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Forest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23초

지구온난화를 고려한 지리산 국립공원 내 사찰림의 식생구조 연구 (Study of Vegetation Structure about Shrine Forest in Jirisan National Park with Regard to Global Warming)

  • 이성제;안영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863-1879
    • /
    • 2014
  •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shrine forest vegetation located in Jirisan national park affiliated to an ecotone in southern part of Korea, foreseeing a vegetation change based on composition species and dominant species on canopy,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vegetation management. The shrine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the 7 community units as Chamaecyparis obtusa-Cryptomeria japonica afforestation,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rigida afforestation, Quercus variabilis-Quercus serrata community, Zelkova serrata-Kerria japonica for. japonica community, Phyllostachys bambusoides forest, Camellia japonica community. This research is also expatiated on the analogous results of ordination analysis with phytosociological analysis. The constituents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 temperate zone were appeared in the most vegetations. It emerged less that the constituent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temperate zone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cold-temperature zone. The life form analyses were made use with the two ways: appearance species in total communities and each community. The species diversity of shrine forests is declined because the high dominances of Sasa borealis and Pseudosasa japonica emerged in the shrub and herb layers. These shrine forests will be succession to Q. variabilis-Q. serrata community as the representative vegetation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temperate zone, owing to the temperature rise by global warming, and a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ill be able to be also formed if a temperate rise will be continued. The one of the artificial management of shrine forests is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constituent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temperate zone.

잔디 재배지에서 배토와 경운처리에 의한 잔디생육 및 토양환경 개선 (Improvement of Growth and Soil Environment by Topdressing and Tillage i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Cultivation Field)

  • 한정지;최수민;이광수;박용배;배은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65-169
    • /
    • 2016
  • 잔디 뗏장의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토양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토양관리에 따른 잔디의 생육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관리는 4가지 방법 (1) 답압 처리구 (2) 배토 처리구 (3) 배토 +답압 처리구 (4) 배토 +경운 +답압 혼합 처리구로 실시하였다. 토양의 물리성은 배토 +경운 +답압 혼합 처리구가 답압과 배토 +답압 처리구에 비해 용적비중과 공극률, 고상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나, 배토 처리구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토양 관리방법에 따른 잔디생육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답압작업에 비해 배토만 하거나 배토와 함께 토양 경운의 방법을 추가하였을 때 식물체의 생육이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잔디 연작 재배지의 경우 토양 물리성 개선을 위한 배토, 경운, 답압등의 토양 갱신작업을 통해 잔디의 적정밀도 유지와 양질의 잔디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 분석(1962~2016) (Trend Analysis of North Korean Forest Science Research (1962-2016) by Data Mining)

  • 임중빈;김경민;김명길;이종민;박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1호
    • /
    • pp.81-9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산림과학기술협력에 대비하여 북한의 산림과학 관련 학술지 분석을 통해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NKtech)의 소장 논문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를 토대로 임학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분석 대상 논문을 수집하였다. 총1,38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북한 산림업 계획 지표를 토대로 산림조성, 보호 및 이용 분야로 분류하여 각 분야별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2012년 김정은 집권 이후 산림조성 분야에서는 나무모 기르기(양묘)와 임농복합경영 분야의 연구 활동이 활발하였으며 사름률(활착률)을 강조하고 있었다. 산림보호 분야에서는 산림병해충에 대한 노력이 크며 임농복합경영과 풀뚝다락밭을 통해 토양침식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이용 분야에서는 주로 펄프/종이와 버섯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함을 확인하였다. 산림경영 분야에서는 '생태정보' 분야의 활동이 눈에 띄게 나타났으며 탄소감축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 산림과학 동향을 살펴본 결과 북한의 산림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자연 개조' 대상에서 '자연 보호'를 함께 수반하는 관리의 대상으로 변화되었다고 보여 진다. 향후 세부 분야별 남북 산림과학 기술 비교 연구와 시기별 북한의 정책방향이 연구 방향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남북산림협력사업을 원할히 하기 위해서 남북산림용어사전 편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산마늘 임간재배와 노지재배의 수익성 비교 분석 (Comparison of Profitability for Allium victorialis Farming System between On-field and Under-forest)

  • 박상병;김만조;김의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122-128
    • /
    • 2014
  • 본 연구는 산마늘 노지재배와 임간재배의 수익성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산마늘 임간재배가 앞으로 나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강원도, 충북, 전남, 경북지역에서 12명의 산마늘 재배자를 대상으로 작업공정별 투입인력 및 비용 등에 관해 심층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익성 분석기법인 IRR, B/C ratio, NPV를 이용해 투자수익성을 분석하였다. 임간재배 산마늘의 판매가격 25,000원/kg과 노지재배 산마늘의 판매가격 15,000원/kg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각각 IRR 36.2%과 54.2%로 나타나 산마늘 노지재배의 수익성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마늘 임간재배의 수익성이 다른 산림단기소득작물과 비교해도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며, 집약재배를 위한 기술개발이 뒷받침된다면 노지재배 못지않게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이다.

Report of Invasive Alien Plant, Commelina caroliniana, (Commelinaceae) in Korea

  • Eun Su Kang;Kang-Hyup Lee;Soo-Rang Lee;Dong Chan S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15
    • /
    • 2020
  • Commelina caroliniana Water, was founded in Jongdal-ri (Gujwa-eup, Jeju Island) for the first time, is widely distributed arable land near the coast and roads. C. caroliniana belongs to Commelinaceae and native to Bangladesh, India. This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its allied species in Korea by several characters as followings: apex acuminate and obovate shape spathes, flowers have blue 3 petals, maroon spot on the antherode, fruit with 5 seeds in 3 ovaries. C. caroliniana is well known for its strong fertility, which can outcompate native grasses and further negatively effect on the grassland ecosystem. The species has already introduced and widely distributed across much of southeastern US and some of Asian countries. Considering the case of C. caroliniana's diffusion capacity and influence on the ecosystem, management system for prevent their spreading are required through monitoring. Given the great potential of spread found in C. caroliniana, continuous monitoring may be required.

  • PDF

기계화(機械化) 집재작업(集材作業)을 위한 노망(路網)의 정비 - 임지(林地)의 분류(分類) - (Studies on design of forest road nets for mechanized yarding operations - Classification of forest site -)

  • 차두송;조구현;지병윤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57-66
    • /
    • 1993
  •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군에 위치한 임업진흥촉진지역 21,417ha를 대상으로 10개의 지형특성치를 이용, 집락분석과 주성분분석에 의하여 임지를 구분함과 동시에 판별분석에 의하여 임지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최소한의 변수를 검토하여, 실질적으로 기계화 집재작업을 위한 작업기종의 선정에 정확한 지형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성단지는 총면적 2,252ha로 중에서 57%가 완지형으로 분류되어 트랙터형 집재가 적합하고 43%가 급지형으로 중거리 가선집재형이 적합함을 보여 주었다. 2) 가정단지(2,306ha)와 광판단지(2,627ha)는 각각 65%와 67%가 급지형으로 분류되어 대개 중거리 가선형의 집재가 적합하고, 나머지 35%와 33%가 트랙터형 집재가 적합한 완지형으로 나타났다. 3) 지암단지(4,519ha)는 대부분의 지역이 급지형으로 분류되어 중거리 가선형이 적합하였다. 4) 군자단지(3,400ha), 수동단지(3,894ha), 신포단지(2,430ha)는 총면적중에서 각각 85%, 75%, 75%가 급지형으로 분류되어 중거리 가선집재형이 적합함을 보여 주었다.

  • PDF

산림경관서비스 지불제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 설계 (Pilot-Project Design on Introduction of Payment of Forest Landscape Service)

  • 최재용;이동근;이호철;고재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2-122
    • /
    • 2009
  • Payment of Forest Landscape Service (PFLS) is based on the value of landscape conservation and is a positive forest policy inducing the owners of mountains to improve environmental service quality with economic incen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feasibility of PFLS and find out the elements related to PFLS such as associated statutes, target applications, eligible owner's requirements, and applicable environmental services. Research sites were selected in designated reserved forests by law and surveys were carried out with 28 professional forestry engineers and 10 owners of reserved forests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in November, 2008. As a result, the owners are willing to participate pilot-project of PFLS if they could have tax incentives. Preferred activities in their forestry are eco-tourism and carbon emission trading as PFLS business model. Although they expect low economic benefit from the PFLS, respondents answered introducing PFLS will give good opportunities for owners of a reserved forest to enhance willingness to manage their forestry properly for the landscape conservation. In this study, PFLS evaluation indicators and policy directions are established and recommends the strategies to cope with changing needs of forestry conservation by inducing the owner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ustainable forest landscape management.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권역별·임상별 산림 바이오매스 변화량 예측 (Predict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Forest Biomass by Different Ecoprovinces and Forest Types in Korea)

  • 신진영;원명수;김경하;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9-129
    • /
    • 2013
  • 본 연구는 수치산림입지도, 수치기후도, 제5차 국가 산림자원조사 등의 누적된 자료와 다양한 통계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권역별 임상별 산림 바이오매스 변화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시간 경과에 따른 산림 바이오매스 변화량은 생태권역별 임상별로 서로 다른 패턴을 보였다. 산악권역, 남동산야권역, 남서산야권역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임상에서 산림 바이오매스가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에 중부산야권역의 침엽수림과 혼효림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바이오매스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해안도서권역에서는 침엽수림을 제외한 임상에서 산림 바이오매스가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지위지수 추정치 변화에 근거하여 산림 바이오매스 변화량을 산출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재해 변화 패턴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림재해 대응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백두대간 자연 환경 조사 비교 및 개선 방안 고찰 (Comparison of Survey Methods and Results for Natural Environment in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 신문현;김정환;권진오;임주훈;최형태;박찬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8
    • /
    • 2016
  •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BDMS) is a unique and traditional concept in Korea that puts importance on the connectivity of energy when Korean people recognize their mountain system. Two main national organizations that are in charge of managing natural environment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KFS) and Ministry of Environment (MoE), have been independently investigating the natural resources in protected areas of BDMS. Each organization released its first survey report for the whole protected areas in 2011. In order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BDMS's natural environment, the results contained in the first reports of KFS and MoE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KFS contains a wider variety of survey items, though many of the items are overlapped between the reports of KFS and MoE. It was noticeable that the survey results of KFS and MoE were not always matched even for the same or similar items in the identical target areas. The main causes of the different survey results are suggested to be the differences of the details of the survey conditions between KFS and MoE, such as the season of the surveys and the subjectivity of surveyors, and the type of literatures included in the indoor survey.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ompare the survey results of KFS and MoE, which leads to low usability of the data and low efficiency of the survey processes. Therefor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sections and methodologies of survey should be clearly set with consideration for the research purposes. The survey data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hould be digitalized and opened to the public for better accessibility to BDMS information. Also, the survey reports should include English summary, thereby the results can be utilized globally for scientific, cultural and political purposes, such as designation of a heritage site.

GIS를 이용한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Construction of Vege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 송지혜;강인준;홍순헌;박동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99-106
    • /
    • 2014
  • 1960년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무분별한 산림파괴로 인하여 산림 및 생태계가 급속도로 파괴되어왔다. 이에 따라 산림 및 생태계관리를 위하여 식생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우리나라 역시 1986년 제1차 자연생태계 전국조사를 시작으로 하여 현재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가 진행 중에 있으며, 1995년 이후 NGIS사업을 추진함으로써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를 통해 식생 관리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식생 및 식물상 정보는 텍스트 기반의 우점 식생정보만 제공되고 있으며, 전국자연환경조사 중 일부 자료만 구축되고 나머지 정보는 구축되어 있지 않아 통합적인 식생자료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식생정보의 구축 및 제공에 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분석과 계획수립, 의사결정지원을 위하여 관련 시스템과의 연계 구축을 통한 식생정보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