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F

검색결과 1,418건 처리시간 0.031초

수정진동자를 이용한 NaF의 결정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rystallization of NaF using Quartz Crystal Analyzer)

  • 한성웅;손세영;송성훈;김종민;김우식;;장상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0권6호
    • /
    • pp.659-663
    • /
    • 2002
  • 에틸알코올의 첨가로 과포화가 유도되는 NaF 결정화 과정을 수정진동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준안정 상태의 NaF 용액에 에틸알코올을 첨가하면 NaF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NaF 과포화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NaF 결정이 생성 및 성장한다. NaF 용액의 과포화에서 결정 생성 및 성장하는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수정진동자의 금전극 표면을 염산시스테아민(cysteamine hydrochloride; 2-mercaptoethylamine hydrochloride)으로 self-assembly하여 수식하여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과포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NaF 결정이 염산시스테아민 표면 위에 흡착되면 흡착된 양에 비례하여 수정진동자 주파수가 변화하기 때문에 주파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NaF 결정과정을 분석할 수 있었다. 알코올의 주입량을 1-5 ml로 변화시킴으로써 용액 중에 형성되는 NaF의 과포화 농도의 수준을 변화시켜 주었으며, 염산시스테아민 박막에 대한 주파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주입량에 따른 NaF 결정화 정도를 해석할 수 있었다. 이들 결과들을 통하여 수정진동자를 이용한 NaF 결정화 과정의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불화물 복합적용이 법랑질의 재석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ulti-Application of Fluoride on Enamel Remineralization)

  • 조민정;이향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5-132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 or single application of fluoride plus 0.05% NaF solution on the remineralization of dental caries lesion. The microhardness changes of enamel surface were measured after application of fluoride and precipitation of 0.05% NaF solution on 6 groups of cow's tooth on which the artificial carious lesions were formed first. Test groups were calssified into two step application with NaF, $SnF_2$ and APF under different application time conditions plus 0.05% NaF solution(group I, II, III, IV) and single application with APF plus 0.05% NaF solution (group V) and control(0.05% NaF solution only, group IV).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Regarding microhardness change of enamel surface. microhardness increments in group I(NaF for 1 minute+APF for 3 minutes+0.05% NaF solution for 1 minute), II($SnF_2$ 1 min+APF 3 min+NaF sol.), III($SnF_2$ 2 min+APF 2 min+NaF sol.), IV(NaF 2 min+APF 2 min+NaF sol.) and V(APF 4 min+NaF sol.)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group VI.(P<0.05) 2. Microhardness changes of shorter application time of $SnF_2$ (group II)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group III. (P<0.05) 3. Microhardness changes were variable with kinds of fluoride, application sequence and application time of fluoride. but had no relation with the number of fluoride application.

  • PDF

PFOS 대체물질의 환경유해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Environmental Hazards of Alternatives for PFOS)

  • 최봉인;정선용;나숙현;신동수;유병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17-322
    • /
    • 2016
  • PFOS sodium salt ($C_8F_{17}SO_3Na$)는 28일 동안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은 반면 4종의 대체물질($C_{25}F_{17}H_{32}S_3O_{13}Na_3$, $C_{15}F_9H_{21}S_2O_8Na_2$, $C_{23}F_{18}H_{28}S_2O_8Na_2$, $C_{17}F_9H_{25}S_2O_8Na_2$)은 각각 21.6%, 20.5%, 15.8% 그리고 6.4% 분해가 이루어졌다. Daphnia magna를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수행한 물벼룩급성독성시험에서 sodium salt ($C_8F_{17}SO_3Na$)의 반수영향농도($EC_{50}$)는 54.5 mg/L 인 것으로 확인된 반면 4종의 대체물질은 500.0 mg/L에서 아무런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500.0 mg/L에서 PFOS sodium salt($C_8F_{17}SO_3Na$)의 표면장력은 46.2 mN/m이었으며 대체물질 4종의 표면장력은 모두 PFOS sodium salt 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_{23}F_{18}H_{28}S_2O_8Na_2$ (20.9 mN/m)는 가장 낮은 표면장력을 갖고 있었다. 그 다음은 $C_{15}F_9H_{21}S_2O_8Na_2$ (23.4 mN/m), $C_{17}F_9H_{25}S_2O_8Na_2$ (27.3 mN/m) 그리고 $C_{25}F_{17}H_{32}S_3O_{13}Na_3$ (28.2 mN/m) 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생물분해시험, 물벼룩급성독성시험 그리고 표면장력측정 결과를 종합해 보면 4종의 PFOS 대체물질($C_{25}F_{17}H_{32}S_3O_{13}Na_3$, $C_{15}F_9H_{21}S_2O_8Na_2$, $C_{23}F_{18}H_{28}S_2O_8Na_2$, $C_{17}F_9H_{25}S_2O_8Na_2$)은 모두 PFOS sodium salt ($C_8F_{17}SO_3Na$) 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3종의 대체물질($C_{15}F_9H_{21}S_2O_8Na_2$, $C_{23}F_{18}H_{28}S_2O_8Na_2$, $C_{25}F_{17}H_{32}S_3O_{13}Na_3$)은 미생물분해율이 15.8~21.6%로 상대적으로 높고, 물벼룩급성독성과 표면장력측정이 PFOS sodium salt 보다 상당히 우수하다. 그러므로 이들 4종의 대체물질은 PFOS 대체물질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NaF 첨가량이 흰쥐의 NEFA 및 Uric Acid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F Contents on the NEFA and Uric Acid Concentrations in Rats)

  • 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282-1291
    • /
    • 2021
  • 본 연구는 NaF 경구 투여가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혈청 중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uric acid 및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G군과 기본식이에 NaF 경구 투여군(NF3~50군) 9그룹의 식이군으로 나누어 5주간 실험사육을 행하였다. 흰쥐의 NEFA와 BUN, creatinine, uric acid 농도는 NaF 농도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고농도의 NaF 투여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관찰되었다(𝛼=0.05). 한편, 전해질 농도 중 total calcium (T-Ca)과 인(Pi) 농도는 대조군보다 NaF 투여군에서 낮게 동정되었으며, NaF 20 mg 이상 경구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𝛼=0.05). 흰쥐의 NaF 경구 투여 처리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EFA 및 BUN, creatinine, uric acid의 농도가 상승하였으며, 전해질 농도는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신장 기능 장애 등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NaF 전해용액을 이용한 양극산화에 의한 타이타늄 표면의 나노튜브구조의 형성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Formation of Nanotube Titanium Oxide Film by Anodizing on Titanium in NaF Electrolytes)

  • 임현필;박남순;박상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2호
    • /
    • pp.183-19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NaF와 $H_3PO_4$를 사용하여 양극산화과정을 통해 나노튜브 제작 조건을 찾는 것이다. 절삭된 직경 15 mm, 두께 1.5 mm의 티타늄 디스크를 양극에, 백금을 음극에 연결하고 전극간의 거리는 10 mm가 되도록 하였다. $H_3PO_4$와 NaF 용액을 전해질로 하여 양극산화를 시행하였는데 전압, 전해질 농도, 산화시간을 달리하여 티타늄 디스크에 나노튜브를 형성하였다. 양극산화 후 24시간 동안 증류수로 세척한 후 24시간 동안 $40^{\circ}C$ 오븐에서 건조하고 시편의 표면구조 형상을 관찰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0.5 wt % NaF에서 전압과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ore 형태의 초기 나노튜브 형성되었다. 1.0 wt % NaF에서 20 V, 20 분과 25 분에서 나노튜브가 생성되었고, 30 V에서 튜브의 형태가 커지면서 터지는 양상을 보였다. 2.0 wt % NaF에서 전압과 시간에 상관없이 적절한 나노튜브형태가 형성되지 않았다. $1M\;H_3PO_4$, 1.0 wt % NaF 전해용액, 20 V, 20분 양극산화 조건에서 티타늄 디스크 상에 가장 잘 정렬된 형태의 나노튜브 구조가 형성되었다. 양호한 형태의 나노튜브 형성을 위해서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농도, 전압, 시간의 형성조건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nodic oxidation behavior of AZ31 Mg alloy i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various NaF concentrations

  • Moon, Sungmo;Kwon, Duyoung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196-201
    • /
    • 2022
  • This paper deals with anodic oxidation behavior of AZ31 Mg alloy in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various NaF concentrations from 0.01 M to 1 M. Three different voltage-time curves and anodic oxide formation behaviors appeared with concentration of NaF in deionized water. When NaF concentration is lower than 0.02 M, the voltage of AZ31 Mg alloy increased linearly and then reached a steady-state value more than 200 V, and large size pits and thin oxide layer were formed. When NaF concentration is between 0.05 M and 0.1 M, the voltage of AZ31 Mg alloy showed large periodic fluctuations of about 30 ~ 50 V around more than 200 V and large number of small particles were observed. If NaF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0.2 M, PEO films can be formed without visible arcs under solution pH 6.5 ~ 7.5 by F- ions without help of OH- ions.

실리콘웨이퍼 부산물을 이용한 규불화소다($Na_2SiF_{6}$)의 제조와 금속융제의 특성

  • 신학기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79-280
    • /
    • 2003
  • 실리콘웨이퍼 제조공정에서 폐기되는 HF에는 순수한 실라카만 함유되어 있지만 브라운관 업체에서 폐기되는 HF 폐액에는 유리의 조성에 따라서 다양한 성분들이 소량씩 함유되어 있다. 몰비로 Si:F=1:6이 되도록 조정한 후에 20% NaOH를 사용하여 pH를 6으로 조정하여 규불화소다를 얻고, 이어서 pH를 9로 조정하여 NaF를 었었다. 규불화소다에 NaCl, 칠레초석을 다양하게 첨가하여 금속 융제로 사용한 결과에 의하면 규불화소다의 양이 증가할수록 융제의 특성은 우수하였고, 가장 이상적인 첨가량은 50%~60%이었다. 따라서 각 공정에서 폐기되는 HF는 $Na_2SiF_{6}$와 NaF를 제조함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하였다.

  • PDF

Mo 기판위의 NaF 중간층을 이용한 Cu(In,Ga)Se2 광흡수층의 Na 도핑특성에 관한 연구 (Na Doping Properties of Cu(In,Ga)Se2 Absorber Layer Using NaF Interlayer on Mo Substrate)

  • 박태정;신동협;안병태;윤재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452-456
    • /
    • 2009
  • In high-efficiency Cu(In,Ga)$Se_2$ solar cells, Na is doped into a Cu(In,Ga)$Se_2$ light-absorbing layer from sodalime-glass substrate through Mo back-contact layer, resulting in an increase of device performance. However, this supply of sodium is limited when the process temperature is too low or when a substrate does not supply Na. This limitation can be overcome by supplying Na through external doping. For Na doping, an NaF interlayer was deposited on Mo/glass substrate. A Cu(In,Ga)$Se_2$ absorber layer was deposited on the NaF interlayer by a three-stage co-evaporation process As the thickness of NaF interlayer increased, smaller grain sizes were obtained. The resistivity of the NaF-doped CIGS film was of the order of $10^3{\Omega}{\cdot}cm$ indicating that doping was not very effective. However, highest conversion efficiency of 14.2% was obtained when the NaF thickness was 25 nm, suggesting that Na doping using an NaF interlayer is one of the possible methods for external doping.

불화물(弗化物)의 상아질도포효과(象牙質塗布效果)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 OF FLUORIDES ON HUMAN DENTIN)

  • 전동문;민병순;최호영;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3권1호
    • /
    • pp.23-38
    • /
    • 198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aterial formed by application of fluoride on human dentin, exposed dentin of tooth cervix and sound dentin powder was treated by several fluoride solutions. The former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latter was analysed by x-ray diffractometer and infrared spectrophotomete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pplication with NaF, $SnF_2$ and $Na_2PO_3F$ on exposed dentin of tooth cervix formed mineralized materials covered. 2. The amount of mineralized materials increased with time intervals of applying the fluorides. 3. The density of mineralized materials was highest in $Na_2PO_3F$ treatment group, and NaF treatment group was higher than $SnF_2$ treatment group. 4. $SnF_2$ remained in covering of mineralized materials. 5. Application with NaF and $Na_2PO_3F$ formed mineralized materials characterized apatitic crystals. 6. The crystallinity of mineralized materials was higher prominently in $Na_2PO_3F$ treatment group.

  • PDF

Silver diamine fluoride와 sodium fluoride (NaF) 바니쉬의 법랑질 인공우식병소 재광화 효과 (Effect of Silver Diamine Fluoride and Sodium Fluoride Varnish on Remineralization in Artificially Induced Enamel Caries: An in vitro Study)

  • 김소영;이상호;이난영;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6-27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법랑질 인공우식병소에서 silver diamine fluoride (SDF)와 sodiun fluoride (NaF) 바니쉬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소의 절치를 이용해 인공적으로 법랑질 초기 우식병소를 형성하고 38% SDF와 5% NaF 바니쉬를 도포한 후 인공 타액에 3주동안 보관하면서 pH-cycling을 시행하여 법랑질 표면과 3개 층의 깊이에서 micro-CT를 이용하여 무기질 밀도를 측정하고 SEM-EDS를 이용하여 법랑질 표면의 미세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두 제제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38% SDF군와 5% NaF 바니쉬군 모두 탈회된 법랑질의 무기질 밀도와 정상수준으로 재광화된 법랑질의 부피는 시간 경과에 따라 21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38% SDF군은 5% NaF 바니쉬군보다 법랑질의 모든 깊이와 경과한 시간대에서 무기질 밀도 증가량(△HUV) 및 정상수준으로 재광화된 법랑질의 부피 모두 컸다(p = 0.001). SEM을 이용해 관찰한 재광화된 법랑질 표면은 38% SDF군이 5% NaF 바니쉬군에 비해 더 부드러웠다. SEM 사진상에서 38% SDF를 도포한 법랑질 표면에서 은 화합물 침착이 관찰되었으며 EDS 분석에서는 은 이온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38% SDF의 법랑질 인공우식병소에서의 재광화 효과는 5% NaF 바니쉬보다 더 큼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SDF가 진행된 우식의 처치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