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egleria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6초

Efficient Liquid Media for Encystation of Pathogenic Free-Living Amoebae

  • Sohn, Hae-Jin;Kang, Heekyoung;Seo, Ga-Eun;Kim, Jong-Hyun;Jung, Suk-Yul;Shin, Ho-Jo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3호
    • /
    • pp.233-238
    • /
    • 2017
  • Pathogenic Naegleria fowleri, Acanthamoeba castellanii, and Acanthamoeba polyphaga, are distributed worldwide. They are causative agents of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or acanthamoebic keratitis in humans, respectively. Trophozoites encyst in unfavorable environments, such as exhausted food supply and desiccation. Until recently, the method of N. fowleri encystation used solid non-nutrient agar medium supplemented with heat-inactivated Escherichia coli; however, for the amoebic encystment of Acanthamoeba spp., a defined, slightly modified liquid media is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generate pure N. fowleri cysts, a liquid encystment medium (buffer 1) modified from Page's amoeba saline was applied for encystation of N. fowleri. N. fowleri cysts were well induced after 24 hr with the above defined liquid encystment medium (buffer 1). This was confirmed by observation of a high expression of differential mRNA of nfa1 and actin genes in trophozoites. Thus, this liquid medium can replace the earlier non-nutrient agar medium for obtaining pure N. fowleri cysts. In addition, for cyst formation of Acanthamoeba spp., buffer 2 (adjusted to pH 9.0) was the more efficient medium. To summarize, these liquid encystment media may be useful for further studies which require axenic and pure amoebic cysts.

Free Living Amoeba-Bacteria Interactions: Analysis of Escherichia coli Interactions with Nonpathogenic or Pathogenic Free Living Amoeba

  • Jung, Suk-Yul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2
    • /
    • 2011
  • Free-living amoebae ingest several kinds of bacteria. In other words, the bacteria can survive within free-living amoeba. To determine how Escherichia coli K1 isolate causing neonatal encephalitis and non-pathogenic K12 interact with free-living amoebae, e.g., Acanthamoeba castellanii (T1), A. astronyxis (T7), Naegleria fowleri, association, invasion and survival assay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pathogenicity of free-living amoebae, in vitro cytotoxicity assay were performed using murine macrophages. T1 destroyed macrophages about 64% but T7 did very few target cells. On the other hand, N. fowleri which needed other growth conditions rather than Acanthamoeba destroyed more than T1 as shown by 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assay. In association assays for E. coli binding to amoebae, the T7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association with E. coli, compared with the T1 isolates (P<0.01). Interestingly, N. fowleri exhibited similar percentages of association as T1. Once E. coli bacteria attach or associate with free-living amoeba, they can penetrate into the amoebae. In invasion assays, the K1 (0.67%) within T1 was observed compared with K12 (0%). E. coli K1 and K12 exhibited high association with N. fowleri and bacterial CFU. To determine the fate of E. coli in long-term survival within free-living amoebae, intracellular survival assays were performed by incubating E. coli with free-living amoebae in PBS for 24 h. Intracellular E. coli K1 within T1 (2.5%) and T7 (1.8%) were recovered and grown, while K12 were not found. N. fowleri was not invaded and here it was not recovered.

Prednisolone 투여가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의 실험적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dnisolone Treatment on the Experimental Inducement of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 김옥용;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65-172
    • /
    • 1985
  • Naegleria fowleri의 감염에 의한 생쥐의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의 발생에 prednisolone투여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실험군 별로 $1{\times}10^5$의 N. fowleri를 감염시킨 후 생존기간을 관찰하였더니, prednisolone을 투여한 제1군의 평균 생존기간은 10.2일, 제2군은 10.6일, 제3군은은 11.3일로써 prednisolon을 투여한 군이 비투여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생존기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으며, prednisolon투여군인 제1, 2, 3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전투여군인 제1군에서 생존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각 실험군 별로 감염 이후 20일까지 체중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prenisolone 투여군에서는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는데 투여하는 시기부터 어느 정도 감소하다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서 회복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prednisolon만 투여한 제 IV군에 비하여 제1, 2, 3군에서 체중이 더욱 심하게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조군은 감염 8일 후부터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아 체중감소현상은 주로 prednisolone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3. Prednisolone 투여한 감염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뇌와 폐조직에서 비교적 심한 병변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4. 감염된 생쥐의 임상증세는 감염 후 며칠이 지나면 머리를 비비고 고개를 떨구며, 식욕부진이 나타나 먹이를 먹지 않다가 발작이 오고, 빈사상태가 되어 사망하게 된다. 대부분의 생쥐에서 이러한 증세가 나타나는데, prednisolone 투여군에서는 감염 5일 이후부터 증세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대조군은 감염 8일 이후에야 나타나 10일경에 사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항 보면 prednisolone을 투여하여 인위적으로 면역반응을 억제시켜 줄 경우 N. fowleri에 감염된 생쥐의 생존기간은 단축되고 병변도 더욱 심하게 나타나며, 감염전에 투여해 주는 것이 가장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세포에 의한 아메바성 수막뇌염에 대한 피동면역의 전달 (Passive Immunity by Splenocyte Transfer against Amebic Meningoeneephalitis in Mice)

  • 임경일;유재숙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3호
    • /
    • pp.169-174
    • /
    • 1988
  • Naegleria fowleri로 면역된 마우스 비장세포를 이입(이입)함으로써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 뇌염의 발생을 방어할 수 있는지 즉 방어면역을 피동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무균 배양한 N. fowleri, ITMAP 359 영 양형 7×l04개를 생후 6주된 ICR 마우스에 감염시켰다. 살아있는 N. fowleri 영양형 106개씩을 1주일 간격으로 3회 복강내로 주입시켜 면역시켰다. 면역시킨 마우스의 비장을 적출하여 107개의 비장세포가 함유된 부유액을 마우스 복강내로 주입시키고 3일 후 N, fowleri를 감염시켰다. 비장세포에 Con. A와 lipopolysaccharide(LPS)를 처리한 후 배자발생 정도를 methyl-[3H]-thymidin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 fowleri를 감염시킨 마우스의 사망률을 보면 정상 비장세포를 주입시킨 실험대조군에서 84%, 면역 비장세포를 주입시킨 실험군에서 72%로서, 정상 대조군에서의 사망률 100%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면역된 비장세포를 주입시킨 실험군에서 LPS를 처리한 비장세포의 배자발생정도는 감염 7일 후 실험대조군이나 정상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고, Con. A처리에 의한 배자발생 정도도 감염 7일 후 증가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혈청내 항체가는 감염 12일 후 정상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과 실험대조군에서 높았다.

  • PDF

Acanthamoebaculbertsoni와 A. royreba의 가수분해 효소 활성도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ydrolase Activities in Acanthamoeba culbeytconi and A. roureba)

  • 김용규;김태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95-106
    • /
    • 1988
  • 아메바의 cytolytic process가 주로 가수분해 효소 환성과 관계 깊다는 연구들이 70년대 후반부터 병원성 Entamoeba sp.와 Naegleria sp.에서 보고되었지만 Acanthamoeba sp.에서는 가수분해 효소 환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Acanthamoeba royreba를 대조로 하여 병원성이 있는 A. culbertsonl이 가수분해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고 이들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A. culbertsoni를 마우스에 감염시켰더니 15일내에 마우스 모두가 사망하였으며, 평균 생존기간은 8.5일이었고, 아베바성 수막뇌염으로 사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A. royreba를 감염시킨 마우스에서는 수막뇌염이 발생되지 않았다. CGV배지에서 두 종(種) 아메바를 배양하여 아메바 추출물 및 배양액에서 가수분해 효소의 환성을 측정한 결과 A. rcyreba에 비해 A. culbertsoni 세포의 추출물 및 배양액에서 현저히 활성도가 높은 가수분해 효소는 acid phosphatase, p-N-acetyl galactosaminidase, β-N-acetyl glucosaminidase, α-mannosidase, neutral proteinase, acid proteinase였다. 표적 세포인 CHO 세포에 혼합한 A. culbertsoni는 대조군에 비해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고 CHO 세포와의 혼합후 48시간 후 80%, 72시간후 95% 이상의 CHO 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A. royreba를 혼합하였을 때는 별다른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CHO 세포에 혼합한 A. tulbgrtsoni이 가수분해 효소 활성도를 경과 시간별로 측정하였던 바 CGV 배지에서 배 양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메바내보다 그 배양액에서 더 높은 효소 활성도를 나타내었던 acid phosphatase, β-N·acetyl galactosaminidase, β-N·acetyl glucosaminidase, α-mannosidase, acid proteinase는 혼합 120시간 동안 아메바내에서 더 높은 효소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neutral proteinase의 활성도는 경과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메바내에서는 일정하였지만 그 배양액인 EBSS용액내에서는 점점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마우스에서 수막뇌염을 일으키는 A. cuzbertsoni는 비 병원성인 A. reyreba와 비교할 때 여러 종류 가수분해 효소들의 활성도에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적세포인 CHO세포에 대한 A. cuzbertsoni의 세포독성은 강함을 알 수 있었고, 이 때 몇 종류 가수분해 효소들의 환성도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소견이 A. culbertsoni의 병원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마우스에서 Naegleria fowleri감염에 대한 단세포를 항체의 영향 (The protective effects of monoclonal antibodies in mice from Naegleyia fowleri infection)

  • 소의영;신호준;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2호
    • /
    • pp.113-124
    • /
    • 1992
  • 마우스에 N. fowleri를 감염시키기 전에 N( 2단세포군 항체를 2회 투여했을 때 사망률과 평균 생존기간이 15.8%, 17.7일, 1회 투여했을 때는 16.7%, 17.0일로 대조군의 22.7%, 14.6일 에 비해 사망률이 감소하고 생존기간이 연장되었다. Nf 154 단세포군 항체를 2회 투여시 사망률과 생존기간이 10.5%, 16.5일로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N. fowleri를 감염시킨 후 Nf 2 단세포군 항체를 2회 또는 1회 투여했을 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사망률과 생존기간의 차이 가 없음이 관찰되었다. 배양중인 N. fowleri 영양형에 Nf 2 및 Nf 154 단세포를 항체를 처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응집반응이 관찰되었으며, 보체를 처리하여 영양형의 증식정도를 관찰한 결과 단세포를 항체 처리시 영양형의 증식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Nf 2및 Nf 154단세포군 항체로 처리된 N. fowleri 영양형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는데, swelling된 미토콘드리아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cisternae의 손상도 관찰되었다. 또한 lipid droplets가 나타나고 그수가 증가하였으며, peroxisome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공포 수의 증가와 더불어 osmiophilic granules등이 관찰되었다. N. fowleri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배양된 CHO세포에 N. fowleri만 넣었을 때, 세포독성이 73.0% 인데 비해, Nf 2 및 Nf 154 단세포를 항체를 넣었을 패는 각각 5.4%, 10.7%로 CHO세포에 대한 N. fowleri의 세포파괴율이 저하됨이 관찰되었다.

  • PDF

비장적출(splenectomy)이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lenectomy on Development of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 신호준;임경일;최림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56-164
    • /
    • 1985
  • 자유생활아에마중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Naegleria fowleri영양형 $5{\times}10^4$개를 생쥐의 비강내 로 감염시켜서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을 받생시켰다. 그런 과정중 비장을 적출하여 그 영향에 대하여 생쥐의 체중과 수술후 회복기간별로 뇌수막염에 의한 사망율과 평균생존기간을 비교하였다. 또 생쥐의 혈청중 면역확산법으로 항체의 형성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각 실험군에서 채취한 혈청을 전기영동법을 실시하여 혈청단백질분획을 바교하였다. 본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생후 3주째에 비장을 적출하고 1주일 후에 N. fowleri로 감염시킨 실험I에서 대조군, sham군, 비장적출군 사이의 사망율은 각각 100%, 85%, 95%이었으며, 평균생존기간은 7.3일, 7.5일, 7.8일이었다. 2. 생후 3주째에 비장을 적출하고 3주일 후에 N. fowleri를 감염시킨 실험 II에서 대조군, sham군, 비장적출군 사이의 사망율은 각각 95%, 95%, 95%이었으며, 평균생존기간은 12.1일, 11.5일, 11.5일이었다. 3. 생후 5주째에 비장을 적출하고 1주일 후에 N. fowleri를 감염시킨 실험 III에서 대조군, sham군, 비장적출군 사이의 사망율은 각각 95%, 90%, 95%이었으며, 평균생존기간은 8.1일, 8.3일, 8.6일 이었다. 4. 원발성 아에바성 뇌수막염이 발생된 생쥐의 혈청을 면역확산법을 실시한 결과, 항원-항체 복합체의 2중으로 된 침강대를 관찰하였다. 5. 혈청단백질분획의 비교는 다음과 같았다. 1) 비장을 적출한 후 N. fowleri를 감염 시키기 전에 채취한 혈청중, 대조군에서 분획 III, IV 이 sham군과 비장적출군에 비하여 다르게 나타났다. 2) 비장을 적출한 후 N. fowleri을 감염시켜서 뇌수막염을 발생시킨 생쥐의 혈청에서는 대조군과 sham군의 분획 II, III, V가 비장적출군과 달랐다. 3) 비장을 적출한 후 N. fowleri를 감염시키기 전에 채취한 혈청과 감염시킨 후 뇌수막염에 의하여 사망하기 직전에 채취한 혈청사이에서는 분획 I, III, N, V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병원성이 강한 N. fowleri 영양형을 생쥐의 비강내로 떨어뜨려 원말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을 발생시킬 수 있었고, 비장을 적출하면 혈청 단백칠분획에는 차이를 나타낼지라도 생쥐의 사망율과 평균생존기간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