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ul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9초

다양한 열 처리방법에 대한 나물류의 엽산 잔존율 (Folate retention in Namul according to various heating methods)

  • 정재은;정혜정;현태선;박수진;천지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25-431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나물류 7종을 표준화된 5가지 다른 조리방법으로 조리 후 엽산 함량 변화 및 잔존율을 비교하였다. 엽산 함량 분석은 trienzyme-L casei 미생물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법은 정확성, 정밀성, 직선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등의 분석수행특성을 측정하여 검증하였으며, 내외부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여 분석의 신뢰도와 숙련도를 평가하였다. 모든 분석법 검증은 AOAC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부합하였으며, 7개월 동안 실시한 내부품질관리 및 숙련도 시험에서 모두 신뢰도 구간에 들어가는 결과를 얻어 본 실험에서 분석된 데이터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조리법에 따른 나물류의 엽산 함량은 조리 전 엽산 함량과는 상관없이 조리 방법에 따라 유의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나물의 종류에 따라 엽산 리텐션에 차이를 보였는데 비교적 튀기기 조리 후 높은 엽산 함량을 보였고, 찌기 처리된 시료에서 낮은 함량이 나타났다. 엽산 잔존율은 취나물과 쑥갓을 제외한 나물류에서는 조리에 의해 전반적으로 증가된 잔존율을 보여, 나물류는 열처리 방법을 통한 조리 후 섭취하는 것이 엽산 섭취에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리 후 변화되는 엽산 함량에 관한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를 국가영양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식식당의 판매 식단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mmercial Menu on Korean Style Restaurant)

  • 문현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1-164
    • /
    • 1994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urvey kinds and frequencies of side dishes served in commercial Korean style restaurant in some part of Korea.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number of side dishes in Tang(Korean soup) was 3.3 that is Bae-chu Kimchi. Si-Kum-chi namul, Moeng-ran jeot and O-jing-o jeot in ordering frequencies. 2. In Chigae(stew) and Pi-bim bab(mixed rice including Sot bab) the average number of side dishes was about 4 Jungol and that of Jim was from 3 to 5 and the kinds of side dishes were variety of menu items. 3. Meons (noodles) were served with 1 or 2 kinds of side dishes those based of Bae-chu Kimchi and added 1 Kind of side dish. 4. Han-jeong-sik (Korean style full course meny) was served with 16 kinds of side dishes averge it was consisted of Bab(steamed rice) side dishes such as U-gu-zi guk(vegetable soup) Deun-jang chigae (fermented soy stew) Hong-o jim (fish stew) Go-sa-ri namul Pulgogi Ho-bak jeon, Beon-sut bokum Yuk hoi Bae-chu kimchi Mung-ran jeot Sae-u tuikim and Gam-ja tuikim in ordering frequences.

  • PDF

전통음식에 대한 경북지역 주부들의 의식 및 실태조사 (A Survey on Awareness and Use for Traditional Foods of Housewives in Kyong-buk Area)

  • 한재숙;한경필;성선향;조연숙;박경숙;김현옥;정종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80-49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awareness and use for traditional foods of housewives in Kyong-buk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Residental areas were city(43.9%) and the county(56.1%). Region were divided as the north resources circle(28.3%) , the east coast circle(21.0%) , the middle west circle(21.7%), and the south city circle(29.0%). The performence degree of times and seasons of the year customs was Seolnal, Chuseuk, Daeboreum and Dongj in order. Preparation foods of Seolnal were deukguk, vegetablejeon, fishjeon, namul and gangjeung in order. Preparation foods of Chaseuk were songpeon, vegetablejeon, namul, fishjeon and fruits in order. The country foods were sikhae, muk, pumkin, golbangiguk, yakga and potato in order.

  • PDF

두류의 항산화활성 검정 (Screening of Antixoidative Activity of Legume Species)

  • 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32-38
    • /
    • 2003
  • 시판되고 있는 두류 13종류의 70% 에탄을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환원력,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 superoxide radical 소저활성,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mitomycin C로 유도된 DNA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억제활성을 지표로 조사하였다. 환원력은 예팥, 속피리, 유월콩 및 적두가 높았다.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조사한 결과, linoleic acid 자동산화계를 이용한 실험계에서 모든 시료가 억제활성을 보인 반면, 토끼 적혈구막 지질과 산화에 대한 억제활성은 쥐눈이콩과 적두, 속피리에서만 관찰되었다.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예팥, 나물콩, 적두, 쥐눈이콩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속피리, 청태, 예팥과 제비콩에서 높았다. Mitomycin C로 유도된 DNA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품종들이 DNA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할 수 있었으나, 특히 예팥, 쥐눈이콩, 나물콩, 녹두, 적두의 억제활성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예팥, 적두, 쥐눈이콩, 속피리가 환원력, 지질과산화 억제, superoxide radical 및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DNA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억제활성 둥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품종임을 알 수 있었다.

고지방과 고당질 식이 섭취 마우스에 있어서 산채나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Sanchae-namul in Mice Fed High-Fat and High-Sucrose Diet)

  • 최하늘;강수정;최은옥;정라나;김정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9-377
    • /
    • 2014
  • Obesity increases oxidative stress, which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and hyperglycem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sanchae-namul (SN) in mice with diet-induced obesity. Five-week-old male C57BL/6J mice were fed a basal or high-fat and high-sucrose (HFHS) diet with or without 3% freeze-dried SN powder composed of chamnamul, daraesoon, miyeokchwi, bangpung namul, and samnamul for 12 weeks after a 1-week adaptation. After sacrifice, serum glucose and insulin were measured and th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HOMA-IR) was determined as well. Hepatic lipid peroxidation, glutathione (GSH), and activities of the antioxidant enzymes were determined. SN given at 3% of the total die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body weight and food intake in mice fed the HFHS diet. Serum glucose and insulin levels, as well as HOMA-IR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N group than those in the HFHS group.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levels in the liver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N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the HFHS group. S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SH levels and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in the liver compared with those in the HFHS group.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N may be useful in alleviating insulin resistance and hyperglycemia in mice fed HFHS diet; further, the improvement of insulin resistance could partly occur by reducing the oxidative stress.

대학급식시설의 위생관리개선을 위한 HACCP 적용에 관한 연구 - 생.숙채류를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HACCP for Hygiene Control in University Foodservice Facility - Focused on Vegetable Dishes (Sengchae and Namul) -)

  • 허영수;이복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3-304
    • /
    • 1999
  • 이 연구는 대학급식소를 대상으로 HACCP 개념을 적용하여 급식되는 생.숙채류(8종류)의 매생물적 품질을 평가하고 음식의 위생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주방의 위생 상태 평가에서 주방 바닥의 물기제거와 조리기구의 소독방법에 대한 기준 설정이 필요하였고, 조리종사자가 위생장갑과 위생적 기구사용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었다. 주방의 배치에서 가열조리대와 선반의 거리가 가까워 가열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선반에 보관된 음식의 미생물 증식 가능온도($5~60^{\circ}C$)에서 다뤄지고 있었으며 육안으로는 신선한 것으로 보였던 원재로의 미생물 수치는 총균수 $10^{5}~10^{7}$, 대장균균 수 $10^{3}~10^{6}$으로 Solberg등이 제시한 총균수 $10^{6}$, 대장균군 수 $10^{3}$을 초과하여 보다 철저한 검수와 적절한 공급자 선정이 필요하였다. 생채의 경우 씻는 과정에서 미생물 수치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배식 단계에서는 모두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숙채는 데치기 혹은 볶는 과정에서 미생물이 거의 사멸되었으나 생채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미생물의 재오염이 발생하였다. 사용도구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 행주를 제외한 배식용기, 조리원의 손, 칼, 야채절단기는 모두 Harrigan과 McCanece가 제시한 총 균수 $100\;\textrm{cm}^2$당 500미만, 대장균군 수 100 $100\;\textrm{cm}^2$당 10 이하의 안전기준치를 초과하여 개선이 요구되었다. 결론적으로 급식되는 음식의 안전을 위해 최상의 원료구입과 음식생산단계에서의 시간단축, 적절한 온도에서는 보고나, 위생적 기구 사용등을 통해 미생물의 증식방지 및 위생 관리에 노력해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