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ro space center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58초

한국형발사체 추진기관시스템 시험설비(PSTC) 산화제 공급 시스템 (Liquid Oxygen Filling System of Propulsion System Test Complex(PSTC) for KSLV-II)

  • 이장환;최봉수;김용욱;조기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84-1187
    • /
    • 2017
  • 우주발사체는 각 단별 추진기관 시스템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한국형발사체 추진기관 개발을 위한 추진기관시스템 시험설비(PSTC)가 나로우주센터에 구축되었다. 추진기관시스템 시험설비의 유공압 시스템은 시험대상체의 요구조건에 맞게 추진제 및 각종 가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축된 추진기관시스템 시험설비의 산화제 공급시스템을 소개하였다.

  • PDF

SYSTEM INTEGRATION AND PERFORMANCE TEST OF DREAM ON STSAT-2

  • Kim, Sung-Hyun;Lee, Ho-Jin;Moon, Nam-Won;Wi, Hoon;Seong, Jin-Taek;Lee, Sang-Hyun;Park, Jong-Oh;Sim, Eun-Sup;Zhang, De-Hai;Jian, Jing-Shan;Kim, Yong-H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374-377
    • /
    • 2007
  • Dual-channel Radiometers for Earth and Atmosphere Monitoring (DREAM) was developed as the Korean first spaceborne microwave radiometer for earth remote sensing. It is the main payload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SATellite-2 (STSAT-2). STSAT-2 will be launched by Korea Space Launch Vehic1e-l (KSLV-1) at NARO Space Center in Korea in 2008. The DREAM is a two-channel, total power microwave radiometers with the center frequencies of 23.8 GHz and 37 GHz. The bandwidths of radiometer are 600 MHz at 23.8 GHz and 1000 MHz at 37 GHz. The integration time is 200 ms and the required sensitivity is less than 0.5 K. In this paper, we summarize the specification and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DREAM firstly. And we describe system integration and performance test of DREAM mounted on spacecraft.

  • PDF

과학기술위성 2호 준비행모델 환경시험 결과 (STSAT-2 PFM Environmental Test Result)

  • 이승헌;박종오;심은섭;이승우;서정기;장태성;이상현;김성현
    • 항공우주기술
    • /
    • 제6권1호
    • /
    • pp.55-63
    • /
    • 2007
  • 과학기술위성 2호는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되는 소형위성발사체(KSLV-1)에 의하여 국내 발사장(나로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위성이다. 2002년 개발을 시작하여 엔지니어링모델(EM), 준비행모델(PFM), 비행모델(FM)을 개발 완료하였다. 위성의 기능을 점검하기 위해 종합적인 전기/전자 기능시험과 우주환경시험, 발사환경시험을 수행한다. 본 논문은 성공적으로 수행한 과학기술위성 2호 준비행모델의 우주환경시험과 발사환경시험에 대한 분석과 그 결과를 보고한다.

  • PDF

원격자료수신장비의 발사체궤적 추정정확도 향상을 위한 궤적데이터마이닝의 적용 (Application of trajectory data mining to improve the estimation accuracy of launcher trajectory by telemetry ground system)

  • 이성희;김두경;김근형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11
    • /
    • 2015
  • 본 논문은 궤적데이터마이닝의 2차 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나로우주센터 내 원격자료수신장비에서 우주발사체의 실시간 비행궤적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원격자료수신장비는 추적손실 없이 실시간으로 우주발사체의 비행위치와 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추정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따라서 나로호 1차 발사 시, 기존 보간법에 의한 원격자료수신장비 안테나의 거친 구동특성을 보완하고 안정적인 발사체의 위치추정을 위한 2차 회귀기법을 고려하였다. 성능분석을 위해 나로호 1차 비행시험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실시간 발사체의 비행위치정보를 추정한 결과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궤적데이터마이닝의 2차 회귀기법을 적용한 위치추정알고리즘이 기존의 보간법에 의한 위치추정알고리즘보다 향상된 안테나 구동특성 및 추정정확도를 보였다.

발사관제시스템 프로토타입 성능 분석 (LCS(Launch Control System) Prototype Performance Analysis)

  • 홍일희;김양모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2권1호
    • /
    • pp.54-60
    • /
    • 2006
  • LCC(Launch Control Center) in NARO space center performs a data monitoring and control through the interface to the external system of launch vehicle. Launch control function needs high reliability and processing speed. Hence, LCS(Launch Control System) is made up a real time system. An important role of the LCS Prototype is discovering a risk element and minimizing it through developing a launch control system. This paper deals with a real time data processing among the simulator, gateway, data distribution server, command and control server which is involving LCS Prototype.

  • PDF

객체지향 설계론을 이용한 발사체 시뮬레이터 개발 (The Development of Launch Vehicle Simulator Using an Object-orinted Design)

  • 최원;정해욱;서진호;홍일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6-111
    • /
    • 2005
  • LCC(Launch Control Center) in NARO Space Center perform a data monitoring and control through the interface to the external system of launch vehicle. Launch Control function needs a high reliability and processing speed. Hence, LCC's remote control system configure a real time system. An important role of the Simulation system is discovering a risk element and minimize it When developing a launch control system. Also, secure a development technique to solve the risks. Launch Vehicle simulator is composed of various component at characteristic of the Launch Vehicle. To be like this each function component the developer will be able to develop easily in order, it using the LabVIEW which is a Graphical Program and it programs, The LabVIEW GOOP(Graphical Object-orinted Programming) which supports an Object-orinted programming it uses with the Component it develops will have a strong point which reusability and a unit test, maintenance, size of program and individual developments.

  • PDF

우주물체 발사국의 우주활동에 대한 책임과 우리나라 우주정책의 개선방향 (The Liability for Space Activity of Launching State of Space Object and Improvement of Korea's Space Policy)

  • 이강빈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95-347
    • /
    • 2013
  • 우리나라는 2009년 8월 및 2010년 10월에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의 나로우주센터에서 우리나라 최초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1)에 의해 과학위성이 우리의 자력으로 발사되었으나 두 차례 발사가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마침내 2013년 1월 30일 나로우주센터에서 우주발사체 나로호가 3차로 발사되어 나로과학위성을 우주궤도에 진입시키는데 성공하였다. 금번 나로호 발사의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미국, 러시아, 일본, 중국 등에 이어 11번째로 스페이스 클럽(Space Club)반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과 우주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유엔 결의에 따라 1967년 우주조약, 1968년 구조협정, 1972년 책임협약, 1976년 등록협약, 1979년 달 협정 등 우주관련 조약이 채택되었으며 우리나라는 달 협정을 제외한 4개 우주관련 조약에 가입되어 있다. 위와 같은 우주관련 조약에는 우주물체 발사국의 우주활동에 대한 국제책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특히 우주조약에는 우주활동에 대한 국가의 책임원칙을 규정하고 있는바, 동 조약에 의하면 본 조약의 당사국은 달과 천체를 포함한 외기권에 있어서 그 활동을 정부기관이 행한 경우나 비정부기관이 행한 경우를 막론하고 국가 활동에 관하여 그리고 본 조약에서 규정한 조항에 따라서 국가 활동을 보증함에 관하여 국제적 책임을 져야한다. 또한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한 외기권에 물체를 발사하거나 또는 그 물체를 발사하여 궤도에 진입케 한 본 조약의 각 당사국과 그 영역 또는 시설로부터 물체를 발사한 각 당사국은 지상, 공간 또는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한 외기권에 있는 이러한 물체 또는 동 물체의 구성부분에 의하여 본 조약의 다른 당사국 또는 그 자연인 또는 법인에게 가한 손해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책임협약에 의하면 발사국은 자국 우주물체가 지구표면에 또는 비행중의 항공기에 끼친 손해에 대하여 배상을 지불할 절대적인 책임을 진다. 또한 발사국의 과실 책임, 연대책임, 손해배상액을 규정하고 있다. 세계 주요국은 상기 우주관련 조약의 준수 및 자국의 우주개발을 진흥하고 우주활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국내 우주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러시아, 일본 등 주요국의 우주관련 국내법에는 우주물체 발사국 정부의 책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우주개발진흥법에서 정부의 책무로서 정부는 다른 국가 및 국제기구와 대한민국이 맺은 우주관련 조약을 지키며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을 도모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또한 우주물체의 국내등록 및 국제등록, 우주사고에 따른 손해배상책임 등을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우주손해배상법에서 정부는 우주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피해자의 구조 및 피해의 확대 방지에 필요한 조치를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또한 무과실책임 및 책임의 집중, 손해배상책임 한도액, 권리행사의 기간 등을 규정하고 있다. 주요국의 우주관련 국내입법으로는 미국의 국가항공우주법 및 상업우주발사법, 러시아의 우주활동법, 일본의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법 및 우주기본법 등이 있다. 우리나라가 우주물체 발사국으로서 우주관련 조약상 및 국내법상 우주물체 발사국 정부의 책임을 이행하고 우주강국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우주정책 및 법 제도는 다음과 같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우주개발 및 우주활동 관련 법제의 정비이다. 이를 위해 우주개발 및 우주활동에 관한 정부정책 및 규제를 실사하기 위한 법제상의 조치 및 정비를 하고, 또한 유엔 COPUOS에서 채택된 우주의 평화적 탐사와 이용에 관한 국내입법시 고려 사항에 따라 법제 정비를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우주손해배상책임제도의 개선이다. 이를 위해 우주물체의 공동발사 및 위탁발사의 경우 손해배상책임 및 구상권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고, 또한 우주물체 발사자의 책임보험 가입의무를 보다 상세히 규정해야 할 것이다. 셋째, 우주환경 보전정책의 수립이다. 이를 위해 우주개발에 있어서 환경의 배려 및 보전정책을 강구하고, 또한 우주쓰레기 경감을 위한 규범을 채택해야 할 것이다. 넷째, 우주활동 관련 국제협력의 증진이다. 이를 위해 우주의 탐사와 이용에 있어 국가의 국제협력 의무를 준수해야하고, 또한 우주 국제협력을 통해 우주개발 역량을 확보하여 우주 선진국으로 진입해야 할 것이다.

  • PDF

DESIGN OF HIGH SENSITIVE SP ACEBORNE MICROWAVE RADIOMETER DREAM ON STSAT-2

  • Kim Sung-Hyun;Lee Ho-Jin;Yun Seok-Hun;Chae Chun-Sik;Park Hyuk;Kim Yong-Hoon;Park Jeong-oh;Sim Eun-Sup;Zhang De-Hai;Jiang Jing-Sh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526-529
    • /
    • 2005
  • Dual-channel Radiometers for Earth and Atmosphere Monitoring (DREAM) is the Korean first spaceborne microwave radiometer which is the main payload of Science and Technology SATellite-2 (STSAT-2). STSAT-2 will be launched by Korea Space Launch Vehicle-l (KSL V-I) at NARO Space Center in Korea in 2007. DREAM is a two-channel, total power microwave radiometer with the center frequencies of 23.8 GHz and 37 GHz. The spaceborne radiometer is composed of an antenna unit, a receiver unit, and a data acquisition/processing unit. The bandwidths of radiometer are 600 MHz at 23.8 GHz and 1000 MHz at 37 GHz. The integration time of two channels is 200 rns. The sensitivity of DREAM is less than 0.5 K. This paper presents the required performance and system design of DREAM in detail.

  • PDF

AWGN환경에서 적응형 SC/MRC 다이버시티 컴바이너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daptive SC/MRC Diversity Combining using in AWGN)

  • 윤덕원;허성욱;김춘원;최용태;이원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757-763
    • /
    • 2018
  • 무선 채널의 시변 특성 및 경로손실, 지연, 도플러, 쉐도잉 그리고 간섭과 같은 다양한 전파 방해요소로 인해 충분한 데이터 속도 및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을 달성하기 매우 어렵다. 특히 본 논문에서 고려되는 발사체 시스템의 시험 및 평가 시 동체에 장착된 송신안테나와 추적안테나 간의 전파 경로는 발사체의 빠른 이동 및 지형, 지물로 인해 다중경로 페이딩으로 인한 간섭 발생 및 Line of sight(LOS) 전파 경로가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다중 경로 페이딩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 다이버시티 컴바이너 기법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이버시티 컴바이너 기법 중 공간 다이버시티 컴바이너 기법에 대한 설계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AWGN채널 환경에서 Maximum ratio combining(MRC), Selection combining(SC)의 BER성능과 서로 독립된 채널로부터 수신된 2개의 신호 간 SNR 비교 시 설정된 특정 임계값 기준보다 낮은 경우 MRC로 동작하고 높은 경우 SC로 동작하여 수신된 2개의 신호를 컴바이너 하는 적응형 SC/MRC 다이버시티 컴바이너에 대한 BER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확장칼만필터와 UNSCENTED 칼만필터를 이용한 우주발사체의 실시간 궤적추정 (REAL-TIME TRAJECTORY ESTIMATION OF SPACE LAUNCH VEHICLE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AND UNSCENTED KALMAN FILTER)

  • 백정호;박상영;박은서;최규홍;임형철;박종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2권4호
    • /
    • pp.501-51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 따라 개발 중인 KSLV-I 우주발사체가 나로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경우를 가정하여 확장칼만필터와 Unscented 칼만필터를 통한 실시간 궤적추정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의 KSLV-I과 관측 레이더 3기를 바탕으로 실제 궤적을 생성하였으며, 관측자료는 실제 궤적에 관측오차를 고려하여 생성하였다. 이에 대해 초기 추정오차가 작은 경우와 큰 경우로 구분하고, 관측주기가 20Hz와 10Hz인 경우로 나누어 각각 두 필터를 적용해서 성능을 비교하였다. Unscented 칼만필터는 확장칼만필터보다 큰 초기 추정오차에 대해 수렴이 빠르고 정확도가 높으며, 느린 관측주기에도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