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dae stream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1초

경상북도 오십천, 송천천과 남대천의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에 의한 수질평가 (The Water Quality Assessment based on Phytoplankton Community and Physico-chemical Factors of Oship-stream, Songchun-stream and Namdae-stream in Gyeongsangbukdo)

  • 김용진;이옥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28-437
    • /
    • 2013
  •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from 12 sites in Oship-stream, Songchunstream, and Namdae-stream, located Gyeongsangbukdo Uljin-gun, Yeongdeok-gun, and Pyeonghae-eup respectively, were investigated from April 2009 to February 2010. Oship-stream, which is an open estuary, was easily affected by ocean current compared to that of Songchun-stream and Namdae-stream. OS3 and OS4 conductivity was higher with a season average of 3,397 ${\mu}s/cm$. The streams were mesotrophic to hypertrophic.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was about 3mg/L, which was level 2 on the water quality ratings, but a concentration of 5mg/L in April 2009 indicated increased pollution due to drought. A total of 118, 117, and 124 phytoplankton taxa were found in Oship-stream, Songchun-stream, and Namdae-stream, respectively. The apparent dominant species in the polluted waters included Cryptomonas ovata, Fragilaria construens var. venter, Oscillatoria limnetica, O. limosa, and Phormidium tenue. All of Oship-stream, SC2 and SC4 of Songchun-stream, and ND3 of Namdae-stream were eutrophic as a result of standing crop analysis. BOD was highly correlated with chlorophyll-a content(r=0.52). Phosphorus concentration and proliferation of phytoplankton were thought to most affect BOD concentration in all three streams.

강릉 남대천과 연곡천의 수질과 동해 연안으로 방류되는 오염물질의 량 비교 (Comparison of water qualities and pollutants discharged to the East sea of Korea from Namdae and Yeongok stream in the Gangneung city)

  • 윤이용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8-77
    • /
    • 2003
  •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하지만 성격이 서로 상이한 남대천과 연곡천 하구와 연안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오염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하천의 수질과 동해 연안으로 방류되는 오염물질의 량을 2002년 4월부터 11월까지 월 1회씩 7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남대천은 하천수질 기준 II-V 등급으로 변화가 큰 반면, 연곡천은 거의 I, II 등급 수질을 유지하고 있다. 상ㆍ하류간 변화는 물론 시기별 변화폭도 연곡천보다 남대천이 크다. 동해연안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량도 유량이 평균 1.4배 정도 많고 오염물질의 농도도 더 높은 남대천이 연곡천보다 BOD는 15.5배, COD는 2.6배, 총질소는 1.7배, 총인은 6.9배 더 많이 배출시키고 있어 연안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강원도 양양군 광정친 및 남대친산 은어의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of sweetfish from Kwangjune-stream and Namdae-stream in Yangyang-gun, Kangwon-do with the metaeereariae of Metagonimus yokogawai)

  • 손운목;홍성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4호
    • /
    • pp.253-256
    • /
    • 1990
  • 1989년 8월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광정천과 양양읍 남대천에서 잡은 은어에서 요꼬가와 흡충 피낭유충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광정천산 은어는 조사한 28마리 모두(100%)가 피낭유충 양성이었고 어체 마리당 89∼521개 (평균 224개), 어육 g당 12∼55개 (평균 22개)의 감염량을 나타내었으나, 남대천산 은어(6마리)에서는 피낭유충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지역이 요꼬가와흡충 유행지의 하나임을 확인하였다. Key words: Metagonimus yokogawai, metacercarial prevalence, sweetish, Kwangjung·stream, Namdae-stream, Yangyang·gun(Kangwon-do)

  • PDF

강원도 남대천, 연곡천과 사천천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The Phytoplankton community of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of Sacheon-stream in Gangwon-do)

  • 김용진;이옥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3호
    • /
    • pp.281-297
    • /
    • 2011
  • The specie composition, stranding crops and the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studied in three streams,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from May 2008 to February 2009. The water qualities of the three streams which run into estuary were also examined using phytoplankton indicators. As the result, the phytoplankton appeared 94 taxa in Namdae-stream, 79 taxa in Yeongok-stream and 73 taxa in Sacheon-stream, diatoms appeared the most in phytoplankton. Genus Navicula and Cymbella in diatoms appeared to be over 10 taxa in each stream, N. cryptocephala, N. cryptotenella and N. gregaria, the pollution tolerance taxa, appeared more frequent in the downstream. Due to the separation of each substrate by the rapid water velocity in the upstream, Achnanthes minutissima, a known periphyton, was dominant in upstream site at Namdae and Yeongok-stream. Some construction areas and sites of downstream of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were shown to be polluted because pollution tolerance taxa, such as Cyclotella meneghiniana, Nitzschia palea and Oscillatoria limnetica, were dominant. The total of 20 taxa phytoplankton indicators were found, composed of 16 taxa of Water pollution algae including Oscillatoria limosa, 2 taxa of Clean water algae Meridion circulare and Staurastrum puntulatum, 1 taxa of Toxic algae Microcystis aeruginosa and 1 taxa of Taste and odor algae Fragilaria construens. Water pollution indicators were appeared frequently in polluted sites of biological water quality(DAIpo, TDI) and of sites containing high trophic state index(TSI). Therefore, using the phytoplankton indicators can assess water quality through relation of biological water quality and trophic state index.

부착규조지수와 영양단계 평가를 이용한 남대천, 연곡천과 사천천의 수질 평가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Using Trophic Status and Epilithic Diatom Indices)

  • 김용진;이옥민
    • 생태와환경
    • /
    • 제43권1호
    • /
    • pp.117-128
    • /
    • 2010
  • 본 연구는 2008년 5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양양의 남대천, 강릉의 연곡천과 사천천의 이화학적 수질, 영양단계 및 부착규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남대천, 사천천 및 연곡천의 이화학적 수질은 일부 공사구간 및 하류 정점을 제외하고, BOD가 $2mg\;L^{-1}$ 이하의 농도로 대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류정점의 경우 남대천과 사천천이 해수에 의한 염도의 영향과 폐쇄하구의 특성상 영양염의 농축 등 오염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단계 판정결과 남대천은 전지점이 대체적으로 중영양단계를 나타내며, 연곡천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사천천은 전체적으로 부영양단계로 나타났다. 영양단계의 판정은 각 정점간의 결과와 영양염의 유엽 정점을 잘 반영하고 있으나, 강우 및 유량의 변화로 계절별 영양단계는 큰 차이를 나타냈다. 생물학적 수질평가 결과, 남대천은 하류 정점을 제외하고 $\beta\sim\alpha$-빈부수성 이고, TDI는 50 이하로 생물학적 수질이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공사구간과 하류정점은 $\beta$-중부수성이며, TDI는 70 이상으후 생물학적 수질이 다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곡천은 $\beta\sim\alpha$-빈부수성이며, TDI는 40 이하로 대체적으로 생물학적 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천천은 2008년 5월과 2009년 2월의 상류정점을 제외하고 $\beta\sim\alpha$-중부수성 이며, TDI는 70 이상으로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생물학적 수질평가 지수인 DAIpo와 TDI 간에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규조지수인 DAIpo와 TDI는 BOD보다 수질 영 양단계(TSI)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릉 남대천 부유입자유기물의 탄소안정동위원소 비와 C/N 비의 시·공간 변동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δ13C and C/N in Suspen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Gangneung Namdae Stream, Korea)

  • 곽정현;박현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1-539
    • /
    • 2020
  •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quantity, and quality of Suspen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 (SPOM) in the Gangneung Namdae Stream, Korea, we examined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water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lly a (Chl a),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and nitrogen (PON), and carbon stable isotope (δ13C) of SPOM at six stations in June (pre-monsoon), July (monsoon), and September (post-monsoon) 2017. With increasing precipitation, the average POC and C/N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July than in June. In September, the values decreased with decreasing precipitation. The δ13C values showed irregular spatiotemporal fluctuations among the stations and periods, thereby suggesting a greater contribution of autochthonous organic matter to the pool of SPOM than that of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derived from upstream. In addition, the large and irregular changes in POC, C/N ratio, C:Chl a, and δ13C compared to that of PON were observed for all periods among the stations, indicating a serial discontinuity of the stream.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Gangneung Namdae Stream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increase in freshwater discharge caused by heavy rainfalls during the summer monsoon and post-monsoon periods.

하상구조에 따른 4개 하천의 어류 분포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is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Substrate Structure in the 4 Streams)

  • 윤석진;최준길;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2-313
    • /
    • 2014
  • 모래형 하천과 자갈형 하천의 어류군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4개의 하천을 선정하여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Acheilognathus gracilis 외 24종으로 확인되었다.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의 우점종은 Zacco koreanus로 각각 39.9%, 28.4%를 차지하였으며, 양화천은 Rhodeus notatus가 13.6%, 갑천은 Z. platypus가 26.0%로 우점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0.27~0.63, 다양도지수는 1.92~2.67, 균등도지수는 0.6~0.79, 풍부도지수는 3.09~3.53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우점도지수는 홍천강에서 가장 높고,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지수는 양화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성도 길드 분석 결과 하상구조물이 다양한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은 민감종이 각각 50.1%와 46.4%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모래 하상이 높은 양화천과 갑천은 민감종이 각각 0.5%와 5.3%의 희소한 비율을 차지하였다. 하천별 출현한 어류의 종별 개체수와 하상구조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자갈형 하천인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이 종과 개체수는 50.4%, 하상구조는 95.2%로 가장 유사하였다. IBI 분석결과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이 'A등급', 양화천과 갑천이 'B등급'으로 나타났고, 주성분 분석결과 자갈형 하천과 모래형 하천의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남대천 연어(Oncorhynchus keta) 치어의 먹이 생물 (Stomach Contents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Fingerlings in Namdae Stream)

  • 강수경;양현;이채성;최승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2호
    • /
    • pp.86-93
    • /
    • 2007
  • 양양 남대천에 서식하는 연어 치어의 먹이섭식 생태조사를 위해 환경 중 수서곤충 군집과 연어(Oncorhunchus keta) 치어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양양 남대천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은 모두 6목 25과 52종으로, 개체수에 있어서는 파리목(Diptera)이 가장 많은 전체의 91.7%를 차지하였으며, 하루살이목(Ephemeroptera)이 3.6%, 날도래목(Tripchoptera)이 3.3%, 강도래목(Plecoptera)이 1.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중량은 파리목이 전체의 40.9%, 날도래목이 40.3%, 하루살이목이 14.8%, 강도래목이 2.6% 등의 순이었다. 남대천의 수서곤충상과 연어 치어의 위내용물은 개체수나 중량에 있어 대부분 비슷하여 먹이 선택성은 거의 없이 입의 크기에 맞는 모든 살아있는 생물을 섭식하였다. 동소서식어종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연어 치어와 가장 유사한 위내용물을 보인 종은 산천어의 치어였다. 연어 치어와 동소적으로 서식하는 어종들의 먹이생물을 분석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연어 치어 방류사업에 있어 하천 수용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강릉 남대천 수계의 비소(As) 농도 분포 및 거동특성 연구 (Level and Fate of Arsenic(As) in the Namdae Stream)

  • 윤이용;김경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9-157
    • /
    • 2000
  • 깅릉 남대천 수계에서 처음으로 용존 비소(As)의 분포와 거동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풍수기인 1997년 8월 28일(최종 방류량; $1.97{\times}10^6$ 톤/일)과 갈수기인 동년 11월 21일(최종 방류량; $0.13{\times}10^6$ 톤/0일). 두 차례에 걸쳐 조사된 As의 농도 분포는 같은 시기에 조사된 다른 중금속들과 다소 차이를 보인다. 도암댐 보다 오봉댐 유출수의 농도가 미소하게 높았고, 갈수기인 11월 하류부의 농도 급증현상도 나타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풍수기인 8월 하류부의 농도보다도 낮았다. 그리고 두 조사기간사이의 농도차가 미비하며, 원시적인 강들과 세계평균치에 비해서도 비교적 낮은 농도로서 남대천 수계에서는 As의 인위적인 오염원이 없고, 자연적인 배경농도(background level)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하구에서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과정에서는 외부 유입이나 제거 기작없이 염분과 함께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보존적인 분포를 보이며, 남대천을 통하여 동해로 유출되는 As의 양은 연간 65.12kg 정도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Loading in Namdae-cheon Watershed

  • Choi, Jin-Kyu;Son, Jae-Gwon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49-56
    • /
    • 2003
  •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ing from watershed may cause a problem to the water quality of the reservoir and stream. The characteristics of stream flow and water quality were monitored to investigate the runoff loading of the Namdae-cheon watershed from May in 1999 to October in 2003. Stage-discharge rating curve at the stream gauging site was established, and annual stream runoff of the study watershed was estimated as 499.4∼1,330.8mm during four years. The concentrations of total-nitrogen and total-phosphorus of stream water quality ranged from 0.76 to 6.95mg/L and from 0.0010 to 0.2276 mg/L, respectively, where T-N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water quality standard 1.0 mg/L for agricultural water use. The loads by unit generation of pollutant mass with respect to population, livestock, land use in this watershed were calculated. The runoff pollutant loadings by concentrations of total-N and total-P were estimated during study period, where the annual runoff loading of total-P was much less than the load by pollutant mass unit generation. The relations between stream discharge and water quality were analysed, and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for total-N but low for total-P. These results will be used to develop the monitoring techniques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agricultural water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