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S-2

검색결과 1,724건 처리시간 0.033초

ns-2 기반 WAVE 멀티채널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작성 및 검증 (Programming and Verification of WAVE Multi-Channel Simulation Program based on the ns-2)

  • 강우성;정진욱;진교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471-1478
    • /
    • 2011
  • WAVE는 IEEE 1609.x 패밀리 표준들과 IEEE 802.11p 표준으로 구성된 차량 에드혹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표준으로 차량 운행시 안전 서비스, 편의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멀티채널 코디네이션과 채널 동기화와 같은 동작들을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 통신 및 네트워킹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ns-2, OPNET, 그리고 OPNET++와 같은 시뮬레이터들을 사용하여 그 성능이 평가되지만, 현재까지 이러한 툴들은 WAVE 프로토콜의 동작들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s-2를 기반으로 하여 WAVE 멀티채널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검증하였다.

아미노실란 표면 처리 조건이 담지메탈로센 촉매의 에틸렌 중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Treatment Condition of Aminosilane on Ethylene Polymerization of Supported Metallocene)

  • 이상연;이정숙;고영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3호
    • /
    • pp.397-400
    • /
    • 2015
  • N-[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2NS)와 $N^1$-(3-trimethoxysilylpropyl)diethylenetriamine (3NS), 3-cyanopropyltriethoxysilane(1NCy)를 실리카 표면에 grafting한 후 미반응된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방법과 표면처리 온도가 촉매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Filtering법을 이용하여 합성된 담지 촉매의 Zr 담지량이 washing법 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나 중합 활성은 washing법으로 합성된 담지 촉매가 filtering법으로 합성된 담지 촉매보다 높았다. 표면처리 방법과 관계없이 $SiO_2/2NS/(n-BuCp)_2ZrCl_2>SiO_2/1NCy/(n-BuCp)_2ZrCl_2>SiO_2/3NS/(n-BuCp)_2ZrCl_2$ 순의 중합활성을 보였다. 아미노실란의 실리카 표면처리 온도가 증가하면 에틸렌 중합활성도 증가하였다.

아미노-기능화된 실리카 위 후전이 금속 촉매 담지 및 이를 이용한 노보넨 중합 (Immobilization of Late Transition Metal Catalyst on the Amino-functionalized Silica and Its Norbornene Polymerization)

  • 파시아 로즈 말디;김소희;이정숙;고영수
    • 공업화학
    • /
    • 제27권3호
    • /
    • pp.313-31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무정형 실리카의 세공 내를 아미노실란인 N-[(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2NS)를 이용하여 표면 기능화한 후 표면 기능화된 실리카에 후전이 금속 촉매인 $(DME)NiBr_2$$PdCl_2$(COD)를 담지하여 노보넨 중합을 실시하였다. 중합 온도와 중합 시간, Al/Ni 몰비, 조촉매 종류를 변화시켜 중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담지되지 않은 촉매($(DME)NiBr_2$, $PdCl_2$(COD))로 노보넨 중합을 수행하였을 경우 중합반응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조촉매로 MAO를 이용하여 중합한 경우 $SiO_2$/2NS/Ni 촉매는 중합 온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은 증가하였고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PNB)의 분자량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SiO_2$/2NS/Pd 촉매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활성과 PNB의 분자량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iO_2$/2NS/Ni 촉매는 $SiO_2$/2NS/Pd 촉매보다 높은 온도에서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촉매 모두 중합 시간이 길어질수록 노보넨의 전환율은 증가하였다. Al/Ni 몰비가 1000 : 1일 때 가장 높은 활성(15.3 kg-PNB/(${\mu}mol-Ni^*hr$))을 보이는 반면 가장 낮은 분자량($M_n$ = 124,000 g/mol)의 PNB를 합성하였다. 또한 조촉매로 Borate/TEAL을 이용하여 중합한 경우 $SiO_2$/2NS/Ni 촉매는 중합 온도가 증가할수록 활성과 분자량이 모두 감소하였다.

裁培地域에 따른 加工用 감자의 品質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Quality of Processing Potatoes grown at Different Locations)

  • 양성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0-38
    • /
    • 1997
  • 국내의 감자 재배지역(栽培地域)에 알맞은 가공용(加工用) 감자품종(品種) 선납(選拉) 및 재배지역(栽培地域)간 품질성(品質性)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재배지역(栽培地域)별로 유망(有望) 가공용(加工用) 품종(品種) 및 계통(系統)들의 규격서(規格薯)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에 따른 평 균 총서(總薯) 수량(收量)을 보면 대관령(大關嶺) (3,051 Kg/10a), 강릉(江陵(2,863 Kg/10a), 보성(寶城) (2,844Kg/10a)의 순이었으며 평균(平均) 규격서(規格薯) 수량(收量)은 대관령9大關嶺) (2,351 Kg/10a), 강릉(江陵) (2, 278 Kg/10a), 보성(寶性) (2,246Kg/10a)의 순으로 높았다. 품종별(品種別) 수량(收量)은 각지역 모두 Gemehip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식용(食用)으로 사용하기에 유망하였다. 비중(比重)은 대관령(大關嶺)지역이 비교적 높았으며 품종간(品種間)에는 대서(大西)와 NS1이 높았고 Gemchlp은 낮았으며, 클루코스 함량(含量)은 NS1, 대서(大西), NS2, 수미(秀美) 및 Gemchip순으로 낮게 나타났고 chip color 역시 NS1, 대서(大西), NS2, Gemchip 수미(秀美)순으로 밝아 글루코스 함량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제품수율(製品收率)은 각 지역 모두 대서(大닌西), NS1, 수미(秀美), NS2, Gemchip 순(順)으로 나타나 비중(比重)의 순서와 일치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대서(大西)와 NS1 품종(品種)이 칩 가공(加工)용 유망품종(有望品種)으로 판단되었다.

  • PDF

NS-2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방법론

  • 박성현;이승형
    • 정보와 통신
    • /
    • 제24권7호
    • /
    • pp.79-88
    • /
    • 2007
  • 본고에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인 NS-2(Network Simulator-2)에 대하여 알아본다. NS-2는 네트워킹의 성능분석을 목적으로 개발된 이벤트 기반(event-driven)의 시뮬레이터이다. 이 시뮬레이터의 적용 범위는 유선 네트워크의 경우 TCP/IP 프로토콜 패밀리와 각종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며, 무선 네트워크에 경우에는 Ad Hoc 네트워크, WLAN, Mobile-IP와 Cellular network 등의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GUI가 부족하고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공개된 소스와 두터운 이용자층에 힘입어 널리 사용되는 NS-2의 개요 및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Implications of PSR J0737-3039B for the Galactic NS-NS Binary Merger Rate

  • Kim, Chunglee;Perera, Benetge Bhakthi Pranama;McLaughlin, Maura A.
    • 천문학회보
    • /
    • 제40권1호
    • /
    • pp.88.4-89
    • /
    • 2015
  • The Double Pulsar (PSR J0737-3039) is the only neutron star-neutron star (NS-NS) binary in which both NSs have been detectable as radio pulsars. The Double Pulsar has been assumed to dominate the Galactic NS-NS binary merger rate $R_g$ among all known systems, solely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first-born, recycled pulsar (PSR J0737-3039A, or A) with an assumption for the beaming correction factor of 6. In this work, we carefully correct observational biases for the second-born, non-recycled pulsar (PSR J0737-0737B, or B) and estimate the contribution from the Double Pulsar on $R_g$ using constraints available from both A and B. Observational constraints from the B pulsar favour a small beaming correction factor for A (~2), which is consistent with a bipolar model. Considering known NS-NS binaries with the best observational constraints, including both A and B, we obtain $R_g=21_{-14}{^+28}$ per Myr at 95 per cent confidence from our reference model. We expect the detection rate of gravitational waves from NS-NS inspirals for the advanced ground-based gravitational-wave detectors is to be $8_{-5}{^+10}$ per yr at 95 per cent confidence. We discuss prospects of gravitational-wave detection based on our results. Implications of PSR J1906+0746, which is likely to be another tight NS-NS binary in the Galactic disc supported by recent observation, are also remarked.

  • PDF

Effect of Morphology and Dispersibility of Silica Nanoparticles on the Mechanical Behaviour of Cement Mortar

  • Singh, Lok Pratap;Goel, Anjali;Bhattachharyya, Sriman Kumar;Ahalawat, Saurabh;Sharma, Usha;Mishra, Geetik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9권2호
    • /
    • pp.207-217
    • /
    • 2015
  • The influence of powdered and colloidal nano-silica (N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ement mortar has been investigated. Powdered-NS (~40 nm) was synthesized by employing the sol-gel method and compar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colloidal NS (~20 nm). SEM and XRD studies revealed that the powdered-NS is non-agglomerated and amorphous, while colloidal-NS is agglomerated in nature. Further, these nanoparticles were incorporated into cement mortar for evaluating compressive strength, gel/space ratio, portlandite quantification, C-S-H quantification and chloride diffusion. Approximately, 27 and 37 % enhancement in compressive strength was observed using colloidal and powdered-NS, respectively, whereas the same was up to 19 % only when silica fume was used. Gel/space ratio was also determined on the basis of degree of hydration of cement mortar and it increases linearly with the compressive strength. Furthermore, DTG results revealed that lime consumption capacity of powdered-N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lloidal-NS, which results in the formation of additional calcium-silicate-hydrate (C-S-H). Chloride penetration studies revealed that the powdered-NS significantly reduces the ingress of chloride ion as the microstructure is considerably improved by incorporating into cement mortar.

제설제 종류에 따른 제설성능 평가 (Deicing Performance with Deicer Types)

  • 이병덕;이찬영;윤병성;이주광;정영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7권2호
    • /
    • pp.371-374
    • /
    • 2005
  • In this study, calcium chloride($CaCl_2$), sodium chloride (NaCl), organic acids-containing deicer(NS 40, NS 100), mixed deicier($NaCl\;70\%\;+\;CaCl_{2}\;30\%,\;NS\;40\;70\%\;+\;CaCl_{2}\;30\%,\;NaCl\;70\%\;+\;NS\;40\;30\%,\;NS\;40\;70\%\;+\;NaCl\;30\%$) is investigated based on the laboratory test for deicing performance. Test items for deicing performance were ice melting and ice penetration, freezing point depressions and eutectic points, pH, thermal properties for selected deicing chemicals. As a test results, in case of the use chloride-containing deicier in area that concrete structures has subjected to freez-thaw reaction in winter season, it showed desirable method that use deicing chemicals mixed with optimum ratio rather than use one deicing chemicals when is consider to deicing performance and effects, corrosion of steel materials, freez-thaw resistance of concrete. When use various deicing chemicals mixed, NS40($70\%$)+Calcium chloride($30\%$) showed the best effective method.

  • PDF

제설제가 콘크리트 및 강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icer on the Concrete and Steel)

  • 이병덕;윤병성;이찬영;정영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7권2호
    • /
    • pp.375-378
    • /
    • 2005
  • In this study, calcium chloride($CaCl_2$), sodium chloride (NaCl), organic acids-containing deicer(NS 40, NS 100), mixed deicier($NaCl\;70\%\;+\;CaCl_{2}\;30\%,\;NS\;40\;70\%\;+\;CaCl_{2}\;30\%,\;NaCl\;70\%\;+\;NS\;40\;30\%,\;NS\;40\;70\%\;+\;NaCl\;30\%$) is investigated based on the laboratory test for freez-thaw resistance of concrete and corrosion of metal. As a test results, in case of the use chloride-containing deicier in area that concrete structures has subjected to freez-thaw reaction in winter season, it showed desirable method that use deicing chemicals mixed with optimum ratio rather than use one deicing chemicals when is consider to deicing performance and effects, corrosion of steel materials, freez-thaw resistance of concrete. When use various deicing chemicals mixed, NS40($70\%$)+Calcium chloride($30\%$) showed the best effective method.

  • PDF

제설제 종류에 따른 융빙성능 및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Deicing Performance and Concrete Structure Effect with Various Deicing Chemicals)

  • 이병덕;윤병성;이주광;정영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113-12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염화물계 제설제인 염화칼슘$(CaCl_2)$ 및 염화나트륨(NaCl)과 비염화물계 제설제(NS 100) 초산화합물 함유 염화물 제설제(NS 40), 그리고 이들 제설제를 중량대비 일정비율로 혼합$(NaCl\;70%+CaCl_2\;30%,\;NS\;40\;70%+CaCl_2\;30%,\;NaCl\;70%+NS\;40\;30%,\;NS\;40\;70%+NaCl\;30%)$하였을 때 제설성 능과 특성,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성 및 강재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내시험을 통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동절기 구조물이 동해를 받을 수 있는 지역에서 염화물계 제설제를 사용할 경우 제설성능 및 효과, 강재의 부식성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성 및 스켈링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때 하나의 제석제를 사용하기 보다는 두가지 제설제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혼합 사용시에는 제설성능 강재 및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때 NS40(70%)+염화칼슘(30%)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