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aeseong Stream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On the invert and mean bed levels at the main sections of the lower Naeseong Stream (내성천 하류 주요 지점에서 최심 및 평균 하상고 검토)

  • Hwang,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1-251
    • /
    • 2019
  • 지난 몇 년간 내성천 하류에서 이루어진 하천 조사 덕분에 수문, 측량, 식생 등 다양한 방면의 자료가 축적될 수 있었다(Lee et al., 2019, Ecol. Resil. Infrastruct.). 그 중에서 주요 지점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수심측량 자료로부터 내성천 단면 변화, 특히 하상고 변화 경향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ee et al. (2019)은 내성천 하류 8개 주요 지점에서 이루어진 수심측량 성과로부터 최심 하상의 변화가 활발함을 보였다. 모래 또는 자갈이 주재료인 내성천 하상은 작은 규모의 홍수에 크게 변하기도 하므로 최심 하상의 비교만으로는 하상고의 변화 경향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수심측량의 직접 성과인 최심 하상고와 더불어 평균 하상고의 산정 및 비교를 통하여 내성천 하류 주요 지점에서 하상고의 변화 경향을 살펴보았다. 이때 저수로 하상 변화가 충실하게 반영되도록 지점마다 적절한 수위가 설정되었다. 평균 하상의 변화 경향은 최심 하상의 그것과 사뭇 달랐다. 일부 지점에서 보이는 최심 하상의 저하 경향에도 불구하고 지난 6년간 평균 하상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 연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주요사업 과제번호: 20190157-001과 20190116-001)의 지원에 의한 것이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bed elevation change according to vegetation establishment of river bed in the Naeseong stream (내성천 하도내 식생활착에 의한 하상변화 특성 연구)

  • Lee, Tae Hee;Kim, Soo Hong;Roh, Youngsi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60-265
    • /
    • 2018
  • 충적하천은 환경 변화에 따라 하천의 형태가 변화하고, 흐름 또한 변화하는 특성을 지닌다. 내성천은 대표적인 충적하천으로 최근 하도내 사주에 식생이 활착되고 육상화가 진행됨에 따라 식생사주 영역은 증가하고 흐름부의 하폭은 전체 하폭대비 매우 좁아진 상태이다. 따라서 하도내 흐름특성이 변화하여 저평수시 유속이 증가하고 지속적으로 하상침식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성천에 위치하는 조제, 월포, 향석 관측소의 최근 10년간 강수량 및 수위자료 검토와 각 관측소 위치의 항공사진에 의한 하도내 식생활착 진행과정과 단면측량 자료를 바탕으로 횡단면 침퇴적 변화율을 검토하였다. 또한, 식생활착 및 하상침식의 영향이 수위-평균유속과 수위-유량관계의 변화 양상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현재까지 내성천의 식생활착 및 하상침식의 원인은 지난 5년간 적은 강수량 영향으로 홍수시 하상소류력이 감소하여 흐름특성이 변화한 것이 주된 요인으로 판단된다.

  • PDF

Response of Terrestrial Insect Community to the Vegetation Invasion at a Sand-Bed Stream (모래하천에서 식생 침입에 대한 육상곤충 군집의 반응)

  • Cho, Geonho;Cho, Kang-Hy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4 no.1
    • /
    • pp.44-53
    • /
    • 201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ponse in fauna and biological communities of terrestrial insects to the vegetation encroachment on the sandbar, species composition, species diversity, functional species traits and community structure of land-dwelling insects sampled by a pit-fall trap were compared at the bare and vegetated sandbar of a typical sand-bed stream, the Naeseong Stream, Korea. Species diversity of the insects was increased but their density was decreased as the riparian vegetation encroached at the sandbar. In particular, indicator species of bare sandbar such as Cicindela laetescripta and Dianemobius csikii, were found at the bar sandbar. The insect communities were clearly classified at the bare and vegetated sandbar according to coverages of riparian plants. The food web of the bare sandbar was composed of detritus - detritivore and scavenger - predator consisted mainly of Coleoptera. On the other hand, the food web of the vegetated sandbar was composed of plants - sucking and chewing herbivore - parasitoid and predator. These results showed that biodiversity of terrestrial insects was increased, food web was changed from grazing to detritus food chain, and insect fauna specific bare sandbar disappeared as the riparian vegetation invaded on the sandbar of a sand-bed stream.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lateral migration of an alluvial stream - Case study on Gopyeong site, Naeseong Stream - (충적 하천에서의 측방 이동에 대한 계량적 분석 - 내성천 고평 지점을 사례로 -)

  • Lee, Chanjoo;Go, Dahae;Kim, Donggu;Choi,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87-487
    • /
    • 2022
  • 하천의 측방 이동은 충적 하도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홍수에 의한 강턱 및 고수부지 침식 및 만곡사주 퇴적을 동반하는 지형형성작용이나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 년간 인간의 교란이 없는 상태로 유지된 하천 구간인 내성천 고평 지점을 대상으로 항공사진, 드론 영상 및 DEM 자료를 이용하여 2015-2021년 사이에 발생한 하천의 측방 이동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평 지점의 내성천 하도는 시간에 따라 저수로 하폭이 증가하면서 공격사면이 횡방향 및 하류 방향으로 이동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사행도는 1.07에서 1.12로 소폭 증가하였다. 10개 단면에서 측방 이동은 2018년 5월과 11월 사이, 2020년 5월과 9월 사이에 발생하였으며, 공격사면 쪽으로 최대 60 m 이상 이동하였다. 동일한 두 시기에 측방 이동에 따른 홍수터의 침식 면적은 각각 5,572 m2, 6,571 m2였으며, 2015-2021년 전체로는 16,000 m2에 달하였다. 이는 대상 구간의 2015년 기준 전체 저수로 면적의 약 20%에 해당한다. 단면에서의 변화는 측방 이동과 함께 저수시 하상의 저하가 함께 관찰되어 6년간 0.5-1.0m 저하되었다. 대상 구역 내에서의 침식량은 30,636 m3이며, 퇴적량은 14,904 m3으로 순침식량은 15,831 m3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5년 기준 저수로 면적이 평균 51.7 cm 하강한 정도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충적 하천에서 홍수에 의해 하도의 측방 이동이 활발하게 발생하였음을 보여주며, 하천 관리 및 유사 분석에 있어서 측방 이동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Geomorphic Environments and Sediments of Channels at Naeseongcheon River in Gyeongpook Province (경북 내성천의 하도 지형 환경 및 퇴적물 분석)

  • Lee, Gwang-Ryul;Cho, Yong-Dong;Kim, Dae-Sik;Kim, Jung-Suk;Jeong, Woo-Heon;Cho, Hyun-Jin;Yun, Kuk-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2
    • /
    • pp.85-99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the geomorphic environments of river channels and properties of sediments in the Naeseong-River basin, a branch of Nakdong-River. While the area at NU1 located in the uppermost reaches indicates the landscapes with the gravel riverbeds, the sand riverbeds can be seen in the downstream of NU2 whose basin consists mostly of the granite regolith. The downstream of NU2 has the braided channels in the beds and this may be due to the large quantities of sand particles supply to the bed under the favorable geologic and geomorphic conditions, properties of river flowing within the floodplains less resistant to the erosion and great fluctuations of discharges. Whereas the river at NU2 may seem that sand particles are actively eroded during the high water-level periods, the particles may be actively deposited during the periods at NM2 and NL2. Moreover, in the reaches of NU2 to NM1 and NL1 to NL2, the mean grain sizes of sediments increase downstream suggesting the other supplies of coarse sediments from the lower order streams running the steep slopes because the river flows in the areas consisting of the metamorphic rocks rather than the granites and shows the properties of incised meander.

  • PDF

Experimental Study of the Oven Dried Soil Weight Measurement Using Singularity Analysis (특이점 분석에 의한 노건조된 흙의 건조무게 측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ukjoo Kim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4 no.3
    • /
    • pp.5-14
    • /
    • 2023
  • The dry unit weight of the soil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oven dried soil. According to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F), oven dried soil at 110±5℃ continuously increases in weight when exposed to air. However, there is no regulation on the weight measurement time of oven dried soil,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dry weight. In this study, a method to easily determine the dry weight was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eight singularity that appears during weight measurement. The weight singularity represent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measured weights, and is the weight at which the effect of moisture absorption in the air of the sample is minimized.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a container was selected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method, and a photograph of the soil samples were present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weight singularity was measured using a non-contact infrared thermomet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eight singularity of six types of soil, including Jumunjin sand, Naeseong stream sand, Yecheon weathered granite soil, Jeju sand, Sabkha sand, and Ulleung sand, the weight singularity of oven dried sample appeared between 8 and 27 seconds after weight measurement, and the temperature ranged from 103.4 to 108.13℃. The weight decrease rate of the singularity was 0.0066 to 0.0085% depending on the soil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