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ganishi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Isolation of four unrecorded yeasts in the family Filobasidiaceae from soil in Korea

  • Maeng, Soohyun;Park, Yuna;Srinivasan, Sathiyaraj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350-355
    • /
    • 2021
  • In 2020, 11 Basidiomycetous yeast strains were isolated from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he forests of Namhansanseong in Korea. Among them, seven species were reported, but four species were unreported in Korea. To identify wild yeasts, pairwise sequence comparisons of D1/D2 domain of the 26S rRNA were performed using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The cell morphologies and assimilation test are observ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e and API 20C AUX kit, respectively. The 11 strains were assigned to the genera Rhodotorula (4 strains) of the order Sporidiobolales of the class Microbotryomycetes; and Cryptococcus(2 strains), Goffeauzyma (1 strains), Naganishia (2 strains) of the order Filobasidiales and Saitozyma (2 strains) of the order Tremellales of the class Tremellomycetes in the phylum Basidiomycota. The unreported yeast strains Cryptococcus gastricus 20n5-2, Goffeauzyma gilvescens 20n2-7, Naganishia adeliensis 20n8-1, and Naganishia friedmannii 20n24-1 belong to the family Filobasidiaceae. All strains had oval shaped cells and cream-colored colonies cultured on on YM agar for 3 days.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description of four unreported yeast species in Korea.

지렁이(Eisenia andrei)의 장으로부터 분리한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균학적 특성과 탄소원 활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arbon source activity of Unrecorded Wild Yeast Strains from gut of the earthworm(Eisenia andrei) in Korea)

  • 한주현;이상은;김명겸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1-167
    • /
    • 2020
  • 국내에 자생하는 지렁이로(붉은줄지렁이)의 장에서 야생효모를 분리, 동정하고자 하였다. 지렁이는 고양시 난지 물 재생 센터에서 분양 받았으며, 지렁이 5마리에서 19개의 야생효모를 분리하였다. 효모의 D1/D2 영역으로 동정하여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효모 3균주를 선별하였다. 국내 미기록종 효모인 Yarrowia deformans YP242 (=KACC48778), Sporidiobolus pararoseus YP66(=KCTC27963), Naganishia liquefaciens YI9 (=KACC48948) 균주는 위상차현미경, API 20C AUX kit를 통해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YP242, YI9, YP66 균주의 세포 모양은 타원형이며, 집락은 볼록하고, 부드러운 재질을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탄소원 활성 측정 결과, YP242는 glycerol, L-arabinose, N-acetyl-D-glucosamine을, YP66는 N-acetyl-D-glucosamine을, liquefaciens YI9는 2-keto-D-gluconate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삼과 당귀 재배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들의 분리 및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 (Isolation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Wild Yeasts Obtained from Soil in the Fields of Medicinal Plants, Ginseng and Korean Angelica)

  • 김지윤;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15-323
    • /
    • 2018
  • 약용식물 재배지 토양의 야생효모 분포특성을 조사하고 이들 야생효모들의 산업적 응용성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먼저 약용식물 집단 재배지인 충남 금산의 인삼과 당귀 재배지의 토양들을 2018년 3월에 50점을 채취하여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시료들로부터 21종 43균주의 야생효모들이 분리되었고 인삼재배 논 토양에서는 Rhodotorula glutinis 균주가 6주, 당귀 재배 밭 토양에서는 Cyberlindnera saturnus 균주가 역시 6균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이들 야생효모들을 이용하여 미백성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고자 이들의 무세포추출물을 제조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온성 야생효모인 Naganishia globosa G1-7가 28%의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 우수효모로 선발하였다.

표고 재배사에서 분리한 국내 미기록 진균 보고 (Unrecorded fungi isolated from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houses in Korea)

  • 안금란;노형진;김준영;고한규;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2-78
    • /
    • 2020
  • 2016년과 2017년 서천, 장흥, 부여, 여주에 소재하는 표고 재배사에서 진균성 병원균을 모니터링 하는 과정에서 Acrodontium crateriforme, Naganishia friedmannii, Pestalotiopsis trachicarpicola, Penicillium wollemiicola, Trichoderma thailandicum 등 5 종의 국내 미기록 진균을 재배사내 실내 공기, 버섯 파리, 버섯 배지재료 등에서 분리하였다. 이들 진균은 PDA 배양하여 생장시키면서 형태적 특성 조사하고 26S rDNA, 28S rDNA, β-TUB 유전자, TEF 유전자 등을 PCR 기술로 증폭하고 그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여 동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와 위해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반날개과 곤충 장으로부터 야생 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Separation of Wild Yeast from Intestine of Othius punctulatus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Wild Yeast Strains in Korea)

  • 이상은;한주현;김명겸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29-235
    • /
    • 2020
  • 곤충 장으로부터 분리되는 야생 효모들의 종 분포특성을 알아보고자 충북대학교 주변 토양에 서서식하는 반날개과 곤충장 5점의 시료들로부터 16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야생 효모 16균주는Aureobasidium 속 3균주, Cystofilobasidium 속 4균주, Mrakia 속 1균주, Naganishia 속 3균주, Saitozyma 속 2균주, Sampaiozyma 속 2균주와 Scheffersomyces 속 1균주를 포함한다. 이들 중 Cystofilobasidium capitatum YP53, C. capitatum YP71, C. macerans YS620, C. macerans YS622, Mrakia aquatica YP158 및 Scheffersomyces stipitis YI56균주들을 국내 미기록 효모들로 최종 선별하였다. 선별한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과 탄소원의 자화성 등을 조사하였다. 이들은 모두 타원형의 세포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glycerol, L-arabinose, xylitol, inositol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없었다.

Isolation of wild yeasts from soils collected in Pochoen-si,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yeasts

  • Maeng, Soohyun;Park, Yuna;Srinivasan, Sathiyaraj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204-209
    • /
    • 2020
  • In 2019, as a subset study to discover indigenous yeast species in Korea, a total of 20 yeast species were isolated from soil samples collected in Pochoen-si. Among them, eight strains were unreported species. From the high 2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and formation of a robust phylogenetic clade with the closest species, it was determined that each strain belonged to independent and predefined yeast species. The 20 strains were assigned to the genera Aureobasidium (1 strain) and Meyerozyma (1 strain) of the phylum Ascomycota and Cystofilobasidium (2 strains), Filobasidium (1 strain), Naganishia (2 strains), Bullera (3 strains), Leucosporidium (9 strains) and Sampaiozyma (1 strain) of the phylum Basidiomycota. There is no official report of the following species in Korea: Leucosporidium creatinivorum (4 strains), Leucosporidium escuderoi(2 strains), Leucosporidium golubevii(1 strain) and Leucosporidium intermedium (2 strains). Basic biochemical characteristics, colony and cell morphology are also described in the species description 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