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kdong river water system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2초

김해시 대동면 범람원 지역의 양·배수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mping and Drainage Systems of the Floodplain at Daedong-myeon, Gimhae-si)

  • 한수경;손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3
    • /
    • 2011
  • 김해시 대동면 일대에는 자연배수를 위한 승수로, 안정적인 용수 확보를 위한 터널 굴착, 야주하천의 인위적 직강화, 일반적인 형태의 양·배수장 등, 범람원에서 볼 수 있는 각종 양·배수시설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이들 시설의 개발, 유지, 운영에는 범람원 지역의 지형 조건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운하천 유역의 경우, 운하천 취수문만 열면 자연 경사에 의해 얼마든지 낙동강 본류의 물을 양수할 수 있고, 연구지역에서 가장 큰 양수장인 월당양수장에서 낙동강 본류의 물을 직접 양수할 수 있다. 감내천은 한때 운하천(이전 하동천)의 상류였으며, 현재는 덕산승수로를 통해 낙동강으로 배수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수체계는 운하천 저지대의 홍수 피해 및 배수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안동호-임하호 연결에 따른 물 이동과 수온성층 변화 (Water Transportation and Stratification Modification in the Andong-Imha Linked Reservoirs System)

  • 박형석;정세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43
    • /
    • 2014
  • Recently, Andong Reservoir and Imha Reservoir located in Nakdong River basin (Korea) are being connected by a tunnel (length 2km, diameter 5.5m) for a conjunctive u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nstruct a two dimensional(2D) laterally-averaged model for two reservoirs, and examine the effects of connection on the water transportation and temperature stratification in the reservoirs. The 2D models for each reservoir were calibrated using field data obtained in 2006, and applied to the linked system for the year of 2002 when a severe flood intruded into Imha Reservoir during the typhoon Rusa.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364 million $m^3$ of water can be conveyed from Imha to Andong, while 291 million $m^3$ of water from Andong to Imha after connection. It resulted in 1.38 m increase of annual averaged water level in Andong Reservoir, whereas 3.75 m decrease in Imha Reservoir. The structures of thermal stratification in both reservoirs were influenced in line with the flow exchanges. In Andong Reservoir, the location of thermocline moved upward about 10 m compared to an independent opera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persistent turbidity issue of Imha Reservoir might be shifted to Andong Reservoir during a severe flood event after connection.

실시간 수질관리도구로서의 3차원 수질모형의 최적 격자크기 산정 (Plausible grid size for a real time decision making system based 3D water quality model)

  • 안기홍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4호
    • /
    • pp.575-583
    • /
    • 2011
  • In this study, the plausible grid size was estimated to increase for efficiency of reservoir management using 3 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To validate utilization of a real time water quality management tool, ELCOM-CAEDYM model was applied to Soyang reservoir in korea. 100m grid size can represent the real topography and take out exact analysis results. $400{\times}400m$ grid can be easily used to analysis because of data capacity. Consequently, the grid size of 200m or 300m was recommended to establish 3D model considering the required simulation time and the irrelevance between horizontal grid size and vertical distribution for temperature and turbidity analysis.

한국산 유독 남조류의 독소함량을 근거로 한 조류경보제 발령기준 검토 (Investigation of Criterion on Harmful Algae Alert System using Correlation between Cell Numbers and Cellular Microcystins Content of Korean Toxic Cyanobacteria)

  • 박혜경;김화빈;이재정;이재안;이혜진;박종환;서정관;윤석제;문정숙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91-498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ranges of total cellular microcystins content of cyanobacterial blooms collected in Korean lakes and rivers from 2005 to 2009. The amount and composition of microcystins of Korean cyanobacteria varied depending on the sampling water bodies and dominant cyanobacterial genera. Toxic cyanobacterial cell numbers equivalent to $1{\mu}g$ MCYSTs/L using total cellular microcystin content of Korean cyanobacteria were in the range of 2,348 to 66,980,638 cells/mL. Only four samples among forty nine samples showed less cell numbers than current criterion of Harmful Algae Alert System, 5,000 cells/mL indicating current criterion do not reflect properly the microcystins content of Korean cyanobacteria. Anabaena and Aphanizomenon spp. showed three to six times higher cell numbers equivalent to $1{\mu}g$ MCYSTs/L than Microcystis spp. To propose criteria of Harmful Algae Alert System for Korean toxic cyanobacteria, we calculated about 50% selective geometrical means of cyanobacterial cell numbers equivalent to $1{\mu}g$ MCYSTs/L in order of toxic content. The proposed criteria for Microcystis, Oscillatoria, Anabaena, and Aphanizomenon spp., are 10,000, 20,000, 40,000, and 80,000 cells/mL, respectively.

Early Life History of Rhodeus Fish (R. uyekii and R. ocellatus) in the Nakdong River Water System

  • Park, Jae-Min;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1호
    • /
    • pp.39-5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arly life history of the Rhodeus fish, Rhodeus uyekii and R. ocellatus, in the Nakdong River to use as the preliminary data for the systematic study. The embryos used in the study were fertilized eggs (embryo) and larvae after artificial fertilization. The long diameter of the eggs of the R. uyekii was 3.39-3.97 mm (average $3.68{\pm}0.41mm$, n=30) and the short diameter was 1.36-1.55 mm (average $1.45{\pm}0.13mm$, n=30). The long diameter of the eggs of the R. ocellatus was 2.53-2.71 mm (average $2.62{\pm}0.12mm$, n=30) and the short diameter was 1.47-1.60 mm (average $1.53{\pm}0.09mm$, n=30). Hatching time was 48 hours for the R. uyekii and 50 hours for the R. ocellatus given that the average water temperature was $21.5^{\circ}C$. The hatched larvae were 4.95-5.00 mm (average $4.98{\pm}0.04mm$, n=5) for the R. uyekii and the total length was 3.66-3.69 mm (average $3.67{\pm}0.02mm$, n=5) for the R. ocellatus. R. uyekii was found to be 15.5-15.8 mm at total length (average $15.6{\pm}0.21mm$, n=5) on the 56 days after hatching with the number of dorsal fins being ⅲ-9, anal fins ⅲ-10, ventral fins ⅲ-5. The R. ocellatus was found to be 15.8-16.0 mm (average $15.9{\pm}0.14mm$, n=5) at total length on the 58 days with the number of dorsal fins being ⅲ-11, anal fins ⅲ-12 and ventral fins ⅲ-5 where the number of all fin stalks reached maximum.

음향카메라시스템을 이용한 낙동강어도의 어류모니터링 (Fish Monitoring through a Fish Run on the Nakdong River using an Acoustic Camera System)

  • 양용수;배재현;이경훈;박정수;손병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35-739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a method for monitoring fishes immigrating to upper streams from the sea in relation to water level with elapsed time, and measured fish behavior patterns and swimming speed in a fishing boat gateway using an acoustic camera system. This method was employed due to difficulties, linked to high turbidity, of using only underwater optical systems for monitoring fish migrating to brackish water. Results showed that fish length distribution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haul sampling and an automatic counting algorithm supported by the DIDSON software program. These results will help to maximize the effects of fish run management by increasing understanding of the amount of major fish species migrating in relation to durable water levels.

수변 복원 시 식물종 다양성 증진을 위한 β-diversity 연구 (Studies on β-diversity for high plant community turnover in flood plain restoration)

  • 한영섭;김해란;한승주;정중규;이승혁;장래하;조규태;강대균;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01-508
    • /
    • 2013
  • 식물종 다양성이 높은 하천변 복원을 위해 8개 하천 13지점에서 자연하천변 식물군락의 이질성을 ${\beta}$-diversity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천에서 내륙으로 들어감에 따른 이질성의 평균값은 0.32이었다(0.23~0.37범위). 이 값은 식물군락의 종 구성이 6번 완전히 바뀌는 community turnover를 나타낸다. ${\beta}$-diversity는 섬진강, 한강, 낙동강, 금강 수계 간에 차이가 없었고, 각 수계 안에서 하천 유역은 하류(0.23)보다 상류(0.36)에서 더 높았다(p level<0.05).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beta}$-diversity는 경사도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Belt-transect를 통해 나타난 종들과 ${\beta}$-diversity 값을 통해 하천변의 우점종 모식도를 그려보면 상류의 종조성은 6번 바뀌고, 하류의 종조성은 약 5번 바뀌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하천 계획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식재 수종과 식재 패턴의 기초를 제시하였으며, 하천변 식물군락의 종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사도를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환경변화에 따른 조류 발생 변화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on Environmental Changes)

  • 노성유;신유나;최희락;이재윤;이재안;류덕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3호
    • /
    • pp.278-286
    • /
    • 2015
  • 환경변화(체류 시간)에 따른 조류발생기작 및 이동특성 연구를 위해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를 제작하여 낙동강 수계의 강정 고령보를 대상으로 체류 시간에 따른 조류발생 및 이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는 조류배양의 효율성 및 조류성장 관찰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투명아크릴로 제작하였다(직경 1 m, 높이 4 m, 가변형 원통수조, 3 sets). 빛 차단장치, 수심별 유입장치, 재이용수 저류조 등의 부대시설을 설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체류 시간 조건은 2일(보설치 전, 실험조 1), 8일(보설치 후 2013년 체류 시간, 실험조 2), 30일(2014년 체류 시간, 실험조 3)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조별 수온은 실험조 1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조 3에서는 표층(0 m)과 저층(4 m) 간 약 $3^{\circ}C$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용존산소(DO), pH 변화 분석 결과 모든 실험조에서 표층 0 m에서 저수심(2 m, 4 m)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영양염류(TN, $PO_4-P$)는 모든 실험조에서 부영양 상태를 나타냈다. Chlorophyll-a 분석 결과 실험조 1은 평균 $19.8{\mu}g/L$, 실험조 2는 평균 $35.0{\mu}g/L$, 실험조 3은 평균 $36.6{\mu}g/L$로 실험조 1 보다 실험조 2, 3에서 약 2배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환경 요인 중 체류 시간은 식물플랑크톤 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천에 유입된 유해화학물질의 혼합 해석을 위한 2차원 오염물질 이동모형 반응항 개발 (Development of response terms for contaminant transport in two-dimensional model for mixing analysis of toxic chemicals in rivers)

  • 신동빈;신재현;서일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2호
    • /
    • pp.141-154
    • /
    • 2020
  •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하천 내 유해화학물질 유입사고 발생건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차원의 수질오염 사고대응체계를 구축하여 사고방재를 위한 체계적인 절차를 수립하였으나, 우리나라의 사고대응체계는 해외의 수질모형을 차용하고 있기 때문에 모형의 매개변수 입력 및 검보정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하천에 유출된 유해화학물질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한 수심 평균 2차원 하천수질모형을 개발하고, 유해화학물질의 특성을 고려한 유의반응항 판별을 통해 효율적 모의수행을 위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수심 평균 2차원 하천수질모형인 CTM-2D에 흡·탈착, 휘발 반응을 재현할 수 있는 반응항을 추가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해석해와 수치해를 비교한 결과 0.1% 미만의 오차를 보여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낙동강-금호강 합류부에 수질오염사고 가상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개발된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민감도 분석 기반 유의반응 판단을 통해 효율적 수질모의를 수행할 수 있었다.

제방형상과 홍수파형에 의한 제방의 파이핑 안정성 평가 (Levee Stability Assessment Depending on Levee Shape and Flood Wave)

  • 강태운;안현욱;이광만;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4호
    • /
    • pp.307-319
    • /
    • 2014
  • 최근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에 의한 재난이 빈발하고 있어 미국이나 네덜란드 같은 제방 선진국에서는 특수한 경우 적게는 500년, 크게는 10,000년 빈도의 홍수위까지도 고려하는 극단적인 수준의 제방설계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몇 년간 국가하천을 중심으로 대하천 정비사업이 추진되었다. 주로 하천준설과 제방증축 및 신축 등으로 진행된 사업에 의해 하천환경이 광범위하게 변화되었으나 제방의 안전과 관련된 하천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침투감지시스템 Testbed가 구축되어 있는 낙동강 회천의 율지제를 대상으로 제방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간극수압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2차원 지하수 침투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제방의 파이핑 현상을 분석하였으며, 제방의 형상과 홍수파형에 따른 침투현상을 모의하여 제방안정성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