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Forest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26초

쾌삭 303계 스테인리스강 소형 압연 선재 제조 공정의 생산품질 예측 모형 (Quality Prediction Model for Manufacturing Process of Free-Machining 303-series Stainless Steel Small Rolling Wire Rods)

  • 서석준;김흥섭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2-22
    • /
    • 2021
  • This article suggests the machine learning model, i.e., classifier, for predicting the production quality of free-machining 303-series stainless steel(STS303) small rolling wire rods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lassifier, manufacturing data for 37 operating variables were collected from the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MES) of Company S, and the 12 types of derived variables were gener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with data preprocessing, exploratory data analysis, feature selection, machine learning modeling, and the evaluation of alternative models. In the preprocessing stage, missing values and outliers are removed, and oversampling using SMOTE(Synthetic oversampling technique) to resolve data imbalance. Features are selected by variable importance of LASSO(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regression, extreme gradient boosting(XGBoost), and random forest models. Finally, logistic regression, support vector machine(SVM), random forest, and XGBoost are developed as a classifier to predict the adequate or defective products with new operating conditions. The optimal hyper-parameters for each model are investigated by the grid search and random search methods based on k-fold cross-valida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XGBoost showed relatively high predictive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models with an accuracy of 0.9929, specificity of 0.9372, F1-score of 0.9963, and logarithmic loss of 0.0209. The classifier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productivity by enabling effective managemen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STS303 small rolling wire rods.

위성이미지 기반 시설하우스 판별 Mask-RCNN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ask-RCNN Model for Detecting Greenhouses Based on Satellite Image)

  • 김윤석;허성;윤성욱;안진현;최인찬;장성율;이승재;정용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6-162
    • /
    • 2021
  • 본 인스턴스 분할 모델은 위성을 이용해 촬영된 원격탐지 영상 내의 객체 탐지에 높은 정확도를 갖는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불법으로 가설된 시설 하우스를 발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즉, 특정 지역 및 일정시기를 기준으로 시설하우스를 인식시키고 그 이후에 신축된 하우스를 분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기술을 응용하여, 토지피복도 조사와 같은 인력중심의 작업을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 앞으로 이 모델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연계하여 중앙정부 차원의 단일화된 관리체계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시설하우스 면적 통계 수치계산에도 쉽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한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증발수요 가뭄지수 예측 (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 forecasting in Busan-Ulsan-Gyeongnam region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 이옥정;원정은;서지유;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8호
    • /
    • pp.617-628
    • /
    • 2021
  • 가뭄은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주요 자연재해이다. 지역 가뭄 예측은 가뭄 대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동남부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 1981년부터 2020년까지 10개 관측소의 과거 가뭄지수 및 기상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가뭄을 예측하는 새로운 기계학습모델을 제안한다. 베이지안 최적화기법을 이용하여 하이퍼 파라미터가 튜닝된 Random Forest, XGBoost, Light GBM 모델을 구축하여 1개월 뒤의 6개월 시간 척도의 증발 수요 가뭄지수를 예측하였다. 단일 지점별 모델과 지역 모델을 각각 구성하여 모델 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지역 모델을 기반으로 개별 지점의 자료에 대해 미세조정된 모델을 구성하여 모델 성능을 높일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Rapid Identification of Ginseng Cultivars (Panax ginseng Meyer) Using Novel SNP-Based Probes

  • Jo, Ick-Hyun;Bang, Kyong-Hwan;Kim, Young-Chang;Lee, Jei-Wan;Seo, A-Yeon;Seong, Bong-Jae;Kim, Hyun-Ho;Kim, Dong-Hwi;Cha, Seon-Woo;Cho, Yong-Gu;Kim, Hong-Si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504-513
    • /
    • 2011
  • In order to develop a novel system for the discrimination of five ginseng cultivars (Panax ginseng Meye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genotyping assays with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ere conducted. Nucleotide substitution in gDNA library clones of P. ginseng cv. Yunpoong was targeted for the SNP genotyping assay. From these SNP sites, a set of modified SNP specific fluorescence probes (PGP74, PGP110, and PGP130) and novel primer sets have been developed to distinguish among five ginseng cultivars. The combination of the SNP type of the five cultivars, Chungpoong, Yunpoong, Gopoong, Kumpoong, and Sunpoong, was identified as 'ATA', 'GCC', 'GTA', 'GCA', and 'ACC', respectively. This study represents the first report of the identification of ginseng cultivars by fluorescence probes. An SNP genotyping assay using fluorescence probes could prove useful for the identification of ginseng cultivars and ginseng seed management systems and guarantee the purity of ginseng seed.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L.)의 callus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Callus Cultures of Black Locust(Robinia pseudoacacia L.))

  • 우종호;최명석;박용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45-150
    • /
    • 1995
  • 기내배양된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의 줄기기부에서 발생된 callus로부터 기관발생을 통하여 식물체재분화 시스템을 확립하였다. Callus는 줄기를 BA 또는 NAA가 함유된 MS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유도되었으며, BA처리구가 NAA처리구보다 유도율이 높았다. BA가 첨가된 배지에 줄기를 배양하였을 때 기부 callus의 생장은 광조건 및 암조건에서도 잘 증식되었다. 줄기기부에서 발생된 callus는 녹색과 희면서 노란색을 띠는 callus로 분리되어 2.0mg/l BA와 0.5mg/l NAA가 함유된 mMS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녹색의 callus로부터 줄기가 재분화되었다. 재분화된 줄기는 생장조절제가 함유되지 않은 ${\frac{1}{2}}MS$배지에서 발근되었다.

  • PDF

강원지역 산림유존목의 분포, 동태 및 생육임분의 구성적 특성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Dynamics of Relict Forest Tre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orest Stands in Gangwon Province, Korea)

  • 신준환;이철호;배관호;조용찬;김준수;조준희;조현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5-175
    • /
    • 2018
  • 이 연구는 강원지역 산지에 자연적으로 성립하여 잔존하고 있는 산림유존목(가슴높이 줄기둘레 300cm이상)의 체계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분포실태와 생장특성 그리고 생육임분의 구성적 특성 등)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금번 조사에서는 강원지역 산지에서 모두 19종 434개체(침엽수 4종 228개체, 활엽수 15종 206개체)의 산림유존목이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주목이 전체의 약 46.7%인 203개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줄기둘레는 평균 404cm(침엽수 373cm, 활엽수 421cm)이었고, 설악산 피나무 복간목이 1,113cm로 가장 크게 났다. 수고와 수관폭은 각각 평균 15.4m, 10.0m이었다. 입지특성은 수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해발고도는 대개 1,000m이상, 사면경사도는 $25^{\circ}$이상, 사면방위는 북향, 미세지형은 사면상부 등에서 상대적 출현빈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산림유존목 생육임분의 단위면적당($/100m^2$) 구성적 특성을 보면, 총피도는 평균 294%(최대 475%), 출현종수는 평균 36종(최대 60종), 종다양성 지수(H') 평균 2.560(최대 3.593), 그리고 수관울폐도는 평균 84.8%(최대 94.6%), 그리고 흉고단면적(/ha)은 평균 $52.7m^2$(최대 $116.4m^2$; 산림유존목 개체 $30.0m^2$, 기타 교목성 개체 $22.7m^2$)로 나타났다. 한편, 강원지역 산림유존목 개체의 동태 유형을 추정한 결과, 생육환경과 교란강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후계수가 낮은 밀도이지만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유형(신갈나무, 전나무, 피나무, 산돌배)", "후계수가 완전히 단절된 유형(소나무)", "후계수가 최근 또는 상당기간 단절된 유형(분비나무, 굴참나무, 박달나무)", 그리고 "후계수가 주기적으로 단절과 공급이 반복되는 유형(호랑버들, 졸참나무)"등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The Water Deer on a Road: Road-Kill Characteristics of a Nationally Abundant but Internationally Threatened Species

  • Kim, Kyungmin;Seo, Hyunjin;Woo, Donggul;Park, Taejin;Song, Euige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62-68
    • /
    • 2021
  • Despite numerous efforts on reducing road-kill worldwide, the collisions have been occurring continuously. Many factors are affecting road-kill occurrences and the effect is various by species. We investigated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road-kill characteristics on the national highway. We examined 9,099 H. i. argyropus road-kill points with distance to the gaps on road (interchange and intersection) and distance to six natural land-cover types as explanatory variables. We also examined the number of road-kill occurrences according to temporal variation using chi-square test with 9,658 events. In general, H. i. argyropus road-kill location tended to occur close to the gaps on road, agricultural lands and forests. The average distance from road-kill to the gap was 694.7 m and 78.6% of the collisions were occurred within 1 km from the gaps. In addition, Kruskal-Wallis test showed the distance between road-kill points and each land cover and the gap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temporal analyse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of the H. i. argyropus road-kill frequency are significant in both month and season. Our results implies H. i. argyropus road-kill location tended to occur close to the gaps on road, agricultural lands and forests in general, especially during May and June, according to their seasonal behavior. Thus, we suggest there is a need of concentrated management on the roads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for both wildlife and human safety.

Korea Barcode of Life Database System (KBOL)

  • Kim, Sung-Min;Kim, Chang-Bae;Min, Gi-Sik;Suh, Young-Bae;Bhak, Jong;Woo, Tae-Ha;Koo, Hye-Young;Choi, Jun-Kil;Shin, Mann-Kyoon;Jung, Jong-Woo;Song, Kyo-Hong;Ree, Han-Il;Hwang, Ui-Wook;Park, Yung-Chul;Eo, Hae-Seok;Kim, Joo-Pil;Yoon, Seong-Myeong;Rho, Hyun-Soo;Kim, Sa-Heung;Lee, Hang;Min, Mi-So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1호
    • /
    • pp.11-19
    • /
    • 2012
  • A major concern regarding the collection and storage of biodiversity information is the inefficiency of conventional taxonomic approaches in dealing with a large number of species. This inefficiency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automated, rapid, and reliable molecular identification systems and large-scale biological databases. DNA-based taxonomic approaches are now arguably a necessity in biodiversity studies. In particular, DNA barcoding using short DNA sequences provides an effective molecular tool for species identification. We constructed a large-scale database system that holds a collection of 5531 barcode sequences from 2429 Korean species. The Korea Barcode of Life database (KBOL, http://koreabarcode.org) is a web-based database system that is used for compiling a high volume of DNA barcode data and identifying unknown biological specimens. With the KBOL system, users can not only link DNA barcodes and biological information but can also undertake conservation activities, including environmental management, monitoring, and detecting significant organisms.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저전력 임베디드 센서 보드를 이용한 트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설계 (Design of Tree Management System using Low-Power Embedded Sensor Board in WSN)

  • 허민;모수종;김창수;임재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27-130
    • /
    • 2005
  • 국내의 도시들은 빌딩 숲으로 둘러싸인 회색도시에서 공원과 가로수가 어우러진 녹색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그 예로 부산시에서는 ‘녹색도시부산21’의 정책으로 군부대시설의 공원화, 도심의 나무심기 등을 계획하고 진행 중에 있다. 여기서 조경을 위한 수목의 가격은 매우 고가이다. 이런 고가의 조경 수목을 관리하기 위한 수목 관리 시스템의 도입은 당연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각 수목에 붙여진 Mote를 이용하여 수목의 정보를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에서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목의 상태 파악 및 관리, 병충해 예방, 수목 정보 웹 데이터 서비스 등에 이용할 수 있게 하며, 그리고 생태 관리 학자들에게 도신의 조경 수목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하였다.

  • PDF

우리나라 오리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A Synecological Study of the Alnus japonica Forests in Korea)

  • 조준희;배관호;오승환;김준수;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124-135
    • /
    • 2020
  • 오리나무림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습지림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임분으로 예전에는 산지, 하변, 배후습지, 그리고 충적 저지 등 다양한 서식환경에서 비교적 흔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나, 다양한 토지이용과 서식지의 건조화 등의 영향으로 최근에는 보기 드문 식물군락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지습지에 자연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오리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그 체계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국 66개 지소의 오리나무림을 대상으로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이원지표종분석(TWINSPAN)을 병용하여 군락 유형을 분류한 결과, 모두 8개 단위 유형 (쪽동백나무형, 들메나무-병꽃나무형, 참조팝나무형, 콩제비꽃형, 꼬리조팝나무-물봉선형, 왕미꾸리광이형, 진퍼리새형, 그리고 상수리나무-생강나무형)이 구분되었으며, 2개 군락, 4개 아군락, 그리고 8개 변군락(variant)의 식생단위 체계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락유형별 생태적 특성(구성종의 총피도(/100㎡), 중요치, 상재도, 생활형 조성, 종다양성 지수, 군락유사도 그리고 지표종 등)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