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QF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미용계열학과 국가역량체계(NQF) 현황분석과 개선방안 (An Analysis and Reformation of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 in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 이성희;안경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511-4519
    • /
    • 2015
  • 국내 미용계열학과 국가자격체계(NQF)의 개선안 마련을 위해 해외 국가별 자격체계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미용계열학과 국가자격체계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국 내외 자격수준체계는 Level 8을 도입 또는 시행, 수정 중에 있다. 미용계열의 자격체계 개선을 위해 고등학교부터 석 박사과정까지 미용계열 학과의 각 교육과정에 준하는 자격증과 자격명칭의 개발과 더불어 미용계열에는 없는 산업기사 및 피부 네일 메이크업과정을 위한 기능장 자격증이 신설되어야 한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를 통해 미용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자격을 취득하여 능력이 존중받는 현장중심 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하였다.

'NCS'의 '미용사(피부)교육훈련과정'이 '전문성' 및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for 'beautician(skin)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suggested by 'NCS' on profession and practice suitability)

  • 김혜련;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512-352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학벌중심사회'에서 '능력중심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의 결과물인 'NCS'가 제시한 '미용사(피부)교육훈련과정'이 실제 피부미용사의 전문성과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위생관련 교과목과 기초직업능력을 제외한 3가지 요인은 실무능력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직업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4가지 요인들은 '전문성'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생관련 교과목이 고객의 건강과 관련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전문성과 관련된 개념으로 이해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위생관련 교과목에 대하여 전문성이 아닌 당연한 실무능력으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기초직업능력은 단시간 내에 습득하기 힘들고 전문지식과 합쳐질 때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능력들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기초직업능력의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정부가 'NQF'구축을 발표한 현 시점에서 그 기반이 되는 'NCS'에 대한 중간 점검이 필요한 시기이나, 학계 및 정부 차원의 이러한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NQF'구축시에 공통직업능력, 피부관련교과목, 네일관련 교과목은 능력중심의 인재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으로 판단되나, 위생관련 교과목과 기초직업능력 교과목은 능력중심 인재양성을 위해서 교과과정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안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환자중심 건강결과 측정의 국제 동향과 국내 시사점 - OECD PaRIS를 중심으로 (International Trends on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for Improving Care Quality and Its Implication for South Korea: Focus on OECD PaRIS)

  • 최지숙;박영신;김지애;박춘선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8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implication on the adoption of PROMs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to improve quality of care in South Korea. With this purpose, the paper examines the status of PROMs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OECD's PaRIS (Patient Reported Indicators Survey) initiative, and reviews policy cases that have adopted PROMs to improve performance of healthcare system. Methods: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on OECD reports on PaRIS, peer-reviewed journals, and information from the websites of relevant institutions such as ICHOM, NQF and OECD. Results: To identify healthcare services of best values and support patient-centered health system, OECD has initiated PaRIS which develops, collects and analyzes patient-reported indicators for cross-countries comparison. PaRIS is implemented on two work streams: 1) collect, validate and standardize PROMs in the areas where patient-reported indicators already exist such as breast cancers, hip and knee replacement, and mental conditions, 2) develop a new international survey on multiple chronic conditions. Countries like England, U.S., Sweden and Netherlands use PROMs for measuring performance of hospitals and performance evaluation at the national level, and provide the financial incentives for reporting PROMs. Conclusions: The use of PROMs can support the current policy agenda that is the patient-centered healthcare system which has been emphasized to reinforce the primary and the community-based care. For the use of PROMs, it is recommend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PaRIS initiative by OECD, select appropriate instruments for PROMs, and continue on standardization of them. This will assure patients' involvement in improving health system performance, systemiz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dopting PROMs, and develop a system to evaluate performance.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근거한 조경분야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 - 갭분석을 중심으로 - (A Methodology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Focused on Methodology for Gap Analysis -)

  • 변재상;안성로;신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0-53
    • /
    • 2015
  • 산업현장의 변화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2001년에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와 국가자격체제(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s, 이하 NQF)의 도입이 결정되었다. 건설분야 내 조경 역시 2008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조경"이 시범 개발되어 2009년부터 3년간 시범운영되었다. 특히 2013년 출범한 박근혜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로 '학벌이 아닌 능력 중심의 사회 구현'이 채택되면서,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NCS 체제 구축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점이다. 그러나 국가에서 개발한 NCS의 경우, 이상적인 직무수행능력을 명시하였기 때문에 각 대학의 학생수준의 차이, 기자재와 교수들의 확보문제, 현행교육과정의 시수 문제 등 실질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을 반영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현실적인 교육과정에 연착륙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교육과정과 NCS와의 차이 즉 갭(gap)을 명확히 분석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갭분석은 기존의 교육과정을 NCS 기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기 위한 초기 단계의 방법론으로 NCS 능력단위별 능력단위요소와 수행준거를 기준으로 학과 내 기존 교육과정과의 괴리도 혹은 일치 정도를 1에서 5까지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기입한 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처럼 현재의 대학 내 교육과정과 NCS와의 일치 및 괴리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향후 NCS 운영을 희망하는 대학에서는 NCS의 적용 가능성과 개발 운영 이후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초 도구를 확보할 수 있다. 갭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편의 장점으로는 첫째,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정성적인 학과별 NCS 도입률에 대한 정량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 시 부족한 혹은 포화상태인 부분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공해 준다. 즉, 해당 NCS 세분류 도입 시 부족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기존 과목별 능력단위요소별로 보완 사항도 추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한 상세 강의계획서 및 기초 교과목 개설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장점이 있다. 다만, 현재까지 개발된 갭분석의 이론을 보완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정비해야 하는 과제는 남아 있다. 교육부, 고용노동부는 산업현장의 요구를 교육훈련 및 자격에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관련 산업계 인사들이 모여 실무적인 차원에서 NCS 표준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하여야 하며, NCS 적용을 희망하는 대학에서는 일과 자격이 연계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NCS 기반으로 개편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는 관련 산업 전망 및 대학 내 교수자원과 지역 산업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NCS 세분류를 명확히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후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을 위해 갭분석을 사용하여 개편의 방향과 기준을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수립하여 교육과정명세서에 대한 명확한 논리적 근거를 확보하고 있어야 과정이수형 자격제도에 효율적으로 동참할 수 있을 것이다.

스코틀랜드와 호주의 NCS기반 직무능력평가자(Competency Assessor) 자격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Qualification System of Competency Assessor in Australia and Scotland)

  • 이정표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223-245
    • /
    • 2017
  • 이 연구는 호주와 스코틀랜드의 NCS기반 직무능력평가자의 양성제도를 비교 분석하고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직무능력평가의 특징과 평가자의 역할을 살펴보고, 호주와 스코틀랜드의 직무능력평가자 자격과정 및 질관리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국의 특징을 비교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호주와 스코틀랜드는 공통적으로 직무능력평가자 자격과정을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교육훈련과정을 통해 개발 시행하고 있다. 해당 교육훈련과정의 질 관리를 위해 해당 교육훈련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교육훈련기관 및 과정에 대한 사전평가인증을 실시한다. 또한 자격과정을 운영하는 교육훈련기관에서는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평가자를 확보하고, 평가자의 계속경력개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교육훈련과정을 도입 운영하고 있으며, 직무능력평가자 자격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호주와 스코틀랜드의 평가자 자격제도는 향후 우리나라에 직무능력평가자 자격제도의 설계 및 운영은 물론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훈련과정의 질 관리 및 성과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 및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