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amed Entity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18초

Classifying Articles in Chinese Wikipedia with Fine-Grained Named Entity Types

  • Zhou, Jie;Li, Bicheng;Tang, Yongwang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8권3호
    • /
    • pp.137-148
    • /
    • 2014
  • Named entity classification of Wikipedia articles is a fundamental research area that can be used to automatically build large-scale corpora of named entity recognition or to support other entity processing, such as entity linking, as auxiliary tasks.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of classifying named entities in Chinese Wikipedia with fine-grained types. We considered multi-faceted information in Chinese Wikipedia to construct four feature sets, designed different feature selection methods for each feature, and fused different features with a vector space using different strategi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explored feature sets and their combination can effective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named entity classification.

한국어 제목 개체명 인식 및 사전 구축: 도서, 영화, 음악, TV프로그램 (Named Entity Recognition and Dictionary Construction for Korean Title: Books, Movies, Music and TV Programs)

  • 박용민;이재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7호
    • /
    • pp.285-292
    • /
    • 2014
  • 개체명 인식은 정보검색 시스템, 질의응답 시스템, 기계번역 시스템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개체명 인식은 일반적으로 PLOs(인명, 지명, 기관명)을 대상으로 하며, 주로 미등록어와 고유명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유명사나 미등록어는 중요한 개체명 후보로 쓰일 수 있다. 하지만 도서명, 영화명, 음악명, TV프로그램명과 같은 제목 개체명은 PLO와는 달리 단어부터 문장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어서 개체명 인식이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뉴스 기사문을 이용하여 제목 개체명을 빠르게 인식하고 자동으로 사전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특수기호로 묶인 어절을 추출하고, 주변 문맥 단어 및 단어 거리를 이용하여 SVM으로 제목 후보들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제목 후보들은 상호 정보량을 가중치로 SVM을 이용해 제목 유형을 분류하였다.

은닉 마르코프 모델과 계층 정보를 이용한 개체명 경계 인식 (Named Entity Boundary Recognition Using Hidden Markov Model and Hierarchical Information)

  • 임희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82-187
    • /
    • 2006
  • 본 논문은 통계 기반 접근 방식인 HMM(Hidden Markov model)과 생물학의 개체명에 관한 온톨로지 정보를 이용한 생물학 문서에서의 개체명(named entity) 경계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31개의 자질 정보를 이용한 평탄화 기법을 사용하며 생물학 개체명의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HMM의 자료 부족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개체명 경계 인식의 학습과 실험을 위하여 GENIA 코퍼스 ver 2.1을 사용하였으며 개체명 경계 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모든 부류를 사용한 경우보다 정확도 및 실행 속도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원거리 감독과 능동 배깅을 이용한 개체명 인식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Distant Supervision and Active Bagging)

  • 이성희;송영길;김학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2호
    • /
    • pp.269-274
    • /
    • 2016
  • 개체명 인식은 문장에서 개체명을 추출하고 추출된 개체명의 범주를 결정하는 작업이다. 기존의 개체명 인식 연구는 주로 지도 학습 기법이 사용되어 왔다. 지도 학습을 위해서는 개체명 범주가 수동으로 부착된 대용량의 학습 말뭉치가 필요하며, 대용량의 학습 말뭉치를 수동으로 구축하는 것은 시간과 인력이 많이 들어가는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말뭉치 구축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개체명 인식 성능을 빠르게 향상시키기 위한 준지도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초기 학습 말뭉치를 구축하기 위해 원거리 감독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배깅과 능동 학습을 결합한 앙상블 기법의 하나인 능동 배깅을 사용하여 초기 학습 말뭉치에 포함된 노이즈 문장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실험 결과, 15회의 능동 배깅을 통해 개체명 인식 F1-점수를 67.36%에서 76.42%로 향상시켰다.

영역별 개체명 사전 자동 구축을 위한 상호 중요도 계산 기법 기반의 집합 확장 시스템 (The Set Expansion System Using the Mutual Importance Measurement Method to Automatically Build up Named Entity Domain Dictionaries)

  • 배상준;고영중
    • 인지과학
    • /
    • 제19권4호
    • /
    • pp.443-458
    • /
    • 2008
  • 오늘날 웹페이지(Web page)는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추출(information extraction)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개체명(named entity)을 웹(Web)을 이용하여 영역별로 자동으로 추출하는 집합 확장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 방식은 전체적으로 3단계의 구성을 가진다. 우선 사전을 구축하고자 하는 영역의 몇 개의 원소를 씨앗단어로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검색되어진 웹페이지와 씨앗단어 정보를 이용하여 패턴 규칙을 추출한다. 추출된 패턴 규칙을 다시 웹페이지에 적용하여 개체명 후보들을 추출하고 최종적으로 추출된 후보들과 웹페이지 사이의 상호 중요도를 재귀적으로 계산하여 개체명 후보들에 대한 순위를 정하게 된다. 이 방식의 실험은 한국어와 영어로 나누어서 실험을 수행하였고, 한국어는 3개의 영역에서, 영어는 8개의 영역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에서는 78.72%의 MAP를 얻을 수 있었고, 영어에서는 96.48%의 MAP를 얻었다. 특히, 영어 개체명 인식에서의 성능은 구글에서 제공하고 있는 구글셋의 결과보다도 높은 성능을 보였다.

  • PDF

Protein Named Entity Identification Based on Probabilistic Features Derived from GENIA Corpus and Medical Text on the Web

  • Sumathipala, Sagara;Yamada, Koichi;Unehara, Muneyuki;Suzuki, Izumi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5권2호
    • /
    • pp.111-120
    • /
    • 2015
  • Protein named entity identification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and fundamental predecessor for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protein-protein interactions from biomedical literature.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use of abstracts of biomedical literature in MEDLINE for protein name identification and present the results of the conducted experiments. We present a robust and effective approach to classify biomedical named entities into protein and non-protein classes, based on a rich set of features: orthographic, keyword, morphological and newly introduced Protein-Score features. Our procedure shows significant performance in the experiments on GENIA corpus using Random Forest, achieving the highest values of precision 92.7%, recall 91.7%, and F-measure 92.2% for protein identification, while reducing the training and testing time significantly.

Towards Effective Entity Extraction of Scientific Documents using Discriminative Linguistic Features

  • Hwang, Sangwon;Hong, Jang-Eui;Nam, Young-Kw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3호
    • /
    • pp.1639-1658
    • /
    • 2019
  • Named entity recognition (NER) is an important techniqu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ata mining and big data analytics. In previous studies, NER systems have been employed to identify named-entities using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prior information or linguistic features; however, such methods are limited in that they are unable to recognize unregistered or unlearned objects. In this paper, a method is proposed to extract objects, such as technologies, theories, or person names, by analyzing the col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certain words that simultaneously appear around specific words in the abstracts of academic journals. The method is executed as follows. First, the data is preprocessed using data cleaning and sentence detection to separate the text into single sentences. Then, part-of-speech (POS) tagging is applied to the individual sentences. After this, the appearance and collo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POS tags is analyzed, excluding the entity candidates, such as nouns. Finally, an entity recognition model is created based on analyzing and classifying the information in the sentences.

HMM에 기반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HMM-based Korean Named Entity Recognition)

  • 황이규;윤보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2호
    • /
    • pp.229-236
    • /
    • 2003
  • 개체명 인식은 질의응답 시스템이나 정보 추출 시스템에서 필수 불가결한 과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HMM 기반의 복합 명사 구성 원리를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한국어에서 많은 개체명들이 하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개체명을 구성하는 단어들 사이와 개체명과 개체명 주위의 단어 사이에도 문맥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어들을 개체명 독립 단어, 개체명 구성 단어, 개체명 인접 단어로 분류하고, 개체명 관련 단어 유형과 품사를 기반으로 HMM을 학습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개체명 인식 시스템은 가변길이의 개체명을 인식하기 위해 트라이그램 모델을 사용하였다. 트라이그램 모델을 이용한 HMM은 데이터 부족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단계 백-오프를 이용하였다. 경제 분야 신문기사를 이용한 실험 결과 F-measure 97.6%의 결과를 얻었다.

Structural SVMs 및 Pegasos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Named Entity Recognition with Structural SVMs and Pegasos algorithm)

  • 이창기;장명길
    • 인지과학
    • /
    • 제21권4호
    • /
    • pp.655-667
    • /
    • 2010
  • 개체명 인식은 정보 추출의 한 단계로서 정보검색 분야 뿐 아니라 질의응답과 요약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tructural Support Vector Machines(structural SVMs) 및 수정된 Pegasos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고 기존의 Conditional Random Fields(CRFs)를 이용한 시스템과의 성능을 비교한다. 실험결과 structural SVMs과 수정된 Pegasos 알고리즘이 기존의 CRFs 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고(신뢰도 9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structural SVMs과 수정된 Pegasos 알고리즘의 성능은 큰 차이가 없음(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수정된 Pegasos 알고리즘을 이용한 경우 CRFs를 이용한 시스템보다 높은 성능(TV 도메인 F1=85.43, 스포츠 도메인 F1=86.79)을 유지하면서 학습 시간은 4%로 줄일 수 있었다.

  • PDF

Improving spaCy dependency annotation and PoS tagging web service using independent NER services

  • Colic, Nico;Rinaldi, Fabio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7권2호
    • /
    • pp.21.1-21.6
    • /
    • 2019
  • Dependency parsing is often used as a component in many text analysis pipelines. However, performance, especially in specialized domains, suffers from the presence of complex terminology. Our hypothesis is that including named entity annotations can improve the speed and quality of dependency parses. As part of BLAH5, we built a web service delivering improved dependency parses by taking into account named entity annotations obtained by third party services. Our evaluation shows improved results and better sp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