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kdong river downstream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8초

낙동강 하류에 분포하는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의 무균분리 및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 (Axenic Isolation and 16S rRNA Gene Sequence of the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 박홍기;정은영;이유정;정종문;홍용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8-163
    • /
    • 2002
  •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를 무균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낙동강 물금지역의 수화를 멸균 증류수로 vortex 전처리를 하였으며, 세균제거 및 무균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항생물질(ampicillin 150 $\mu$g/$m\ell$, neomycin 25 $\mu$g/$m\ell$)을 배지에 첨가하고, 독립 집락으로 형성시켜 오염 기회를 줄이기 위하여 0.7% agarose로 고형화시킨 CB고체배지에서 3$0^{\circ}C$, 40 $\mu$mol m$^{-2}$ s$^{-1}$ 광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 결과 분리되어진 26개의 Microcystis aeruginosa colony 중 3개의 무균 균주만이 확보되었다. 3개의 무균균주를 16S rRNA primer를 이용하여 PCR 증폭한 결과 M. aeruginosa AF 139292와 99.5에서 100%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IP에 의한 댐군연계운영 최적화모형 개발과 개발 모형에 의한 낙동강수계 용수공급능력 재평가 (Development of Optimal Reservoir System Operation Model for Water Supply by Applying MIP Technique and Reappraisal of Water Supply Capability of Nakdong River Basin)

  • 최영송;안경수;박명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447-459
    • /
    • 2000
  • 수자원 개발이 인문 사회적 여건으로 날로 어려워짐에 따라 공급위주의 물 관리 정책이 한계에 달하고 이어 수요관리개념에 따른 적용 가능한 수자원관리 기법의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다. 무효방류량을 최소화하여 한정된 물 자원 배분을 합리적으로 이룰 수 있는 실제 적용 가능한 수요관리기법은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유역물관리 시스템의 방법론적 완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물수지분석 기법을 댐 연계운영 모형과 조합하여 MIP 기법에 의해 이수목적 다목적댐 최적연계운영모형을 개발하고 낙동강 수계를 대상으로 모형의 적용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낙동강 수계의 용수공급능력을 재평가하였다. 이 결과를 계획 당시 자료 및 다른 모형에 의한 운영결과와 비교한 바 개발된 모형은 훌륭히 물 부족량 공급방식으로 수계의 물 공급을 보장할 수 있고 기존 모형등에 의한 방식보다 물배분과 관리에 효율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음이 평가되었다.

  • PDF

사고에 의하여 자연하천으로의 방류된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종확산 (Dispersion of Nonconservative Contaminants Accidentally Released into Natural Streams)

  • 조성우;전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289-301
    • /
    • 2001
  •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종확산에 관한 단계분리 유한차분 모형을 낙동강에 적용하여, 1991년에 발생한 페놀누출 사고에 따른 종확산 모의계산을 수행하였다. Preissmann의 4점 음해법에 근거한 부정류 계산모형으로부터 산정된 계산결과를 종확산 모형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종확산계수의 산정을 위한 경험식 및 1차 반응의 감쇠계수에 따른 종확산 계산결과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하류 지점에서의 첨두농도 발생 시각은 사용된 종확산계수 식에 따라 상당히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농도 분포형은 감쇠계수에 따라 변하지 않는 반면, 농도값은 감쇠계수에 상당히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여 흐름 모형 및 종확산 모형을 보정하였으며, 낙동강에 위치한 주요 취수지점들에 대한 첨두농도 발생시각을 모의하여 제시하였다.

  • PDF

내성천 하상 입경 변화에 따른 흰수마자의 물리 서식 적합도 분석 (Study on physical habitat suitability of Gobiobotia naktongensis in Naeseong Stream according to change of bed grain size)

  • 이동열;박재현;백경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9호
    • /
    • pp.553-562
    • /
    • 2023
  • 흰수마자(Gobiobotia naktongensis)는 멸종위기야생동물 I급 담수어류로 지정된 대한민국 고유종이다. 흰수마자가 최초로 발견된 낙동강의 지류 중 하나인 내성천은 고운 모래하상과 여울이 발달되어 과거 흰수마자에게 최적의 서식 환경을 제공했었다. 현재 영주댐이 건설되고 지자체가 과도한 하도준설을 시행하여, 댐하류 지역의 하상 조립화가 가속화되면서 흰수마자의 서식환경은 악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성천 하상 입경 변화에 따른 흰수마자 서식처 적합도 변화 양상을 물리서식처 모형인 River2D를 활용하여 가중가용면적(Weight Usable Area, WUA)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영주댐 하류 석탑교에서부터 회룡교까지의 구간이며, 하상 입경 변화는 2010년과 2020년에 각각 분석된 중앙입경을 이용하였다. 내성천의 2020년 하상 입경은 2010년 하상 입경보다 굵어졌으며 전반적으로 모래입자 조립화 현상이 뚜렷하였다. River2D 분석결과 전체 모의구간의 흐름 영역 면적 대비 흰수마자의 서식이 가능한 영역은 2010년에 약 0.75%에 불과하였고, 이마저도 2020년에는 하상조립화로 인해 0.55%로 감소하였다.

금호강 하천수의 지구화학 및 동위원소 연구 (Geochemical and Isotopic Study of the Kumho River)

  • 김영규;남은경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6호
    • /
    • pp.527-539
    • /
    • 2009
  • 금호강의 하천수는 상류의 화산암 지대와 하류의 퇴적암 지대를 지나며 낙동강과 합류하기 전 대구의 염색공단과 같은 산업시설을 유하하여 지구화학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받는다. 금호강 하천수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풍화와 오염물질의 유입에 의해 전반적인 용존 이온의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하천수에 용해된 양이온은 Ca>Na>Mg>K 순으로, 그리고 음이온은 $HCO_3$>$SO_4$>Cl>$NO_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방해석과 같은 탄산염암을 함유하고 있는 사암과 셰일의 풍화에 의하여 Ca와 $HCO_3$가 다른 원소들보다 우세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하류지역에서는 공단 폐수와 생활 하수의 영향으로 Na와 $SO_4$가 Ca와 $HCO_3$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류 시료 채취점 네 곳에서는 Si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화산암 내의 규산염광물의 풍화의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천수의 화학적 유형을 알기 위하여 파이퍼도에 도시해본 결과 금호강은 상류에서 하류로 흘러감에 따라 Ca-$HCO_3$, Ca-Cl/Ca-$SO_4$, Na-Cl/Na-$SO_4$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5월 갈수기와 비교하였을 경우 7월 우기시 용존 이온의 농도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강우에 의한 희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7월의 경우 Ca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토양내 Ca과 비료에서 유래된 Ca가 빗물에 의하여 강물에 섞인 결과로 해석된다. 금호강 하천수의 물은 주로 강수에서 직접 기인하며 용존 이온들은 탄산염 광물의 풍화와 생활 하수, 공장 폐수와 같은 오염물질에 의해서 공급되는 것으로 보인다. 산소와 수소 동위원소의 조성은 7월의 경우 5월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아마도 상류에 있는 영천댐의 영향일 것으로 생각된다. 질소 동위원소의 경우 전제적으로 7월의 값들이 5월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7월의 다량의 강수에 의하여 토양내의 질산염이나 경작지의 질산염 비료 등이 혼입되어서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하류로 가면서 질소 동위원소의 값은 증가함을 보여 오수와 가축분뇨 등의 영향이 하류에서 증가함을 보인다.

FC/FS 비율에 의한 분변오염원의 출처파악의 유효성 (Validity of Fecal Pollution Source Tracking using FC/FS Ratio)

  • 박지은;이영옥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8-34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validity of fecal coliforms to fecal streptococci ratio (FC/FS) for distinguishing the human from animal origin of fecal pollution in surface water. FC/FS ratio determined in effluent from municipal wastewater and human feces treatment plant (WWTP) and in downstream close to discharge of human feces was above 4 which indicates human origin. However FC/FS ratios determined seasonally in other water zones of the Nakdong River, even in the same sampling site, varied differently (above 4 or less than 0.7) due to different survival time of FC and F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ainfall in watershed. Compared to other season, FC/FS ratios in winter were much lower regardless of the origin. It is concluded that the FC/FS ratio determined in surface water is not always valid for determining the origin of fecal pollution.

국내외 정수처리 기술의 현황 (Current Status of Drinking Water Treatment and its Countermeasure)

  • 류재근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7년도 제5회 하계 Workshop (97 한,카 국제공동 Workshop, 고도 수처리를 위한 막분리 공정)
    • /
    • pp.67-92
    • /
    • 1997
  • Tap water should be shown the complexity of measures neccessary to secure water quality, especially with respect to drinking and bathing. Designated reservoirs Paldang and Daechung as the Special Environment Protection Areas to regulate new pollution sources and to facilitate construction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this country, 91% of total drinking water resource, consist of 66% stream water, 25% dam water, 7% dune flitrate, 1% each of spring and ground water, are from the surface water. The total volume of annual mean water resources due to precipitation. Over 8% of the total resources are class III as shown in the table., eapecially the water quality of downstream of Nakdong and Yeongsan river are getting worse due to continued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 PDF

응집제 Ceramic-Zeolite type과 황토를 이용한 Microcystis aeruginosa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Microcystis aeruginosa by Coagulants of the Ceramic-Zeolite type and Yellow loess)

  • 박홍기;정은영;이유정;정종문;최식영;홍용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05-409
    • /
    • 2002
  • For the proposal of Microcystis aeruginosa control technique by coagulants, removal effects of coagulants were carried out using isolated strain and collected water bloom of M. aeruginosa on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Both of purified and field-collected M. aeruginosa were entirely sedimented by the addition of the coagulant ceramic-zeolite type Co 100 (1.5 mg/$\ell$) within 24 hr, but Yellow loess (10 mg/$\ell$) was less effective for the removal of M. aeruginosa within 24hr. Thus it was concluded that Ceramic-Zeolite type Co 100 was the most effective coagulant.

낙동강 하류역의 주요 폭풍해일고 검토 (Analysis of Principal Storm Surge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 김다인;김강민;이중우;권소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35
    • /
    • 2018
  • 낙동강 하류역은 최근의 퇴적우세 지형변화와 더불어,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강도 강화 등으로 인한 해일고 증가가 우려된다. 따라서, 과거 태풍자료를 수집 분석한 후 연구지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태풍을 모델 태풍으로 선정하여 낙동강 하류역에 위치한 주요지점별 폭풍해일고 변화를 파악하였다. 실험결과, 최대 폭풍해일고는 태풍 매미 내습시에 나타났으며, 하단 매립지 전면에서 1.1~1.5m, 명지주거단지 전면에서 1.2~1.3m, 녹산국가산업단지 전면에서 1.3~1.5m로 하단 매립지 전면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향후, 과거 지형변화를 고려한 폭풍해일고 검토를 통하여 최근의 급격한 지형변화로 인한 영향을 파악한 대비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낙동강 하구 하류역 지형변화 예측 (Simulation of Topograhy Change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Estuary)

  • 김강민;이중우;허명규;정대득;이형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39
    • /
    • 2018
  • 낙동강 하구 하류역의 지형변화는 장기간에 걸쳐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지형변화의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것은 하구의 관리방안과 처리방법 등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 하류역의 지형변동에 관한 기초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이를 근거하여 지형변화 예측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하굿둑 건설과 부산신항 건설 등의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한 해수면 축소로 인한 유속감소로 인하여 전반적인 퇴적우세 현상이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빈류 실험결과 울타리선 남쪽과 동서쪽으로 지형 발달 및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