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박주원 (2004). 범죄정보법제에 관한 연구: 행정작용으로서의 범죄정보활동과 체계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법학연구회, 3, 52-57.
|
2 |
이동환, 표창원 (2005). 경찰의 범죄정보 수집 및 분석 체계화 방안.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05-12, 15-48.
|
3 |
이동희, 이윤, 장윤희 (2005). 범죄수사학. 경찰대학, 217-230.
|
4 |
이창무, 문경환 (2011). 경찰정보학. 박영사, 176-188.
|
5 |
장윤식 (2012). 선진국의 사이버범죄 정보분석 제도 도입방안. 치안연구소 책임보고서.
|
6 |
탁종연 (2006). 범죄통계의 진실성 : 경찰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5(2), 68-76.
|
7 |
한상암, 박한호, 이명우 (2013). 범죄예방을 위한 정보주도형 경찰활동(ILP)에 대한 연구: 국내도입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6, 84-90.
|
8 |
황규진 (2009). 치안정보의 개념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 9(1), 73-95.
|
9 |
김학경, 이성기 (2012). 영국지방자치경찰의 새로운 패러다임: "2011 경찰개혁 및 사회책임법"과 "국립범죄청"을 중심으로. 경찰학연구, 12(1), 158-164.
|
10 |
경찰청 내부문서 (2008). 수사조직진단과 인력 재배치, 47-50.
|
11 |
경찰청 (2016). 경찰통계 연보.
|
12 |
James, A. (2013). Examining Intelligence-led Policing. Palgrave macmilan.
|
13 |
Bardach, E. (2000). A Practical Guide for Policy Analysis. Chatham House Publishers.
|
14 |
Jim, G., & Mark, B. (2013). The Financial Cost of Fraud Report 2013. ICJS.
|
15 |
NCPE (2005). Guidance on the National Intelligence Model.
|
16 |
Ratcliffe, J. H. (2007). Integrated Intelligence and Crime Analysis: Enhanced Information Management for Law Enforcement Leaders. Police Foundation.
|
17 |
영국 국가범죄청 홈페이지, http://www.nationalcrimeagency.gov.uk.
|
18 |
영국 런던경찰청 홈페이지, https://www.met.police.uk.
|
19 |
영국 포츠머스경찰서 홈페이지, https://www.cityofportsmouth.com/pol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