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S3

검색결과 1,080건 처리시간 0.03초

Nonsaponin fractions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s prime activation of NLRP3 inflammasome

  • Han, Byung-Cheol;Ahn, Huijeong;Lee, Jiseon;Jeon, Eunsaem;Seo, Sanghoon;Jang, Kyoung Hwa;Lee, Seung-Ho;Kim, Cheon Ho;Lee, Geun-Shi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513-523
    • /
    • 2017
  • Background: Korean Red Ginseng extracts (RGE) have been suggested as effective immune modulators, and we reported that ginsenosides possess anti-inflammasome properties. However, the properties of nonsaponin components of RGE have not been well studied. Methods: To assess the roles of nonsaponin fractions (NS) in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we treated murine macrophages with or without first or second inflammasome activation signals with RGE, NS, or saponin fractions (SF). The first signal was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F-${\kappa}B$)-mediated transcription of pro-interleukin (IL)-$1{\beta}$ and NLRP3 while the second signal triggered assembly of inflammasome components, leading to IL-$1{\beta}$ maturation. In addition, we examined the role of NS in IL-6 production and IL-$1{\beta}$ maturation in mice. Results: NS induced IL-$1{\beta}$ and NLRP3 transcription via toll-like receptor 4 signaling, whereas SF blocked expression. During the second signal, SF attenuate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while NS did not. Further, NS-injected mice presented increased IL-$1{\beta}$ maturation and IL-6 production. Conclusion: SF and NS of RGE play differential roles in the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Hence, RGE can be suggested as an NLRP3 inflammasome modulator.

GE-PON 시스템을 위한 버스트 모드 광수신기 제작과 상향채널 특성 평가 (Manufacturing of Burst mode Transceiver module and Performance Test for Upstream Channel of Gigabit Ethernet PON System)

  • 장진현;정진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67-17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3ah의 규격을 만족하는 GE-PON의 버스트모드 트랜시버 제작을 위하여 상용 광모듈과 클락 데이터 복구기, 직병렬변환기 등의 회로로 트랜시버를 구현하며, PON의 상향채널 광전송환경인 버스트모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지그를 제작하여 그 특성을 측정하고, 트랜시버 성능을 평가한다. PON의 버스트모드 트랜시버 특성의 리미팅 앰프 특성은 최대 26[dB]의 광전력차를 보상하는 결과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고, 개시포착 고정시간은 VSC7123이 670[ns], S2060이 2300[ns]로 결과치가 측정되었고, 데이터포착 고정시간 또한 S2060은 600[ns]로 표준을 벗어나는 특성을 보인 반면, VSC7123이 400[ns] 이내로 IEEE 802.3ah의 표준안을 만족시켰다.

dicA promoter DNA에 붙는 H-NS 단백질에 의한 dicA 유전자의 발현 조절 (H-NS binding on dicA promoter DNA inhibits dicA gene expression)

  • 윤상훈;이연호;임헌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91-198
    • /
    • 2019
  • H-NS는 대장균에서 DNA 결합 단백질로 수많은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DicA 단백질은 dicF, dicB의 발현을 억제하여 대장균의 분열을 조절한다. dicA의 발현에 Cnu, H-NS의 관여 여부는 CnuK9E 돌연변이가 $37^{\circ}C$에서 dicA의 발현을 억제하여 대장균이 길게 자라는 현상을 일으키며 처음 알려졌다. 하지만 Cnu와 H-NS 두 단백질이 어떻게 dicA의 발현을 조절하는지에 대한 분자적인 기작 연구는 잘 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 H-NS가 dicA와 dicC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근에 염기서열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37^{\circ}C$ 보다 $25^{\circ}C$에서 DNA 더 잘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EMSA를 통해 Cnu는 H-NS의 DNA 결합의 oligomeric state를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In vivo transcription assay와 real time PCR을 통해 H-NS가 제거된 대장균에서 dicA 프로모터 활성이 높아지고, 분열 초기 dicA의 발현이 조절 받지 못하고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H-NS는 dicA의 발현에 억제자로서 기능한다.

아미노-기능화된 실리카 위 후전이 금속 촉매 담지 및 이를 이용한 노보넨 중합 (Immobilization of Late Transition Metal Catalyst on the Amino-functionalized Silica and Its Norbornene Polymerization)

  • 파시아 로즈 말디;김소희;이정숙;고영수
    • 공업화학
    • /
    • 제27권3호
    • /
    • pp.313-31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무정형 실리카의 세공 내를 아미노실란인 N-[(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2NS)를 이용하여 표면 기능화한 후 표면 기능화된 실리카에 후전이 금속 촉매인 $(DME)NiBr_2$$PdCl_2$(COD)를 담지하여 노보넨 중합을 실시하였다. 중합 온도와 중합 시간, Al/Ni 몰비, 조촉매 종류를 변화시켜 중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담지되지 않은 촉매($(DME)NiBr_2$, $PdCl_2$(COD))로 노보넨 중합을 수행하였을 경우 중합반응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조촉매로 MAO를 이용하여 중합한 경우 $SiO_2$/2NS/Ni 촉매는 중합 온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은 증가하였고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PNB)의 분자량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SiO_2$/2NS/Pd 촉매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활성과 PNB의 분자량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iO_2$/2NS/Ni 촉매는 $SiO_2$/2NS/Pd 촉매보다 높은 온도에서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촉매 모두 중합 시간이 길어질수록 노보넨의 전환율은 증가하였다. Al/Ni 몰비가 1000 : 1일 때 가장 높은 활성(15.3 kg-PNB/(${\mu}mol-Ni^*hr$))을 보이는 반면 가장 낮은 분자량($M_n$ = 124,000 g/mol)의 PNB를 합성하였다. 또한 조촉매로 Borate/TEAL을 이용하여 중합한 경우 $SiO_2$/2NS/Ni 촉매는 중합 온도가 증가할수록 활성과 분자량이 모두 감소하였다.

LPS로 자극한 BV-2 microglial cell에서 Microarray를 통한 련자육(蓮子肉)의 유전자 발현 분석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profile by treatment of Nelumbinis Semen in LPS activated BV-2 microglial cells)

  • 김수오;임병묵;배현수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45-160
    • /
    • 2008
  • Nelumbinis Semen(NS)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diseases such as depression and diarrhea. In inflammatory responses, microglia produces molecules which are known to play rol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we previously studied NS inhibited nitric oxide synthase and secre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o explore the global gene expression profiles in BV-2 microglial cell line treated with NS, microarray analysis was performed. The cells were treated with LPS or NS plus LPS for 30min, Ih, 3h, and 6h, respectively. Of 45,101 known genes, with cutoff value of 3-fold change in the expression, 340, 644, 280 and 219 genes were upregulated and 503, 570, 694 and 484 were downregulated in NS treated cells at each time poi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reatment of NS reversed the LPS-induced upregulation of such genes as Ecoxsackievirus and adenovirus receptor(CAR), pellino 1, and S100P binding protein. It is thought that microarrays will play an ever-growing role in the advance of our understanding of the pharmacologic actions NS.

  • PDF

수도(水稻)에서 여러 질소효율의 개념(槪念)과 상호관계(相互關係) (Concepts concerning various nitrogen efficiencies and their interrelation in rice plant)

  • 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9-80
    • /
    • 1975
  • 수도(水稻)의 수량(收量)과 여러가지 질소효율간, 질소효율 상호간(相互間), 효율과 흡수량간(吸收量間)의 관계(關係)를 설정(設定)하고 3개(個) 연간(年間)의 3요소시험(要素試驗) (30~50개지역(個地域)) 결과자료(結果資料)로 검토(檢討)하였다. 설정(設定)된 상호관계(相互關係)는 고도유의상관(高度有意相關)을 보이므로 실험결과(實驗結果)에 잘 일치(一致)하였다. 시비하(施肥下)에서 다수성(多收性)은 시료(肥料)의 이용율(利用率)(Eu)을 증가(增加)시켜 일차적(一次的)으로 질소흡수(窒素吸收)를 증가(增加)시키고 흡수시료질소吸收肥料窒素(Nf) 효율(Ef) 및 시비효율(Fe)을 증가(增加)시키며 이차적(二次的)으로 질소효율(E)을 증가(增加)시키는데 의존(依存)한다. 흡수(吸收)된 토양질소(土壤窒素)(Ns) 효율(Es)은 Ef보다 E에 대(對)한 기여도(寄與度)가 컸으며 모든 질소효율은 동반질소(同伴窒素)의 흡수량(吸收量) 및 상대(相對)되는 다른 질소효율에 역상관(逆相關)을 보였다. Es와 Ef는 1. 감법(減法) 2. Cs (Cs=Ns/Ns+Nf) 대(對) E plotting 법(法)과 3. 표식비료(標識肥料)를 사용(使用)한 E-Cs 및 Y-Ns Plotting 법(法)이 있으며 Plotting 법(法)은 E-Es Cs+B 식(式) 또는 Y=Es Ns+Ef Nf식(式)을 사용(使用)하며 B=Ef Cf로 Ef Nf와 함께 주어진 조건하(條件下에서 상수(常數)로 본다. Es는 Ef보다 대부분(大部分)의 경우 (80%) 크며 포장간(圃場間)에 Es보다 Ef에 차이가 크며 Ef는 특히 비료(肥料)의 형태(形態)에 의존(依存)한다. 설정검토(設定檢討)된 상호관계(相互關係)는 다음과 같다. 1. Y=$Es{\cdot}Ns+Ef{\cdot}Nf$ (Y는 수량(收量)) 2. E=$Es{\cdot}Cs+Ef{\cdot}Cf(Cf=Nf/Ns/Nf)$ 3. E=b-aN, E=E, Es 또는 Ef이고 N=N, Ns 또는 Nf이다. (E=Y/N, N=Ns+Nf), b는 주어진 조건(條件)에서의 E의 이론적(理論的) 최대치(最大値)이고 a는 Y=EN 곡선(曲線)의 N=0에서의 접선(接線)의 기울기이다. 4. Fe=$Ef{\cdot}Eu$, Se=$Es{\cdot}Eu$ (Se는 토양유효질소의 종조생산효율) 5. E=$Se{\cdot}Cs/Eu+Fe{\cdot}Cf/Eu$ 6. Y=$Es{\cdot}Eu{\cdot}Sf+Ef{\cdot}Eu{\cdot}Fn$ 또는 Y=$Es{\cdot}Eu{\cdot}Ea{\cdot}Sn+Ef{\cdot}Eu{\cdot}Fn(Sf=Ea{\cdot}Sn$, Ea는 비료질소(肥料窒素)와 대등(對等)한 토양유효질소(Sf)를 전토양질소(全土壤窒素)(Sn)로 나눈 유효화율).

  • PDF

표면 기능화된 Micelle-Templated Silica 나노세공 내 메탈로센 담지 및 에틸렌 중합 (Immobilization Metallocene Inside Surface-functionalized Nanopore of Micelle-Templated Silica and its Ethylene Polymerization)

  • 이정숙;임진형;고영수
    • 폴리머
    • /
    • 제36권1호
    • /
    • pp.111-116
    • /
    • 2012
  • 메조포러스 물질의 표면을 post-synthesis grafting method를 통해 표면을 기능화시킨 후 $(n-BuCp)_2ZrCl_2$/methylaluminoxane(MAO)를 담지하여 에틸렌 중합을 실시하였다. 아민기와 시안기를 가지는 유기실란 $N$-[(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2NS), 4-(triethoxysilyl)butyronitrile(1NCy), 1-(3-triethoxysilylpropyl)-2-imidazoline(2NIm)는 메조포러스 물질의 표면 기능화에 사용되었다. SBA-15/2NS/$(n-BuCp)_2ZrCl_2$촉매 담지시 MAO의 양이 증가할수록 Zr 함량은 감소하였고 Al 함량은 증가하였다. 에틸렌 중합 활성은 MAO의 양이 증가할수록 급격히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담지시간이 6시간일 때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기실란의 종류에 따른 활성 차이는 SBA-15/2NS/$(n-BuCp)_2ZrCl_2$ > SBA-15/2NIm/$(n-BuCp)_2ZrCl_2$ > SBA-15/1NCy/$(n-BuCp)_2ZrCl_2$ 순으로 감소하였다. 아민기를 두 개 갖는 2NS와 2NIm은 아민기를 하나 갖는 1NCy보다 $(n-BuCp)_2ZrCl_2$와 더 강하게 상호작용을 한다. 따라서 촉매 내 질소와 Zr함량이 증가할수록 활성은 증가하였다.

고속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터보 부호 적응 QAM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Turbo coded Adaptive QAM Systems for High-speed Mobile Multimedia Communications)

  • 백흥현;정연호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16-222
    • /
    • 2004
  • 고속 멀티미디어 전송에 있어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은 정보 전송율 및 BER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고속 전송을 위해 터보 부호기를 적용한 적응 QAM(Adaptive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시스템을 제안한다. 친사용자 환경 시뮬레이션 플랫폼 SPW를 이용하여 터보 적응 QAM 시스템을 개발하여 주파수 선택적 채널 환경에서 수율(throughput) 및 BER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연 확산이 700ns와 1400ns인 두 전력 지연 프로파일을 생성시켜 수율 및 성능을 조사하였는데 지연 확산 700ns인 프로파일에서 적응 변조 시스템이 고정 QAM 변조 시스템보다 평균 0.1231 bits의 수율 향상을 얻을 수 있었고 약 3dB의 BER 성능 개선을 얻을 수 있었다. 지연 확산 1400ns인 경우에서도 적응 변조 시스템이 고정 변조 시스템보다 더 나은 BER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裁培地域에 따른 加工用 감자의 品質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Quality of Processing Potatoes grown at Different Locations)

  • 양성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0-38
    • /
    • 1997
  • 국내의 감자 재배지역(栽培地域)에 알맞은 가공용(加工用) 감자품종(品種) 선납(選拉) 및 재배지역(栽培地域)간 품질성(品質性)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재배지역(栽培地域)별로 유망(有望) 가공용(加工用) 품종(品種) 및 계통(系統)들의 규격서(規格薯)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에 따른 평 균 총서(總薯) 수량(收量)을 보면 대관령(大關嶺) (3,051 Kg/10a), 강릉(江陵(2,863 Kg/10a), 보성(寶城) (2,844Kg/10a)의 순이었으며 평균(平均) 규격서(規格薯) 수량(收量)은 대관령9大關嶺) (2,351 Kg/10a), 강릉(江陵) (2, 278 Kg/10a), 보성(寶性) (2,246Kg/10a)의 순으로 높았다. 품종별(品種別) 수량(收量)은 각지역 모두 Gemehip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식용(食用)으로 사용하기에 유망하였다. 비중(比重)은 대관령(大關嶺)지역이 비교적 높았으며 품종간(品種間)에는 대서(大西)와 NS1이 높았고 Gemchlp은 낮았으며, 클루코스 함량(含量)은 NS1, 대서(大西), NS2, 수미(秀美) 및 Gemchip순으로 낮게 나타났고 chip color 역시 NS1, 대서(大西), NS2, Gemchip 수미(秀美)순으로 밝아 글루코스 함량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제품수율(製品收率)은 각 지역 모두 대서(大닌西), NS1, 수미(秀美), NS2, Gemchip 순(順)으로 나타나 비중(比重)의 순서와 일치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대서(大西)와 NS1 품종(品種)이 칩 가공(加工)용 유망품종(有望品種)으로 판단되었다.

  • PDF

The Fluorescence Behavior of the Responsive Macrocycle by Aromatic Imine Molecules

  • Choi, Chang-Shik;Jeon, Ki-Seok;Lee, Ki-Hwan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11권2호
    • /
    • pp.71-74
    • /
    • 2004
  • The macrocycle L exhibited a switch on-off behavior through the fluorescent responses by aromatic imine molecule 1 (X=H) / trifluoroacetic acid (TFA). In the 'switch on' state, it was supposed that the aromatic imine molecule 1 is in the cavity of macrocycle L and a photoinduced electron transfer (PET) from the nitrogen of azacrown part to the anthryl group is inhibi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omatic imine molecule 1 and the azacrown part of macrocycle L. In the 'switch off' state, it was supposed that the protonated imine molecule 1 is induced by the continuous addition of TFA and a repulsion between the protonated azacrown part and the protonated imine molecule 1 is occurred. It was considered that this process induces the intermolecular PET from the protonated imine molecule 1 to the anthryl group of macrocycle L because of a proximity effect between the anthryl group and the protonated imine molecule 1.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transient emission decay curve, the macrocycle L showed three components (3.45 ns (79.72%), 0.61 ns (14.53%), and 0.10 ns (5.75%). When the imine molecule 1 was added in the macrocycle L as molar ratio=1:1, the first main component showed a little longer lifetime as 3.68 ns (82.75%) although the other two components were similar as 0.64 ns (14.28%) and 0.08 ns (2.96%). On the contrary, when the imine molecule 3 (X=C1) was added in the macrocycle L as molar ratio=l:1, all the three components were decreased such as 3.27 ns (69.83%), 0.44 ns (13.24%), and 0.06 ns (16.93%). The fluorescent pH titration of macrocycle L was carried out from pH=3 to pH=9. The macrocycle L and C $U^{2+}$- macrocycle L complex were intersected at about pH=5, while the E $u^{3+}$ -macrocycle L complex was intersected at about pH=5.5. In addtion, we investigated the fluorescence change of macrocycle L as a function of the substituent constant ($\sigma$$_{p}$$^{o}$) showing in the para-substituent with electron withdrawing groups (X=F, Cl) and electron donating groups (X=C $H_3$, OC $H_3$, N(C $H_3$)$_2$), respectively, as well as non-substituent (X=H).).ctively, as well as non-substituent (X=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