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 ion

검색결과 1,704건 처리시간 0.022초

$Na^+$$\longleftrightarrow$$Ag^+$ 이온교환에 따른 Na_2O-Al_2O_3-SiO_2$ 계 유리의 특성 및 살균효과 (Characterization and Bacteicidal Effect of Na_2O-Al_2O_3-SiO_2$ Glass System by $Na^+$$\longleftrightarrow$$Ag^+$ Ion Exchange)

  • 이광희;최세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2-250
    • /
    • 1996
  • Glasses of Na2O-Al2O3-SiO2 system were prepared and ion-exchange characteristics change of properties and bactericidal effects by Na+↔Ag+ ion exchange were studied. Parent glasses with three compositions of varying Na2O in the 20~30 wt% were ion-exchanged in the molten salt of 2 mol% AgNO3+98 mol% NaNO3 at 320~36$0^{\circ}C$ for 15~16min. Amount of ion exchange and penetration depth of Ag+ ion increased with Na2O content in the parent glass ion exchange temperature and time. After ion exchange densities and Vickers hardness of the glasses increased and the glasses showed yellow-brown color and as amount of ion exchange increased the color turned deep because partial reduction and agglomeration of Ag+ into Ag0 results in absorption of visible light. After ion exchange chemical durability of the glass to wter was enhanced compara-bly that weight loss and change of surface of the glass were not found for the leaching test in 5$0^{\circ}C$ K.I water for 240hrs. Bactericidal effect of ion exchanged glass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 coli was determined by microorganism test and bactericidal effect increased with amount of ion exchange and incubation time.

  • PDF

Recent Progress on Sodium Vanadium Fluorophosphates for High Voltage Sodium-Ion Battery Application

  • Yuvaraj, Subramanian;Oh, Woong;Yoon, Won-Sub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1-13
    • /
    • 2019
  • Na-ion batteries are being considered as promising cost-effective energy storage devices for the future compared to Li-ion batteries owing to the crustal abundance of Na-ion. However, the large radius of the Na ion result in sluggish electrode kinetics that leads to poor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hich prohibits the use of these batteries in real time application. Therefore, identification and optimization of the anode, cathode, and electrolyte are essential for achieving high-performance Na-ion batteries. In this context, the current review discusses the suitable high-voltage cathode materials for Na-ion batteries. According to a recent research survey, sodium vanadium fluorophosphate (NVPF) compounds have been emphasized for use as a high-voltage Na-ion cathode material. Among the fluorophosphate groups, $Na_3V_2(PO_4)_2F_3$ exhibited the high theoretical capacity ($128mAh\;g^{-1}$) and working voltage (~3.9 V vs. $Na/Na^+$) compared to the other fluorophosphates and $Na_3V_2(PO_4)_3$. Here, we have also highlighted the classification of Fluorophosphates, NVPF composite with carbonaceous materials, the appropriate synthesis methods and how these methods can enhanc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Finally, the recent developments in NVPF for the application in energy storage devices and its outlook are summarized.

나트륨형불소 4 규소운모의 $H^+$ 이온교환 및 화학적인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on Exchange and th Chemical Stability of Na-fluor-tetrasilicic Mica by $H^+$ions)

  • 송종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39
    • /
    • 1985
  • Synthetic mica $NaMg_{2.5}(Si_4O_{10})F_2 (Na-TSM)$ was treated with HCl solution and H-type exchange resin to investigate the chemical stability and the ion exchange by measuring the dissolution of chemical components and the exchanged $H^+$ ion. The replacement of $Na^+$ ion occurred in contact with HCl solution and H-type ion exchange resin at the surface of Na-TSM particles reached $Na^+$ ions at maximum value of 70~80%. $Mg^{2+}$ ion of octahedral layer became to dissolve from the pH2 solution and th amount of it dissolved in-creased almost proportional to $H^+$ ion concentration from around 0.02N $H^+$ ion equilibrium concentration.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Na-TSM was destructed by dissolution of Mg2+ ion in cncentrated hydrochloric acid solution and resulted silica gel precipitation.

  • PDF

이온 교환된 NaA형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투과증발 특성 (Per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Ion-exchanged NaA Type Zeolite Membranes)

  • 이용택;염인아;윤미혜
    • 멤브레인
    • /
    • 제19권3호
    • /
    • pp.189-193
    • /
    • 2009
  • 제올라이트 분리막 제조 시 제올라이트 골격 내에 존재하는 $Na^{+}$ 양이온을 $K^{+}$ 이온과 $Ca^{2+}$ 이온으로 교환하여 보다 효율적인 물/에탄올 혼합물로부터 물의 분리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NaA형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각각의 0.5 M KCI $CaCl_2$, $80^{\circ}C$ 수용액에서 4시간 동안 이온교환 하였다. $Na^{+}$ 이온을 $K^{+}$ 이온으로 교환한 결과, 이온 교환 전 총 투과플럭스는 $900\;g/m^2{\cdot}hr{\sim}2,500\;g/m^2{\cdot}hr$이었으나 이온 교환 후 $600\;g/m^2{\cdot}hr{\sim}2,000\;g/m^2{\cdot}hr$ 정도로 낮아졌으며, 이온 교환 전 $600{\sim}2,200$의 선택도를 나타내던 분리막의 선택도가 이온 교환 후에 $850{\sim}2,500$까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Na^{+}$ 이온을 $Ca^{2+}$ 이온으로 교환한 결과,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전체 투과플럭스와 선택도 모두 이온 교환 전 후 유사한 결과 값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친수성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유효세공경을 제어하고 적절한 크기로 조절하여 유기물/물 혼합물 분리에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유기물의 선택적 분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알칼리 금속 이온 및 염소 이온의 제거 (Removal of Alkali Metal Ion and Chlorine Ion Using the Ion Exchange Resin)

  • 이경한;길보민;유철휘;황갑진
    • 멤브레인
    • /
    • 제30권4호
    • /
    • pp.276-281
    • /
    • 2020
  • 알칼리 금속 이온과 염소 이온이 포함된 용액으로부터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이온 제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양이온인 금속이온(Na+와 K+)의 제거에는 양이온교환수지를, 음이온인 염소 이온(Cl-)의 제거에는 음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였다. 용액 A (Na+를 36,633 ppm, Cl-를 57,921 ppm 함유)의 경우, Na+ 이온과 Cl- 이온은 20분 이내에 99% 이상 제거되었다. 용액 B (K+를 1,638 ppm 함유)의 경우, K+ 이온은 3분 이내에 99% 이상 제거되었다.

Hydrous Titanium Dioxide로부터 H+/Na+의 이온교환에 의한 티탄산나트륨의 합성 및 성전이 (The Synthesis of Sodium Titanate by the Ion Exchange of H+/Na+ from Hydrous Titanium Dioxide and its Phase Transition)

  • 이진식;송연호;이철태
    • 공업화학
    • /
    • 제9권4호
    • /
    • pp.585-590
    • /
    • 1998
  • 섬유상의 $Na_xTi_nO_{2n+1}$는 층상구조의 $H_2Ti_4O_9{\cdot}nH_2O$에대한 $H^+/Na^+$의 이온교환에 의해서 합성되었다. 이온교환 반응은 0.5~2.0 M NaOH 용액에서 이루어졌으며, 2.0 M NaOH의 용액에서 이온 교환할 때 73%가 치환되었다. 이 때 길이가 $10{\sim}20{\mu}m$이고 직경이 약 $0.7{\mu}m$인 비교적 균일한 형태의 섬유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층상구조의 티탄산나트륨에 대한 상전이는 열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 $Na_xTi_nO_{2n+1}$ 섬유는 $200{\sim}600^{\circ}C$의 온도에서 $Na_2Ti_6O_{13}$$TiO_2$로 분해되었다.

  • PDF

Poly(L-glutamic acid)/PVA 블렌드막의 대이온 선택적인 구조전이와 이온투과 특성 (Counterion Specific Conformational Transition and ion Selective Transport of a Poly(L-glutamic acid)/PVA Blend Membrane)

  • 허양일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802-809
    • /
    • 2000
  • Poly(L-glutamic acid) (PLGA)와 PVA 블렌드막을 제조한 후, ethanol 수용액중에서 막증의 polypeptide 사슬의 2차구조 전이거동에 미치는 용매조성 및 대이온종의 영향과 알칼리 금속 이온 (Li, na, K, Cs)에 대한 투과특성을 조사하였다. 막중 PLG 알칼리 금속염의 helix 형성거동에 있어 대이온 선택성은 Li>Na>K>Cs의 순으로 관찰되었고, 이와 같은 특이성은 탈용매화 에너지와 정전에너지의 감소에 따른 고분자 하전기와 대이온과의 contact ion-pair 형성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PLGA/PVA 블렌드막의 ethanol 수용액 중에서의 알칼리 금속이온의 투과거동을 살펴보면, ethanol 농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K, Cs의 경우는 투고도가 증가한, Li, Na의 경우에는 감소하였다. K, Cs 이온의 경우 대이온과 염소이온간의 ion-pair (M$^{+}{\cdot}$Cl$^{-}$)형성에 의한 Donnan배제효과의 감소와 중성염 형태로의 분배량 증가때문인 것으로, Li, Na 이온의 경우 막중의 coil-helix 구조전이에 따른 자유체적의 감소와 고분자 하전기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여 확산성이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137}$ Cs 감마선 여기에 의한 이온 주입된 $Al_2$O$_3$의 열자극 발광 ($^{137}$ Cs Gamma Ray Induced Thermoluminescence from ion Implanted $Al_2$O$_3$)

  • 김태규;이병용;김성규;박영우;추성실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5권2호
    • /
    • pp.3-12
    • /
    • 1994
  • $Na^{+}$ 이온을 주입시킨 후, $^{17}$ Cs 감마선으로 조사된 $Al_2$O$_3$ 및, $Na^{+}$ 이 주입된 $Al_2$O$_3$의 열자극 발광을 340K~620K의 온도 구간에서 측정하였다. $Na^{+}$ 이온을 주입시킨 후, $^{137}$Cs 감마선으로 조사된 $Al_2$O$_3$의 열자극 발광 곡선은 415K, 452K, 508K, 및 568K에서 TL peak를 가지는 곡선으로 분해되었다. $Na^{+}$ 이온 주입 후 $^{137}$Cs 감마선 조사된 $Al_2$O$_3$는, $Na^{+}$ 이온만 주입된 $Al_2$O$_3$$^{137}$Cs 감마선 만 조사된 $Al_2$O$_3$보다 각각 defect traps에 구속된 전하운반체의 밀도와 defect traps의 밀도가 증강되었기 때문에, $Na^{+}$ 이온 주입 후 $^{137}$Cs 감마선 조사된 $Al_2$O$_3$보다 각각 20배, 5배 증가되었다. 주입 이온 선량과 에너지의 증가는 defect trap 밀도의 증가를 초래함으로, 이온 주입된 시료의 열자극 발광 세기는 이온의 선량과 에너지에 의존함을 알았다. 입사 이온의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자극 발광 세기는 기하급수적으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이것은 열자극 발광 세기가 결함 생성률 뿐만 아니라, 이온의 주입 깊이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제주 스코리아로부터 합성된 Na-P1 제올라이트에 의한 Cu 이온 제거 (Removal of Copper ton by Na-P1 Synthesized from Jeju scoria)

  • 감상규;홍정연;현성수;안병준;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5-83
    • /
    • 2002
  • The removal performance of copper ion was studied using Na-P1 zeolites synthesized from Jeju scoria. The scoria which is found in large amounts in Jeju Island, was sampled at four regions, Jeju-shi Bonggae-dong(A). Pukcheju-gun Hanlim-eup Sangmyong-ri Mangoreum(B), Pukcheju-gun Hanlim-eup Keumag-ri(C) and Namcheju-gun Andeok-myun Dongkwang-ri(D). Synthetic Na-P1 zeolites used in this study were more effective than natural zeolite and scoria for the removal of copper ion. The removal performances of copper ion decreased in the order of Na-P1(D) > Na-P1(C) > Na-P1(B) > Na-P1(A) among Na-P1 synthesized from the scoria according to region. These results showed the same trend with cation exchange capacity(CEC) for each synthetic zeolite, i.e., the synthetic Na-P1 zeolite with a higher CEC showed a higher removal performance. The effective diffusion coefficients of copper ion by synthetic Na-P1 zeolites were one hundred and ten times higher than those by a pure zeolite 4A and the zeolite A synthesized from coal fly ash, respectively.

Water Glass로부터 합성한 δ-Na2Si2O5의 Ca2+, Mg2+ 이온교환성 (The Calcium and Magnesium Ion-Exchange Properties of Snythetic δ-Na2Si2O5 from Water Glass)

  • 정순용;서정권;박중환;도명기;고재천;이정민
    • 공업화학
    • /
    • 제5권3호
    • /
    • pp.406-412
    • /
    • 1994
  • Water glass로부터 ${\delta}-Na_2Si_2O_5$를 합성하여, 이의 칼슘과 마그네슘의 이온교환성, 이온교환에 대한 열역학적 특성치를 조사하였다. Water glass로부터 합성한 ${\delta}-Na_2Si_2O_5$의 최적 합성온도가 $725^{\circ}C$ 근처임을 알았다. 이온교환반응에 있어서 마그네슘 이온교환능이 칼슘 이온교환능보다 우수하였고, 마그네슘의 이온교환능은 온도에 민감하지 않은 반면에, 칼슘의 이온교환능은 온도에 민감하여 온도증가에 따라 이온교환능의 증가폭이 큼을 알 수 있었다. 초기 수용액 pH 변화에 따른 칼슘과 마그네슘의 이온교환능은 초기 수용액 pH가 2~6 사이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나, 6 이상에서는 ${\delta}-Na_2Si_2O_5$의 알카리 완충효과 때문에 각각 일정하게 나타났다. 이온교환 Gibbs 자유에너지는 이온교환 선택성의 역순으로 칼습 이온 교환반응이 마그네슘 이온교환반응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엔탈피와 엔트로피값도 칼슘 이온교환반응이 마그네슘 이온교환 반응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