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ked barley grain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19초

Relationship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thanol Yield of Korean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s

  • Lee, Mi-Ja;Kim, Yang-Kil;Park, Jong Chul;Kim, Young-Jin;Kim, Kyeong-Hoon;Choi, Induck;Choi, Jae-Seong;Kim, Kee-Jong;Kim, Hyung-S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01-408
    • /
    • 2012
  • The grain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barley cultivars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ethanol yield. Test weight, grain yield, and starch yield showed noticeable variation among the cultivars. Grain yields were higher in covered barley and non-waxy barley. Starch yield was higher in non-waxy barley than waxy barley. Protein, ${\beta}$-glucan, and starch content of tested cultivars ranged in 10.0-12.9%, 4.4-7.5% and 49.7-65.3%, respectively. Naked barley cultivar had higher starch content than covered barley cultivar. However, covered barley had high starch yield because it has higher grain yield than naked barley. Covered barley cultivar had higher husk content, ranging 7.6-14.0%, than that of naked barley cultivar, ranging 5.3-8.0%. Starch cont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ylose content, test weight, ethanol yield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tein, husk, ${\beta}$-glucan content. Ethanol yield per t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rch content,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husk content. Ethanol yield per hecta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rch yield, grain yield, grain weigh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tein, test weight. From this research,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barley cultivar as a bioethanol producing material were starch content and grain yield. Optimum barley genotype was non-waxy naked barley that had low protein, ${\beta}$-glucan, husk content, and high starch content and grain yield.

보리의 종류를 달리한 보리식혜의 이화학적 특성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khyes made of Different Various of Barley)

  • 김안나;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0-41
    • /
    • 2015
  • 보리의 이용증대와 식혜 제조 시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인 엿기름 함량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리의 종류(자수정보리, 검정보리, 늘보리, 늘찰보리, 쌀보리, 쌀찰보리)를 달리하여 전통음료인 식혜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리 입자의 장폭비를 측정한 결과, 검정보리가 가장 높았으며, 자수정보리가 가장 작았다. 보리밥알의 수분은 54.96~71.74%의 함량을 보였다. 당화액의 pH는 5.40~5.63의 범위였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15.37~18.73 brix%의 범위로, 늘찰보리로 제조한 식혜의 당화액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가장 높으며, 검정보리로 제조한 식혜에서 가장 낮았다. 환원당 측정결과, 4.35~7.42 mg/ 100 g의 값을 보였으며, 늘찰보리에서 가장 높은 환원당의 값을 검정보리에서 가장 낮은 환원당 값을 보여, 가용성 고형분함량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밥알과 당화액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검정보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보리식혜의 특성차이 검사 결과, 밥알의 통통함은 검정보리가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늘찰보리가 낮게 평가되었다. 밥알의 삼킨 후의 느낌은 검정보리가 강하게, 늘찰보리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밥알의 통통함 항목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호도 검사 결과, 외관은 쌀찰보리와 쌀보리로 만든 식혜가 높았으며, 냄새는 자수정보리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텍스처에서는 쌀보리와 쌀찰보리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쌀보리로 제조한 식혜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위와 같이 보리의 품종에 따라 식혜 품질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늘찰보리와 쌀보리로 식혜 제조 시 엿기름의 함량을 늘리지 않으면서도 당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쌀보리 종실 내 미생물 분포와 생균제 접종이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bial Flora and Inoculation of Probiotics on Fermenting Characteristics of Naked Barley Grain (Hordeum Vulgare L.))

  • 안혜진;김기현;조은석;김조은;김광식;김영화;송태화;박종호;강환구;장선식;오영균;천동원;설국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1-326
    • /
    • 2015
  • 본 시험은 동계작물인 쌀보리의 알곡에 대한 사료로서의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미생물 분포를 분석하고, 발효과정중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의 변화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발효사료 제조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즉, 수확된 쌀보리 종실에 시판 생균제를 기준에 맞게 접종한 후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밀봉하여 $37^{\circ}C$에서 7일간 발효를 통해 쌀보리 종실의 저장성과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쌀보리 종실 자체에 Staphylococcus속과 Bacillus속의 미생물들이 다수 존재하여 자연발효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생균제를 접종하지 않은 쌀보리 종실도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산도가 저하되고 유산균 수가 증가하여 발효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쌀보리 종실에 생균제를 접종하였을 경우, 발효 7일차에 pH가 $4.33{\pm}0.02$로 발효가 더 빨리 진행되었으며, 유산균의 수도 전체 발효기간 동안 미 접종 대조구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으나, 효모의 수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발효에 의해 쌀보리 종실의 산도가 저하됨에 따라 초기 $10^7cfu/g$ 이상 검출되었던 대장균이 발효 7일차 이후부터는 전혀 검출되지 않아 발효가 쌀보리 종실의 안전성을 유지시키는 데 있어 효과적인 저장방법으로 나타났다.

Varietal and Annual Variations of β-Glucan Contents in Korean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Oat (Avena sativa L.) Cultivars

  • Lee, Mi-Ja;Yoo, Jae-Soo;Kim, Yang-Kil;Park, Jong-Chul;Kim, Tae-Soo;Choi, Jae-Seong;Kim, Kee-Jong;Kim, Hyung-S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84-291
    • /
    • 2011
  • Varietal and annual variations in the contents of ${\beta}$-glucan fractions per weight grain samples were examined in sixteen covered and eighteen naked barley and five oat cultivars developed in Korea. Also, the effect of pearling on ${\beta}$-glucan content was investigated. Average contents of total, soluble and insoluble ${\beta}$-glucan fractions were 5.25, 3.72, and 1.53%, respectively, in covered barley, and 5.86, 3.51, and 2.35%, respectively, in naked barley. Soluble ${\beta}$-glucan content was higher in covered barley, though total ${\beta}$-glucan content higher in naked barley. The total and insoluble ${\beta}$-glucan contents were higher in pearled grains. Total ${\beta}$-glucan content was higher in waxy barley than in non-waxy barley. Duwonchapssalbori, a two-rowed and waxy naked barley cultivar, was highest in total, soluble and insoluble ${\beta}$-glucan contents.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otal ${\beta}$-glucan and soluble ${\beta}$-glucan contents both in covered and naked barley. There were significant annual variations in total ${\beta}$-glucan content in barley. Average contents of total, soluble and insoluble ${\beta}$-glucans of oat cultivars were 4.33, 3.44, and 0.89%, respectively. Contents of all fractions of ${\beta}$-glucans were higher in barley than in oat. These results would be useful for the breeding of high ${\beta}$-glucan variety and also for the use barley and oat as valueadded food ingredients.

보리호위위병(BaYMV)이병에 따른 쌀보리 품종의 생육특성 및 품질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ain Quality of Naked Barley Infected by Barley Yellow Mosaic Virus)

  • 이중호;김양길;서재환;박종철;최재성;김수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01-505
    • /
    • 2003
  • 보리호위축병 피해지역에 대한 수량감소의 예측을 위하여, 보리호위축병(BaYMV)에 대한 저항성 품종과 이병성 품종간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증질 변이를 건전구와 이병구에서 비교 조사하였다. 1. 보리호위축병의 이병주는 BaYMV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병정도는 감수성 품종인 백동에서 9, 저항성 품종인 내한쌀보리에서 1정도 발병하였다. 2. 감수성 품종인 백동은 천립중을 제외한 간장, 수당립수, $\textrm{m}^2$당 수수 등의 수량구성요소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수량은 대조구의 20%수준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3. 보리호위축병 감염구에서 종자의 발아율은 감수성 품종과 저항성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정립률은 감수성 품종인 백동에서 설립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정립률과 조단백질 함량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보리호위축병은 간장, 수량, 정립률, 수수, 천립중, 1수립수 등의 피해와 부의 상관을, 조단백질 함량과는 정의 상관을 보여 보리호위축병에 이병이 되면 수량 및 품질에 크게 피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 보리 및 겉 보리 취반에 대한 역학적 연구 (Kinetic Studies on Cooking of Naked and Covered Barley)

  • 김혜란;김성곤;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2-125
    • /
    • 1980
  • 표준 도정한 쌀 보리(품종 세도하다까) 및 겉 보리 (수원 18호)의 취반에 대한 기작을 연구하였다. 취반 (취반 온도 $90^{\circ}{\sim}120^{\circ}C$) 후 입자의 경도는 texturometer로 측정하였다. 쌀 보리나 겉 보리는 비슷한 취반양상을 보이며 고온($110^{\circ}C$이상)에서는 갈변 현상과 동시에 입자 자체는 붕괴하면서도 연화도는 계속 증가하였다. 취반 속도는 1차 반응의 식으로 표시될 수 있었으며 취반의 활성화 에너지는 $100^{\circ}C$ 이하에서는 약 16,000cal/mole, $100^{\circ}C$ 이상에서는 약 9,500 cal/mole이었다. 보리의 취반 과정은 다음의 두 기작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즉 취반 온도 $100^{\circ}C$ 이하에서는 보리의 성분 및 물에 의한 화학 반응이, 취반 온도 $100^{\circ}C$이하에서는 보리의 성분 및 물에 의한 화학 반응이, 취반 온도 $100^{\circ}C$ 이상에서는 취반된 부분으로부터 취반되지 않은 부분 (즉 반응이 진행되고 있는 부분)으로의 물의 확산 속도가 취반 속도를 제한하였다.

  • PDF

곡물(糓物)의 열전도계수(熱傳導係數)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rmal Conductivities of Grain)

  • 김만수;고학균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7권1호
    • /
    • pp.1-16
    • /
    • 1982
  • The thermal conductivies of grain are influenced by many physical factors such as' initia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composition, bulk density or porosity of grain. However, not only few researchers considered all these factors in determining thermal conductivities of grain but also many researchers considered only moisture content as a major effective factor on the thermal condu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erimentally determine 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rough rice (3 Japonica-type, 3 Indica-type) and barley(covered, naked) as a function of initia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and porosity of grai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ose physical factors on 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gr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time correction value for this experimental apparatus was 7 sec, which. was insignificant to the calculated thermal conductivity. The resulting conductivity for considering time correction value was only 4.9 percent higher than that calculated by the non-corrected equation. 2.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in the range of 0.1208~0.2058W/$m^{\circ}K$ for naked barley, 0.1138~0.1724W/$m^{\circ}K$ for covered barley, 0.0912~0.1864W/$m^{\circ}K$ for Japonica-type rice and 0.086~0.1774W/$m^{\circ}K$ for Indica-type rice. 3. 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grain increased with initial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f grain but decreased with porosity of grain. 4. The regression equations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each grain were determined as a function of initia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and porosity. The regression equations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both Japonica-type and Indica-type rough rice were also determined.

  • PDF

시판 소포장 보리쌀의 품위 평가 (Evaluation of External Quality of Polished Barley)

  • 배숙현;김홍식;정승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24-133
    • /
    • 2009
  • 시중에서 수집한 소포장 보리쌀의 외관과 품위를 평가하여 일반 소비자들을 위한 브랜드 보리쌀의 품질 등급 기준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전국의 중대형 슈퍼마켓에서 2007년 6월$\sim$7월에 수집한 소포장 보리쌀 61점(쌀보리쌀 28점, 찰보리쌀 23점, 재래시장 보리쌀 10점)을 식물자원학과 유전육종학실험실에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브랜드 보리쌀의 포장단위는 $200{\sim}1,000\;g$이었는데, 1,000 g 포장된 것이 56.8%였으며, 800 g 포장이 25.4%였는데, 찰보리쌀은 800 g 포장이 많았고, 쌀보리쌀은 $200{\sim}300\;g$의 작은 단위로 포장된 것도 있었다. 재래시장 보리쌀의 한 되 평균 중량은 1,159 g이었는데, $762{\sim}1,732\;g$의 범위로 차이가 컸다. 2. 보리쌀의 1,000립중은 평균 $20.1{\pm}2.51\;g$이었는데, 쌀보리쌀은 $18{\sim}28\;g$였고, 찰보리쌀은 $14{\sim}26\;g$이었으며, 쌀보리쌀은 $20{\sim}22\;g$이 39.2%이고, 찰보리쌀은 $18{\sim}20\;g$이 43.47%로 가장 많았다. 3. 보리쌀의 정립율은 쌀보리쌀이 평균 88.0%였고, 찰보리쌀은 평균 94.3%로 찰보리쌀의 정립율이 더 높았는데, 쌀보리쌀의 정립율이 현저히 낮은 것은 싸라기율이 높기 때문이었다. 재래시장 보리쌀의 정립율은 평균 69.7%로 브랜드 보리쌀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4. 브랜드 보리쌀의 용적중은 평균 $843\;g{\cdot}L^{-1}$였고, $805{\sim}917g{\cdot}L^{-1}$의 범위였는데, 가장 높은 것은 쌀보리쌀의 $917g{\cdot}L^{-1}$였고, 가장 낮은 것은 쌀보리쌀의 $805g{\cdot}L^{-1}$였으며, 변이계수로 보아 찰보리쌀의 용적중 변이가 더 컸다. 5. 브랜드 보리쌀의 수분함량은 평균 14.75%였는데, 찰보리쌀은 평균 16.2%로 수분함량이 높았고, 쌀보리쌀은 평균 13.75%로 찰보리쌀에 비하여 낮았다. 6. 쌀보리쌀의 길이는 평균 4.61 mm였고, 폭은 평균 3.05 mm였으며, 두께는 평균 2.12 mm였고, 찰보리쌀은 길이가 평균 4.44 mm였고, 폭은 평균 2.89 mm, 두께는 평균 2.06 mm로 쌀보리쌀이 찰보리쌀에 비하여 모두 컸다. 7. 보리쌀의 장폭비는 대부분이 $1.4{\sim}1.9$의 범위였으며, 장폭비는 쌀보리쌀이 $1.51{\pm}0.10$, 찰보리쌀이 $1.74{\pm}0.13$으로 찰보리쌀이 약간 길었으나 최대값과 최소값은 각각 $1.31{\sim}1.70$$1.33{\sim}1.74$로 차이가 없었다. 보리쌀의 입장과 입폭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입후와는 상관이 없었다. 8. 백도는 쌀보리쌀이 $34.2{\pm}7.34$였고, 찰보리쌀은 $27.3{\pm}10.21$였으며, 재래시장에서 판매되는 보리쌀은 $40{\pm}6.12$로 찰보리쌀이 가장 낮고 재래시장의 보리쌀이 가장 높았다. 9. 쌀보리쌀의 가열흡수성은 평균 215.41%였으며, 대부분이 $200{\sim}220%$였고, 퍼짐성은 평균 379.68%였으며, 주로 $350{\sim}400%$였다. 찰보리쌀의 가열흡수성 평균은 231%였고, 주로 $240{\sim}260%$였으며, 퍼짐성은 평균 401%였고, 주로 $400{\sim}450%$가 많았다.

복합종자세지수를 이용한 보리 포장출아률과 수량예측 (The Use of Multiple Seed Vigor Indices to Predict Field Emergence and Grain Yield of Naked and Malting Barley)

  • Kim, Seok-Hyeon;Bin, Yeong-Ho;Choe, Zhin-R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4-141
    • /
    • 1989
  • 보리종실의 샐리적 특성을 포장출아력과 비교함으로써 포장유묘출아율과 수량의 예측에 적합한 검정방법을 구명하고자 맥주보리 2품종과 쌀보리 2품종을 인위노화처리시켜 고온발아검정(warm germination test), 저온발아검정(cold germination test), Tetrazolium 유모세검정(TZ vigor test), 전기전도도검정(electroconductivity test)의 결과를 포장출아율 및 수량과 비교 검토 하였다. 고온발아검정과 저온발아검정이 포장출아율 예측에 효과적인 검정법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관계는 맥주보리에서는 Y(포장출아율)=-2.962+0.229X$_1$ (% warm germination) -0.001X$_2$ (vigor, WGT) +0.354X$_3$ (vigor, CT) -0.558X$_4$ (% cold germination)으로 나타났다. 다중화귀방정식의 결정계수는 맥주보리의 경우 고온발아검정에서의 발아율만으로 포장출아율을 64%예측할 수 있었다. 고온발아유묘세, 저온발아유묘세, 저온발아율은 각각 4, 7, 9%씩 결정계수를 높혔다. 네가지 검정치의 누가적 예측효율은 맥주보리에서 84%, 쌀보리 54%였다. 수량에서는 포장출아율에서 보다 맥주보리, 쌀보리 공히 예측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