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Ecosystem Survey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31초

편백림의 식생구조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Chamaecyparis Obtusa Stands)

  • 박석곤;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07-9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인공조림된 편백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 및 식생천이, 종다양성의 특성을 밝히고자 전남지역의 8곳에 편백림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식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군집분석 및 서열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군락으로 단순화되었다. 군락I은 다른 군락에 비해 종다양성지수가 상당히 낮았는데 이는 교목층에 우점한 편백의 수관이 울폐되어 하층식생이 발달하지 않았거나 잡초목(경쟁 자생수종) 제거로 하층식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반면, 군락 II~IV는 하층에 다양한 자생수종이 유입되어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서로 경쟁하여 어느 정도 안정되거나 식생발달 초기라서 종다양성지수가 높은 편이었다. 마지막, 군락 V는 휴양림으로서 이용강도가 높아 식생구조가 단순하였다. 또한, 임상에 유입되는 광합성유효광과 출현종수 종다양성지수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편백림의 식생구조 특성은 과거 개벌 이후 묘목심기, 솎아베기, 풀베기 등의 산림시업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편백림의 산림시업에 의한 교란빈도와 함께 식생천이프로세스 회전시간에 따라 군락별 식생구조와 종다양성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천연림에 비해 편백림은 단순한 식생구조를 보였다. 인공림은 생물다양성이 낮고 생태계 서비스가 취약하기 때문에 공익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인공림으로 전환하는 한 가지 수단으로써 생태적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배스(Micropterus salmoides) 시공간 분포 분석 및 생태위해성 평가 (Long-term distribution trend analysi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based on National Fish Database, and the ecological risk assessments)

  • 김정은;안광국
    • 환경생물
    • /
    • 제39권2호
    • /
    • pp.207-217
    • /
    • 2021
  • 본 연구는 전국자연환경조사 어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내 담수 생태계에 도입된 배스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 공간분석을 통해 핫스팟 지역을 분석하였다. 위해성 평가를 통해 배스의 잠재적 침습성을 평가하여 수생태계 생물 다양성 교란에 대한 영향을 재고하였다. 분포 분석 결과, 제주도 지역을 포함하여 한강권역과 낙동강권역, 금강권역, 영산강·섬진강권역 전체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낙동강권역에서 가장 높은 출현율을 나타내었으며, 제주도 지역을 제외한 영산강·섬진강권역에서 비교적 낮은 출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배스의 공간적 군집 밀도가 높은 지역으로는 낙동강권역의 낙동강수계가 선정되었으며, 반대로 낮은 지역으로는 한강권역과 금강권역의 인접한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대부분의 담수하천에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난 배스의 위해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31점의 높은 침습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담수 생태계에 정착한 것으로 파악되는 생태계교란종인 배스로부터 실질적인 관리 우선지역을 도출하여 담수 생태계 다양성 보전을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팔봉산(충청남도, 서산시) 관속식물자원의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 Resources in Palbongsan Mt. (Seosan-si, Chungcheongnam-do))

  • 이윤순;고아름;김경아;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4-70
    • /
    • 2022
  • 본 연구는 서산시 팔봉산의 식물자원 분포 및 특성을 파악하고,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팔봉산 식물자원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8년 4월부터 2021년 5월까지 11회에 걸쳐 경로를 구분해 관속식물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관속식물은 101과 298속 405종 11아종 28변종 6품종으로 총 450 분류군이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8종류였고, 희귀식물은 4 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0 분류군으로 IV등급에 2 분류군, III등급에 6 분류군, II등급에 7 분류군, I등급에 15 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었다. 귀화식물은 39 분류군이 관찰되었고, 귀화율은 8.67%로 산출되었으며, 도시화지수는 12.15%로 계산되었다.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5 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과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주로 임도와 밭경작지, 숲 가장자리에서 발견되므로 분포현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주기적인 식생 관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보호지역의 식물종 보전 상보성 평가 (Complimentary Assessment for Conserving Vegetation on Protected Areas in South Korea)

  • 박진한;최혜영;모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6-445
    • /
    • 2020
  •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11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보호지역은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되어왔으며, 추가 지정이 필요한 잠재 보호지역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효과적인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지역의 상보성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식물종을 대상으로 종분포모형을 이용하여 잠재서식지역을 도출하고,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내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는 종의 풍부도를 유사도 지수인 Jaccard, Sorenson, Bray-curtis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대부분이 상보성이 낮아 유사한 식물종을 보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목원 완충지역이 상보성이 높아 보호지역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는 경우가 적은 식물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존 또는 잠재 보호지역 외 지역에 추가로 보호지역을 선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별 보호지역이 보호지역으로서 고유한 생태계 또는 생물종 보전이 가능한지 각 보호지역의 생태적 대표성을 확인하고, 공간적으로 추가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탐색하는 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동물종까지 포함한 상보성 평가를 통한 보호지역의 질적 개선과 계속적으로 조사되는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보호지역의 효과성평가 연구 등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파수차법을 이용한 남극크릴(Euphausia superba)의 종 식별에 관한 연구 (Species Identification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Using the 2-frequency Difference Method)

  • 최석관;한인우;황두진;김태호;안두해;이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788-798
    • /
    • 2017
  •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ar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Antarctic marine ecosystem both economically and ecologically; to manage this species effectively, their distribution and abundance must be understood. Using the Kwang Ja-Ho (3,012 tonnage), a commercial fishing vessel, we conducted acoustic surveys during April 13-24, 2016,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ize of krill around the South Shetland Islands of the Antarctic Continent, We used acoustic techniques based on the dB-difference, a method used mainly to classify of marine species. We found that Antarctic krill were present in numbers over 99% at six survey stations, with the exception of Station 3, where we only found Electrona carlsbergi. There was no difference in cell size due to frequency differences, but echo signals differed between species: 4.7-12.0 dB for Antarctic krill, and -4.1~0 dB for Electrona carlsbergi.

생태학습장 이용객의 지각된 성과에 의한 만족도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by Perceived Performance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 박청인;김종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57-1066
    • /
    • 2010
  • An ecological learning center is defined as a place which can establish the correct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Human can learn ecosystem and importance of environment throughout observation of nature and participation in program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planning are to reflect on user's demand and preservation of ecosystem. The prime goal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r's characteristics in the Young Wheol Mulmurigol Ecological Learning Center.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model based on user's perceived performance of each program and facility in the center.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 with 204 individuals was completed.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statistical method by SPSS. There are several significant results from the study as following First, this ecological learning center as a newly operating facility is used not for educational purpose but for resting and relaxation purpose. It is due to that the most of users in this center are package tourists with historic scenes. Second, user's perceived performance evaluated by 23 attributions of programs and facilities, and these attributions could be classified by 5 factors such as environment friendly design, educational function, preservation of environment, provision of various bio-top and provision of resting area. Third, the user satisfaction model indicates that user satisfaction is depended on various factors such as preservation of environment, provision of various bio-top, provision of resting area. Among these factor affecting the satisfaction, provision of various bio-top is the most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안양천 및 주변지역의 생태계 현황 및 생태공원 조성방안 연구 (Studies on the current status of ecosystem and ecological parks in Anyang Stream)

  • 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45-153
    • /
    • 2010
  • 안양천은 한강 지류의 국가하천으로서, 안양천 수변관리를 위한 생물상 현황조사를 수행하였다. 수변 및 주변지역 조사를 통하여 출현종 및 개체수를 파악하고 생태현황을 나타내는 민감종 및 서식지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외래종을 파악하였다. 안양천 수변부에서 출현한 식물상은 35목 78과 196속 230종 33변종 2품종 1잡종의 총 266종류(분류군)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외래종으로는 총 10목 16과 37속 47종 2변종 49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류의 한강 합류부와 상류의 기아대교 하류부의 제방사면에서 외래종이면서 위해식물인 가시박(Sicyos angulatus)이 확인되어 이에 대한 관리대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양천 주변을 11개 권역으로 분류하여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및 외래종 관리방안과 사람과 자연이 공생할 수 있는 환경창출 방안과 하천 생태축(블루네크워크)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현대 디지털 패션에 나타난 생태적 이미지의 표현유형과 내적 의미 (A study on the expression types and internal meanings of ecology images appeared in modern digital fashion)

  • 강준호;권기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3호
    • /
    • pp.422-436
    • /
    • 2021
  • The fashion industry analyzes the value of its essence with ecological design and is expressed as an innovative sculpture using digital technology.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ecological images and digital technologies, categorizes types and derives their meanings through analysis of ecological images shown in modern digital fashion. A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on ecological images and digital technolog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analyze the expression type and internal meanings of ecological images, designs with ecological formability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related journals, books, and internet sites. The finding are as follows: The expression type was first identified as organic curved garment silhouettes of a non-material liquid with digital retouching. Second, ecological fashion design includes structural shape that applies the silhouette of an organism and patterning of the ecosystem. Third, ecosystems consist of interactions between components of an ecosystem that appear in the interactive type. Accordingly, the internal meanings of ecological images in modern digital fashion are: first, digital fashion can encircle the inherent concepts of nature as organic collections of individuals; second, digital ecological images emphasize a sense of community with coexistence and harmony, playing a complementary role; and finally, the images express perceptual features by providing people with transcendent experi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analyzes new formative features based on ecological systems in the digital fashion environment, establishes an aesthetic system through internal meanings, and enhances awareness of human-natural relationships.

주왕산국립공원의 자생버섯 분포상 (Distribution of spontaneously growing mushrooms in the juwangsan national park)

  • 고평열;홍기성;최석영;김태헌;전용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5-69
    • /
    • 2018
  • 주왕산국립공원 내 자생버섯 자원의 서식지별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생물다양성, 생태계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 동안 버섯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조사된 버섯은 2문, 8강, 21목, 85과 225속, 50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 보면 주름버섯목이 247분류군으로 48.8%의 분포를 보였으며, 구멍장이버섯목과 무당버섯목이 뒤를 이어 다수 발생하는 종으로 확인되었다. 8월에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해발고도 300-400m 사이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는데 이 중 상의지구, 대전사 인근지역과, 거대리 샘골 지역에서 가장 많은 버섯 종류가 조사되었다. 기후변화지표종 중 큰갓버섯과 노루털버섯(능이)이 출현하였다.

경기도 광주시 보호수의 생육환경 및 관리실태 조사 연구 (Growth Environment and Management Status of Legally Protected Trees in Gwangju, Gyeonggi-do)

  • 전형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1-382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management plan for legally protected trees in Gwangju, Gyeonggi-do by examining their distribution and growth.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of these trees were conducted to derive problems and usage plans, with a number of key results. Among the legally protected trees (77 species in total) in 74 locations within Gwangju, Gyeonggi-do, the growth status of 74 species (96.10%) was above average, indicating that most legally protected trees were growing without any issues. Despite the results, analysis of the function of these legally protected trees indicated that there was low diversity and utilization of these trees as only trees in 33.77% were used as resting places or pavilions while those in 66.23% were used for landscaping or other purposes. It was assumed that these legally protected trees and the areas surrounding them in Gwangju, Gyeonggi-do will be used as community spaces if the environment is improved. This includes converting these areas into small parks or resting places for residents.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to maintain good growth conditions for these legally protected trees in general and to explore various plans that allow utilization of the surrounding natural ecosystem, human environment, and cultural elements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region and improve it as a living space for res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