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Y zeolite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28초

부분적으로 $Co^{2+}$ 이온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X, $Co_{41}Na_{10}-X$를 탈수한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Dehydrated Partially Cobalt(II)-Exchanged Zeolite X, $Co_{41}Na_{10}-X$)

  • 장세복;정미숙;한영욱;김양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5-133
    • /
    • 1995
  • 부분적으로 Co2+ 이온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X (Co41Na10Al92Si100O384)를 탈수한 구조를 21℃에서 입방공간군 Fd3(α=24.544(1)Å)을 사용하여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해석하고 정밀화하였다. 이 결정은 Co(NO3)2와 Co(O2CCH3)2의 농도가 각각 0.025M 되도록 만든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흐름법으로 이온 교환하여 만들었다. 이 결정은 380℃에서 2×10-6 Torr 하에서 2일간 진공 탈수하였다. Full-matrix 최소자승법 정밀화 계산에서 I > 3σ(I)인 211개의 독립반사를 사용하여 최종 오차 인자를 R1=0.059, R2=0.046까지 정밀화시켰다. 이 구조에서 Co2+ 이온과 Na+ 이온은 서로 다른 4개의 결정학적 자리에 위치하고 있었다. 41개의 Co2+ 이온은 점유율이 높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자리에 위치하고 있었다. 16개의 Co2+ 이온은 이중 6-산소 고리 (D6R)의 중심에 위치하였고 (자리 I; Co-O = 2.21(1)Å, O-Co-O = 90.0(4)°), 25개의 Co2+ 이온은 큰 동공에 있는 자리 II에 위치하고 세 개의 산소로 만들어지는 평면에서 큰 동공쪽으로 약 0.09Å 들어간 자리에 위치하고 있었다. (Co-O = 2.05(1)Å, O-Co-O = 119.8(7)°). 10개의 Na+ 이온은 2개의 서로 다른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7개의 Na+ 이온은 큰 동공에 있는 자리 II 위치하였다. (Na-O = 2.29(1)Å, O-Na-O = 102(1)°). 3개의 Na+ 이온은 큰 동공에 있는 자리 III에 위치하고 있었다. (Na-O = 2.59(10)Å, O-Na-O = 69.0(3)°). 7개의 Na+ 이온은 가장 가까운 산소 평면에서 큰 동공 쪽으로 약 1.02Å 들어간 자리에 위치하고 있었다. Co2+ 이온은 자리 I과 자리 II에 우선적으로 위치하고, Na+ 이온은 그 나머지 자리인 자리 II와 자리 III에 위치한다.

  • PDF

구리(Ⅱ)를 이온교환한 제올라이트 Y 에서 프로필렌의 흡착특성 (Propylen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n Copper(Ⅱ)-Exchanged Zeolite Y)

  • 어용선;전학제
    • 대한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8-93
    • /
    • 1979
  • 구리(Ⅱ)를 이온교환한 제올라이트 Y에서 프로필렌의 흡착을 부피법, 온도상승에 따른 탈착법 및 전자스핀공명스펙트럼을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프로필렌의 흡착량은 구리이온의 교환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흡착된 상태는 최소한 4가지로서 $6.4^{\circ}C$/min으로 온도를 상승시켰을 때 탈착온도가 $108^{\circ}C({\alpha})$ , $243^{\circ}C({\beta})$, $284^{\circ}C({\gamma})$$420^{\circ}C({\delta})$ 였다. 이중 ${\alpha}$피이크는 제올라이트 격자내에 흡착된 것이었고, ${\beta}$${\gamma}$는 구리 이온과 구리 이온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Br$\"{o}$nsted 산점에 의해 흡착된 것이라고 생각되며 ${\delta}$피이크는 Br$\"{o}$nsted 산점에 의한 프로필렌의 중합체의 분해물이라고 생각된다.

  • PDF

Na+-Ca2+ 양이온 교환이 Heulandite의 열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Ca2+ Ion-exchange for Heulandite on the Thermal Stability)

  • 김화중;이재익
    • 공업화학
    • /
    • 제4권3호
    • /
    • pp.488-496
    • /
    • 1993
  • 천연 제올라이트는 공업적으로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여 최근에 연구의 초점이 되어왔다. 여러 종류의 국내산 천연 제올라이트 중에서 clinoptilolite는 가장 각광을 받는 천연 제올라이트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clinoptilolite와 구조가 유사한 heulandite가 clinoptilolite와 공존할 가능성이 항상 내포되어 있다. 그러나 heulandite는 열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이용되는데 많은 제한을 받아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온교환 및 열처리가 국내산 천연 제올라이트인 huelandite의 열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2종류의 이온교환을 실시한 후 여러 온도에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X-ray, IR 및 AA 흡광 분석을 실시한 결과 $Na^+$이온으로 이온교환할 때 heulandite의 열적 안정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이단 적층 흡착탑을 이용한 CO2 PSA 공정 (CO2 PSA Process using Double-Layered Adsorption Column)

  • 이화웅;최재욱;송형근;나병기
    • 청정기술
    • /
    • 제7권1호
    • /
    • pp.51-63
    • /
    • 2001
  • 화력발전소의 연소가스에서 고순도의 $CO_2$를 분리, 회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에너지 비용이 적게 드는 것으로 알려진 PSA(Pressure Swing Adsorption)공정을 이용하였다. 흡착제로서 활성탄 및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연소가스에서 $CO_2$를 회수할 수 있는 장치를 제작하고 이를 조업하는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CO_2$ 회수용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는 활성탄을 이용하여도 세정단계의 변형을 통한 새로운 사이클을 이용하여 고순도의 $CO_2$를 생성물로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각 흡착제의 흡착특성을 이용하여 이들 두 흡착제의 장점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흡착탑의 일부만을 제올라이트 13X를 채워 조업하는 2단 적층 흡착탑을 이용하여 회수율의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흡착탑의 도입부 쪽에 활성탄을, 배출부 쪽에 제올라이트를 채움으로써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CO_2$ 농도 13%, 유량 10 SLPM, 흡착압력 2.2기압에서 제올라이트를 부피비로 25%만 사용하여도 40%의 회수율 향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50%를 이용한 경우에는 회수율이 67%까지 증가하였는데 이는 제올라이트만을 이용한 경우의 회수율과 비슷한 결과였다.

  • PDF

결정입자 도포가 제올라이트 막 구조 및 분리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ystal Particle Deposition on Morphology of Zeolite Membrane and its Separation Performance)

  • 이용택;정헌규;정동재;윤미혜;안효성
    • 멤브레인
    • /
    • 제18권3호
    • /
    • pp.198-205
    • /
    • 2008
  •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결정핵으로 작용할 수 있는 동일한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다공성 지지체 위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수용액에 분산시킨 다음 이 수용액을 튜브형 다공성 세라믹 지지체에 일정 유속으로 공급하고, 세라믹 지지체의 반대편에 진공을 유지하여 일부 수용액이 지지체를 통과하면서 동시에 제올라이트 입자들을 지지체 표면에 도포하였다. 수용액 상에 분산된 제올라이트의 농도, 도포시간 그리고 분산 수용액의 공급속도 등이 결정핵 도포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공급유속이 100 mL/min, 도포시간이 4분인 경우 농도가 0.01 wt%에서 0.3 wt%로 증가할수록 도포량이 0.0019 g에서 0.0208 g으로 증가하였다. 농도가 0.01 wt%, 공급유속이 100 mL/min인 경우 도포시간이 1분에서 4분으로 증가하는 경우 도포량이 0.0004 g에서 0.0019 g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농도가 0.3 wt%이고, 도포시간이 1분일 때 유속이 100 mL/min에서 300 mL/min으로 빨라진 경우 도포량이 0.002 g에서 0.01 g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도포량이 증가할수록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통한 물과 에탄올의 총투과속도는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연한 구조체를 가지는 제올라이트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 and Carbon Dioxide in Zeolite with Flexible Framework)

  • 서양곤
    • 청정기술
    • /
    • 제30권3호
    • /
    • pp.248-257
    • /
    • 2024
  • 제올라이트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흡착을 기반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분리에 흡착제로써 사용할 수 있는 미세기공 재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LTA-4A, FAU-13X 그리고 FAU-NaY에 대해 273, 298 그리고 323 K에서 30 bar까지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하여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순수한 기체의 흡착 등온선과 혼합물의 선택도를 계산하였다. 또한 제올라이트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분리에 구조체의 유연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제올라이트에는 메탄보다 이산화탄소가 유리하게 흡착하였다. FAU-13X가 가장 높은 흡착 능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메탄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선택도는 LTA-4A가 보다 높았다. 견고한 구조체가 유연한 구조체 보다 흡착능력이 높았다. 구조체 유연성의 영향은 FAU 제올라이트는 적었으나 선택도에 대한 영향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Surface-functionalized Hexagonal Mesoporous Silica Supported 5-(4-Carboxyphenyl)-10,15,20-triphenyl Porphyrin Manganese(III) Chloride and Their Catalytic Activity

  • Zhang, Wei-Jie;Jiang, Ping-Ping;Zhang, Ping-Bo;Zheng, Jia-Wei;Li, Haiya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2호
    • /
    • pp.4015-4022
    • /
    • 2012
  • Manganese(III) 5-(4-carboxyphenyl)-10,15,20-triphenyl porphyrin chloride (Mn(TCPP)Cl) was grafted through amide bond on silica zeolite Y (HY), zeolite beta ($H{\beta}$) and hexagonal mesoporous silica (HMS). XRD, ICP-AES, $N_2$ physisorption, SEM, TEM, FTIR and thermal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se these novel heterogeneous materials. These silica supported catalysts were shown to be used for epoxidation and good shape selectivity was observed. The effect of support structure on catalytic performance was also discussed. The catalytic activity remained when the catalysts were recycled five times. The energy changes about epoxidation of alkenes by $NaIO_4$ and $H_2O_2$ were also computationally calculated to explain the different catalytic efficiency.

제올라이트 13X와 실리카-알루미나의 흡착특성 비교 (Comparison of Adsorption Characteristics on Zeolite 13X and Silica-aluminar)

  • 이송우;나영수;안창덕;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29-736
    • /
    • 2011
  • This work is to compare the experiment results by a continuous fixed-bed adsorption of water vapor, acetone vapor, and toluene vapor on zeolite 13X (SAU) and silica-alumina (SAK). SAU and SAK have very different pore structure but similar composition as inorganic adsorb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quilibrium adsorption capacity and specific pore size range were studied. Adsorption of water vapor was more suitable on SAU than SAK because SAU has relatively more developed pores around $5\;\AA$ than SAK in the pore range of $10\sim100\;\AA$. Adsorption of acetone vapor was more suitable on SAK than SAU because SAK has relatively more developed pores around $5\sim10\;\AA$ than SAK in the pore range of less than $10\;\AA$. Adsorption of toluene vapor was more suitable on SAK than SAU because SAK has relatively more developed pores in the pore range of $10\sim100\;\AA$ than SAK. Adsorption capacity of the adsorbent was closely related to the surface area generated in the specific pore size region. But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elationships between adsorption capacity and micro area, and the external surface area of adsorbent.

Tylosin 생성 우수 균주선별과 Tylosin 발효 (Mutational and Nutritional IMprovement of Tylosin Production)

  • 이상희;정병철;이계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47-651
    • /
    • 1995
  • A tylosin-hyperproductive mutant of S. fradiae MNU20 was isolated among 3500 strains obtaincd from either MNNG- or UV-treated Streptomyces fradiae NRRL2702. The composition of optimal medium for tylosin production was formulated as followed as: 4 g soluble starch, 1 g glucose, 1 g corn steep liquor, 7.5 ml soy bean oil, 0.2 g KH$_{2}$PO$_{4}$, 1 g Na$_{2}$S$_{2}$O$_{3}$$\cdot $5H$_{2}$O, 2 g CaCO$_{3}$, 2 g NaCl, 0.001 g CoCl$_{2}$$\cdot $6H$_{2}$O in 1 liter of distilled water. With the optimal medium, S. fradiae MNU20 was able to produce 159 mg tylosin (g biomass)$^{-1}$, indicating that tylosin productivity of Streptomyces fradiae NRRL2702 was increased 14 times higher by mutation. When the effect of valine, succinate, and natural zeolite on tylosin production was investigated by using the optimal medium, these substances essentially enhanced tylosin production and their addition time during culture period appeared to be critical for the increase of tylosin production.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polymer-Based Nanocomposite Films: Chitosan-Based Nanocomposite Film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 임종환
    • 한국포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포장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4-73
    • /
    • 2006
  • Four different types of chitosan-based nanocomposite films were prepared using a solvent casting method by incorporating with four types of nanoparticles, i.e., an unmodified montmorillonite (Na-MMT), an organically modified montmorillonite (Cloisite 30B), a Nano-silver, and a Ag-zeolite (Ag-Ion).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he nanocomposite films indicated that a certain degree of intercalation was formed in the nanocomposite films, with the highest intercalation in the Na-MMT-incorporated films followed by films with Cloisite 30B and Ag-Ion. SEM micrographs showed that in all the nanocomposite films, except the Nanosilver-incorporated one, nanoparticles were dispersed homogeneously throughout the chitosan polymer matrix. Consequently,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of chitosan films were affected through intercalation of nanoparticles, i.e., tensile strength (TS) increased by 7-16%, while water vapor permeability (WVP) decreased by 25-30% depending on the nanoparticle material tested. In addition, chitosan-based nanocomposite films, especially silver-containing ones, showed a promising range of antimicrobial ac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