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NongSo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43초

Transformation of vitamin C biosynthesis related genes

  • Hwang, Kyung-Hee;Cho, Yi-Nam;Park, Jung-Mi;Song, Min-Jung;Won, Dong-Chan;Lim, Byung-Whan;Park, Young-Soo;Chae, Won-Ki;Min, Byung-Whan;Harn, Chee-Hark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한일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엄
    • /
    • pp.182-182
    • /
    • 2005
  • PDF

남농(南農) 허건(許楗) '신남화(新南畵)'의 회화심미 고찰 (A Study on the Painting's Aesthetic of Namnong Heo Geon's NewNamhwa)

  • 김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87-195
    • /
    • 2021
  • 광복 이후의 한국 화단은 일본화풍의 탈피와 전통회화의 재인식 및 재창조를 통한 한국적 미의식을 확립하고 자 탐구하였다. 조선 후기 호남 화단의 실질적 종조(宗祖)라 불리었던 소치(小癡)의 손자로 태어난 남농(南農) 허건(許楗)(1908~1987)은 이러한 한국 화단의 현실을 직시하고 한국 남종화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이를 변유적으로 재인식·재창조하여 현대적 서구양식과 실경을 융합한 파격적 구도로 '신남화(新南畵)'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등 한국 남종화를 현대적으로 계승 발전시킨 한국화단의 거목이다. 남농(南農)의 회화세계는 관지(款識)를 근거로 하여 1930년대 '남농산인(南農山人)' 시기, 1940년대 중반~50년대 초반 '남농외사(南農外史)' 시기, 그 이후의 '운임산방주인(雲林山房主人)' 시기 등 총 3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남농산인(南農山人) 시기는 소치(小癡)와 미산(米山)의 전통 남화의 가전화풍을 온전히 습득하고, 선전(鮮展) 출품을 위한 일본화풍의 반영으로 향토적 실경을 많이 다루어 가전화풍과 일본화풍의 혼재기이다. 남농외사(南農外史) 시기에는 해방 이후 새로운 조형성을 전통 남화풍에서 탐색하였다. 특히 남도의 풍경과 정감을 기반으로 하여 자유분방한 농담 조절과 함께 속필과 독필, 갈필로 대상을 표현하면서 서정성과 향토애 짙은 실경향토화와 산수화에 주력하였다. 운임산방주인(雲林山房主人) 시기는 현대미술의 흐름에 어느 정도 부합하면서도 전통 회화에 걸맞는 사의적 문향이 넘치는 구도로 차츰 생략화되면서 개성적 화법을 강하게 드러낸 갈필, 독필, 속필의 적절한 운용을 통해 수묵담채의 서정적인 산수와 소나무를 많이 그렸다. 그의 산수화와 향토화는 누구에게나 체험적인 친근감과 정감을 자아내게 하는 모습을 담고 있으며 향수애와 자연애를 담고 있다. 남농(南農)은 이를 '신남화(新南畵)'로 명명하였다. 남농(南農)은 '남화연구원'을 설립, 후진양성에 진력하였는데, 이곳에서 임인(林人)의 아들인 許文과 남농(南農)의 장손자인 허전(許塡) 등이 수련하여 5대째 운림산방의 화맥을 계승하고 있다.

Double Mutations in eIF4E and eIFiso4E Confer Recessive Resistance to Chilli Veinal Mottle Virus in Pepper

  • Hwang, JeeNa;Li, Jinjie;Liu, Wing-Yee;An, Song-Ji;Cho, Hwajin;Her, Nam Han;Yeam, Inhwa;Kim, Dosun;Kang, Byoung-Cheorl
    • Molecules and Cells
    • /
    • 제27권3호
    • /
    • pp.329-336
    • /
    • 2009
  • To evaluate the involvement of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s eIF4E and eIFiso4E in Chilli veinal mottle virus (ChiVMV) infection in pepper, we conducted a genetic analysis using a segregating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Capsicum annuum 'Dempsey' containing an elF4E mutation ($pvr1^2$) and C. annuum 'Perennial' containing an elFiso4E mutation (pvr6). C. annuum 'Dempsey' was susceptible and C. annuum 'Perennial' was resistant to ChiVMV. All $F_1$ plants showed resistance, and $F_2$ individuals segregated in a resistant-susceptible ratio of 166:21, indicating that many resistance loci were involved. Seventy-five $F_2$ and 329 $F_3$ plants of 17 families were genotyped with $pvr1^2$ and pvr6 allele-specific markers, and the genotype data were compared with observed resistance to viral infection. All plants containing homozygous genotypes of both $pvr1^2$ and pvr6 were resistant to ChiVMV, demonstrating that simultaneous mutations in elF4E and eIFiso4E confer resistance to ChiVMV in pepper. Genotype analysis of $F_2$ plants revealed that all plants containing homozygous genotypes of both $pvr1^2$ and pvr6 showed resistance to ChiVMV. In protein-protein interaction experiments, ChiVMV viral genome-linked protein (VPg) interacted with both eIF4E and eIFiso4E. Silencing of elF4E and eIFiso4E in the VIGS experiment showed reduction in ChiVMV accumul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hiVMV can use both eIF4E and eIFiso4E for replication, making simultaneous mutations in eIF4E and eIFiso4E necessary to prevent ChiVMV infection in pepper.

한방처방구성원리(韓方處方構成原理)의 과학적(科學的) 해석연구(解釋硏究) (IV) -금궤요락 처방(處方)의 통계적(統計的) 분석연구(分析硏究)- (Scientic Analysis of Fundamental Formulation Theory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al Polyprescription (IV) -Statistical Analysis of Gum-goe-yo-rak Prescriptions-)

  • 정현식;장준복;김남재;송병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20-233
    • /
    • 1998
  • This study was made to objectify the principle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s so that we could obtain the principle and the formulation of them For that purpose, we analysed the formula and rule of 205 prescriptions recorded in Gum-goe-yo-rak, which have a few of components, and are widely used in clinical from ancient times to these days. At first we classified those prescriptions by their effect. Then we re-classified the herbs of the effect groups into four natures (cold, hot, warm and cool) and five kinds of flavors (sour, bitter, sweet, acrid and salty). And we classified the herbs into three grades - superior, medium, and inferior - which were used in Shen Nong's Herbal Classic. By these means, we statistically evaluated the prescriptions recorded in Gum-goe-yo-rak based on the Four Regular Components(Monarch, Minister, Assistant, and Laborer). As a result we could obtain some facts about the prescriptions recorded in Gum-goe-yo-rak, those are what kind of herbal material was used frequently and distribution of the natures flavors and grades according to thier effects. And we are sure that these results can be great help for establishment of fundamental formulation of theory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al polyprescription.

  • PDF

정유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수삼 저장병 방제 (Environment Friendly Control of Gray Mold, a Ginseng Storage Disease Using Essential Oils)

  • 김중배;김남규;임진하;김선익;김현호;송정영;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36-241
    • /
    • 2009
  • 본 연구는 정유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으로 Botrytis cinerea에 의한 수삼 저장병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유의 일종인 methyl eugenol은 200 ppm 농도의 배지상에서 80% 이상의 높은 균사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상온에서 수삼에 직접 처리 시 무처리구에서 80% 이상의 발병률을 보일 때 methyl eugenol이나 thymol 모두 분무와 침지처리구에서 10~20% 이하로 낮게 발병하여 높은 병 방제효과를 보였다. 저온($4^{\circ}C$)에서의 처리결과도 실온과 비슷하게 포장크기와 상관없이 무처리구에 비해 발병률이 매우 낮게 나타나 역시 실용적인 효과가 뛰어났다. 2 kg 이상을 분석한 대포장 실험에서도 무처리구는 발병지수가 1.65를 보인 반면 methyl eugenol은 0.60으로 개체별 발병면적이 상대적으로 매우 좁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 물질(methyl eugenol+thymol)의 혼합처리에 의한 상승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Methyl eugenol은 잔류독성이 없고 수삼 저장병 발생 억제효과가 뚜렷해 수삼 저장 시 처리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제제로서 활용 가능하며 특히 신선한 상태로 섭취가 가능해야하는 수삼의 특성으로 볼 때 수삼 저장병 방제제로서의 활용가치는 더욱 클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