnosed as oste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that were proved by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 The methods of treatment were conservative (2 cases), multiple drilling (1 case), excision (1 case), excision, curettage & multiple drilling (23 cases), curettage & bone peg fixation (2 cases), curettage & bone graft (2 cases), and autogenous osteochondral transfer(Mosaicplasty) (7 cases). Results: Of the 38 cases, 30 cases were associated with a history of trauma (17 cases of medial lesion, 13 cases of lateral lesion), and 9 cases of which had major trauma history and 21 cases, minor repetitive trauma history. According to O'Farrel grading system, 21 cases (55%) had good results, 11 cases (29%) had fair results, and 6 cases (16%) had poor results. Of the medial lesion 16 cases had good results, 6 cases, fair results, and 2 cases, poor results. Of the lateral lesion 5 cases had good results, 5 cases, fair results, and 4 cases, poor results. Conclusion: There were fair or good results in 84% of patients with surgical treatment. Curettage and multiple drilling reveals a good result in medial lesion in grade I, II, III and lateral lesion in grade I, II. Autogenous osteochondral transfer(Mosaicplasty) is considered for the cases in grade III, IV(medial and lateral), lesion exceeds 1Cm of size and poor result with another treatment mod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