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rrative techniqu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Fashion Pictorials using Depaysement Technique and Narrative Structure

  • Son, Hee-Jung;Yu, Ji-Hun;Lee, Min-Sun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12권2호
    • /
    • pp.163-178
    • /
    • 2009
  • Fashion pictorials are recognized as another form of communication method beyond the concept of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or being artistic photograph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necessity to know methods of making a strong impression on people's conscience by effective usage of various presentation techniques that can be used in fashion pictorials. This research studied characteristics of closed form and open form of Wolfflin's precept of forms presented in scene construction. Depaysement technique was classified into three classes which are alien transportation of a part, deformation and ambivalence of an image through literature review of depaysement presentation technique. After study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applicable as the open form, Annie Leibovitz's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published in an actual fashion magazine was analyzed as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this study, potential of applying depaysement technique as a presentation technique of closed form and narrative as a presentation technique of open form on fashion pictorials was identified. Factors that infuse creativity and achieve uniformity in producing fashion pictorials were shown through analysis of actual fashion pictorials.

  • PDF

영화 <휴고>의 공간서사 분석 (Analysis on the Spatial Narrative of the Movie Hugo)

  • 진호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1-119
    • /
    • 2019
  • 시간과 공간은 모든 서사의 기초가 되고. 공간은 서사의 대상과 내용으로서 영화 서사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 응용으로 영화 공간의 표현력이 크게 강화되면서, 공간 서사는 점점 더 감독과 비평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여전히 발전하고 있는 영화 서사 형식으로서, 공간서사는 서사구조, 서사효과, 창작기법, 관객수용 등에서 큰 우세를 갖고 있어 영화 서사의 창작에 돌파구와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문서는 영화공간 이론을 바탕으로 한 영화 <휴고>의 공간표현방식 분석, 그리고 서사공간의 추진요소, 구조적 요인, 상징적 의미와 심리적 요인 등 몇 가지 측면에서 미국 영화 <휴고>의 공간서사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짚어본다. 영화 서사공간에 담긴 매력을 발굴하여 영화 서사의 표현에 참고와 귀감을 조금이라도 제공하였으면 한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시각적 내러티브 기법 - 필립-로르카 디코르시아의 Stranger in Paradise를 중심으로 - (Visual Narrative Technique in Modern Fashion Photography - Focusing on Philip-Lorca diCorcia's Stranger in Paradise -)

  • 윤영;양숙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6호
    • /
    • pp.918-932
    • /
    • 2004
  • Fashion is a product of form expressing the socio-cultural mood and aesthetic value of an age. Owing to development of the mass media and diversification of arts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in the 20th century, fashion has been more briskly expressed to be presented to the people.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fashion photography as visual medium. To this end, visual narrative techniques were analyzed and thereupon, Philip-Lorca diCorcia's fashion photography was examined. This study reviews such visual narrative techniques by dividing into visual and non-visual elements and thereby, examines the three-fold aspects of fashion photography expressions : Representative Level, Ground Level and Context Level. Also this study focuses on Philip-Lorca diCorcia's fashion photography in 'W magazine' which features portfolio form. This study analyzed the visual narratives shown in fashion photography and thereby, expand in diverse ways the fixed images of the conventional fashion photography commercials featuring beautiful models and exquisite costumes, and additionally, determined that fashion photography must be a kind of expression tool which could express not only the simple fashion but also the socio-psychological elements inherent in fashion.

  • PDF

Interactive VR film Storytelling in isolated space

  • Kim, Tae-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1호
    • /
    • pp.163-171
    • /
    • 2020
  •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narrative delivery between common movies and Virtual Reality(VR) films due to their differences in the appreciation structure. In VR films, scene changes by cuts have hindered the immersion of the audience instead of promoting narrative delivery. There are a range of experiments on narratives and immersion to solve this issue in VR films. Floating Tent applies hand gestures and immersive effects found in game elements and does not disturb narrative delivery by setting proper spaces and employing a direction technique to enable the melting of narrative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s. There are time limits to offsound and mission performance, and devices fit for apocalyptic spatial expressions are made through a program. One of measures for the increasingly growing interactive storytelling in VR films is effective immersion. In narrative deliver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patial setting and immersion to enable active intervention into events for immersion rather than passive audience only supposed to watch characters' acting.

"프랑스 중위의 여자"의 서사전략 (The narrative strategy in French Lieutenant's Woman)

  • 김상구
    • 영어어문교육
    • /
    • 제7권2호
    • /
    • pp.115-127
    • /
    • 200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John Fowles's The French Lieutenant's Woman. This important postmodern novel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fiction published in England during the 1960's. John Fowles, along with Muriel Spark, Irish Mudoch and Doris Lessing is one the most influential postmodern writers. This is a study on the narrative technique, multiful endings, parody and author intrusion. The French Lieutenant's Woman is metafiction - a novel about writing a novel. The author says "This story I am telling is all imagination" in chapter 13. That is to say that John Fowles subverts traditional and even modernist poetics. His own intentional attempt to depart from traditional narrative structure is itself one of the novel's central issues. Through The French Lieutenant's Woman John Fowles shows postmodernist writers' narrative strategy.

  • PDF

극적 내러티브의 시각적 연출 특성 연구 -<도가니>의 구도기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Visual Characteristic of Directing For Dramatic Narrative -Focusing on Composition Technique of )

  • 안병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68-79
    • /
    • 2012
  • 영화는 내러티브의 구현을 위해 다양한 기법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관객의 지각에 영향을 준다. 영화 형식을 구성하는 기법들은 형식적 체계로서 영화의 내용과 동기화되어 특정한 효과를 유발시켜 관객의 정서적 체험의 강도와 깊이를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시각적 내러티브의 하나인 구도미학에 관한 연구로 충격적인 실화를 재구성한 영화 <도가니 SILENCE>(2011)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치밀한 화면구성과 기법의 활용이 극대화된 영화 <도가니>의 내러티브에 적용된 구도기법을 분석해보고, 나아가 영화형식의 의미와 중요성을 제고해 보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는 영화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와 정서가 쇼트를 통해 어떻게 시각적으로 구현되는지, 나아가 구도가 서사화법으로서 어떻게 영화재 기능을 수행하는지 고찰해 보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얼굴 검출을 이용한 숏 유형 감지 시스템 (Shot Type Detecting System using Face Detection)

  • 백영태;박승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49-56
    • /
    • 2012
  • 본 논문은 얼굴 검출을 이용한 숏의 유형을 판단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클로즈 업 숏이나 미디엄 숏, 롱 숏과 같은 숏의 유형은 영화의 서사 구조를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이다. 클로즈 업을 통해 감독은 등장인물의 감정 상태를 묘사하고 롱 숏을 통해 인물이 처한 상황이나 배경을 묘사하게 된다. 인물의 심리나 감정의 변화, 인물이 처한 상황을 묘사하는 숏의 여러 유형은 인물과 카메라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화면에 등장하는 인물의 얼굴 크기를 알아내어 숏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얼굴 검출을 통해 숏의 유형을 감지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시스템으로 구현하여 성능을 평가한다. 평가실험에서 클로즈 업 숏과 미디엄 숏의 감지 성능은 95%와 90%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얼굴의 윤곽이 불분명한 롱 숏의 경우 53.3%로 측정되었다.

Age-dependent root canal instrumentation techniques: a comprehensive narrative review

  • Solomonov, Michael;Kim, Hyeon-Cheol;Hadad, Avi;Levy, Dan Henry;Itzhak, Joe Ben;Levinson, Oleg;Azizi, Hadas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5권2호
    • /
    • pp.21.1-21.12
    • /
    • 2020
  •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age-dependent clinical recommendations for appropriate root canal instrumentation techniques. A comprehensive narrative review of canal morpholog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dentin, and endodontic outcomes at different ages was undertaken instead of a systematic review. An electronic literature search was carried out, including the Medline (Ovid), PubMed, and Web of Science databases. The searches used controlled vocabulary and free-text terms, as follows: 'age-related root canal treatment,' 'age-related instrumentation,' 'age-related chemo-mechanical preparation,' 'age-related endodontic clinical recommendations,' 'root canal instrumentation at different ages,' 'geriatric root canal treatment,' and 'pediatric root canal treatment.' Due to the lack of literature with practical age-based clinical recommendations for an appropriate root canal instrumentation technique, a narrative review was conducted to suggest a clinical algorithm for choosing the most appropriate instrumentation technique during root canal treatment. Based on the evidence found through the narrative review, an age-related clinical algorithm for choosing appropriate instrumentation during root canal treatment was proposed. Age affects the morphology of the root canal system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dentin. The clinician's awareness of root canal morphology and dentin characteristics can influence the choice of instruments for root canal treatment.

영화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기능 연구 (Narrative Functions of Sound Design in Films)

  • 이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26-637
    • /
    • 2013
  • 영화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 되어있고, 이를 강조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총체적이고 구체적인 사운드 연구 방법론이 존재 하질 않고 있는 이유는, 사운드디자인의 원리와 제작 공정에 대한 이해의 부족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원리와 공정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고,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역할에 대한 정의와 그 구체적 기능을 연구한다. 영화의 예술성과 내러티브 구조의 분석을 통하여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역할을 내러티브의 정보와 감정과 의미의 전달로 정의하고, 사운드디자인의 대사, 엠비언스, 폴리, 사운드이펙트 제작 공정에서 이 역할 수행을 위한 구체적 방법론을 도출해 본다. 각 공정은 각각의 특성에 맞게 내러티브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사는 인물을, 엠비언스는 배경을, 폴리는 인물과 인물에 의한 사건을, 그리고 사운드이펙트는 사건을 기호화 하여 전달함으로써, 내러티브가 표출하는 정보와, 담고 있는 감정과, 내포하는 의미를, 효과적이며 창의적인 방법으로 전달하며, 이것이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기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UHD TV휴먼다큐멘터리 서사전략: <순례-집으로 가는 길>을 중심으로 (Narrative Strategy of UHD TV Human Documentary:Focusing on )

  • 권상정;장우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516-526
    • /
    • 2019
  • 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이야기 형식이 그렇듯이 TV휴먼다큐멘터리의 서사 방식 역시 방송환경의 변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2017년 세계 최초로 지상파 UHD 방송이 우리나라에서 시작되었고 그 해 9월 KBS는 UHD특집 휴먼다큐멘터리 <순례>시리즈를 방송했다. 초고화질 비디오와 몰입형 오디오 구현이가능한 UHD로 제작된 <순례>는 기존의 TV휴먼다큐멘터리와는 전혀 다른 서사 방식을 보여주었다. TV휴먼 다큐멘터리에서 필수요소로 여겨지던 전지적 내레이션 대신 등장인물의 절제된 1인칭 내레이션을 사용하는 한편 다양한 구도 구현이 가능한 드론을 적극 활용해 등장인물의 심리를 섬세하게 표현, 시청자의 몰입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TV휴먼다큐멘터리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편집방식인 몽타쥬 편집기법을 통해 내레이션으로 '설명하지' 않고 영상으로 '보여주는' 방식의 서사 전개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순례-집으로 가는 길> 이후에 이와 유사한 서사 방식의 다큐멘터리가 다수 방송되며 UHD방송환경 아래에서 TV휴먼다큐멘터리의 흐름과 방향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