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2

검색결과 74,323건 처리시간 0.079초

소금과 아질산염 처리수준에 따른 건염햄의 이화학적 특성 (The Effects of Salt and $NaNO_2$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y-cured Ham)

  • 성필남;김진형;조수현;이창현;강동우;하경희;임동균;박범영;김동훈;이종문;안종남
    • 육가공
    • /
    • 통권36호여름호
    • /
    • pp.61-71
    • /
    • 2009
  • 자연환경에서 건염햄 제조 시 소금 처리수준과 아질산염 처리 유무가 뒷다리 중량감소, 제품의 일반성분, 화학적 특성 및 조직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HS(뒤다리 kg당 9.2 g 소금 처리), HS+NaNO2(뒷다리 kg당 9.2 g소금+100 ppm 아질산염 처리), LS(뒷다리 kg당 6.2 g 소금 처리), LS+NaNO2(뒷다리 kg당 6.2g 소금+100 ppm 아질산염 처리) 등 4개 처리구에 뒷다리 3개씩을 배치하여 조사하였다. 소금처리 수준과 아질산염 첨가 유무는 전체 중량감소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p>0.05) 제조과정 중 중량감소는 건조기간 동안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27.46%, 28.25%, 26.99%, 28.42%) 자연환경에서 제조된 건염햄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저염처리구(LS)가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2)와 아질산염을 처리한 저염처리구(LS+NaNO2) 보다 수분 함량이 높았다. 지방함량, 단백질 함량, 회분 함량은 소금처리수준과 아질산염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경도(hardness)와 씹힘성(Chewiness)은 저염처리구(LS)에서 가장 낮았으며, 아질산염 처리는 건염햄의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염처리구(LS) 건염행 대퇴두갈래근의 수분활성도는 고염처리구(HS)와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2) 보다 높았으며, 염도는 아질산염을 처리한 저염구(LS+NaNO2)가 고염처리구(HS)와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2) 보다 낮았다. 아질산염 잔존량은 아질산염 처리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육색 명도(L)와 적색도(a), 색도($h^{\circ}$)는 소금 처리 수준과 아질산염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황색도(b)와 채도(chroma)는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2)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소금과 아질산염 처리수준에 따른 건염햄의 이화학적 특성 (The Effects of Salt and NaNO2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y-cured Ham)

  • 성필남;김진형;조수현;이창현;강동우;하경희;임동균;박범영;김동훈;이종문;안종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93-498
    • /
    • 2008
  • 자연환경에서 건염햄 제조 시 소금 처리수준과 아질산염 처리 유무가 뒷다리 중량감소, 제품의 일반성분, 화학적 특성 및 조직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HS(뒷다리 kg당 9.2g소금 처리), HS+$NaNO_2$ (뒷다리 kg당 9.2g 소금+100 ppm 아질산염 처리), LS(뒷다리 kg당 6.2g 소금 처리), LS+$NaNO_2$(뒷다리 kg당 6.2g 소금+1100 ppm 아질산염 처리) 등 4개 처리구에 뒷다리 3개씩을 배치하여 조사하였다. 소금처리 수준과 아질산염첨가 유무는 전체 중량감소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p>0.05), 제조과정 중 중량감소는 건조기간 동안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27.46%, 28.25%, 26.99%, 28.42%). 자연환경에서 제조된 건염햄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저염처리구(LS)가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_2$)와 아질산염을 처리한 저염처리구(LS+$NaNO_2$) 보다 수분함량이 높았다. 지방함량, 단백질 함량, 회분 함량은 소금처리 수준과 아질산염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경도(hardness)와 씹힘성(Chewiness)은 저염처리구(LS)에서 가장 낮았으며, 아질산염 처리는 건염햄의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염처리구(LS) 건염햄 대퇴두갈래근의 수분활성도는 고염처리구(HS)와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_2$) 보다 높았으며, 염도는 아질산염을 처리한 저염구(LS+$NaNO_2$)가 고염처리구(HS)와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_2$) 보다 낮았다. 아질산염 잔존량은 아질산염 처리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육색 명도(L)와 적색도(a), 색도($h^{\circ}$)는 소금처리 수준과 아질산염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황색도(b)와 채도(chroma)는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_2$)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시간행동 행태을 이용한 영업용 운전자들의 이산화질소 개인 노출량 예측 (Estimation of Exposure to Nitrogen Dioxide in Professional Drivers Using Time Activity Pattern)

  • 방용남;손부순;양원호;박종안;장봉기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0-26
    • /
    • 2001
  • personal nitrogen dioxide(NO$_2$) exposures for 31 professional drivers were measured using passive sampler and time activity diary in Asan and Chunan area, and were estimated using time-weighted average model. Mean concentrations of driver’s indoor and outdoor were 24.7$\pm$10.7 ppb and 23.3$\pm$8.3 ppb, respectively with indoor/outdoor of 1.1. Mean personal NO$_2$ exposure was 30.3$\pm$9.7 ppb. Personal NO$_2$ exposure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indoor car NO$_2$ levels ($R^2$=0.80) rather than residential indoor NO$_2$ level ($R^2$=0.55). and outdoor NO$_2$ level ($R^2$=0.50). The driver’s NO$_2$ exposure using LP-gas with 24.4$\pm$8.0 ppb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ose using diesel with 36.3$\pm$14.1 ppb(p<0.01). The effect of driver’s smoking for personal NO$_2$ exposure was not fou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main NO$_2$in driver is transportation. Since drivers mostly spent their times in indoor and inside car, time-weighted average model could be used to estimated personal NO$_2$ exposure using time activity diary, Though we did not measure all microenvironments, the estimated personal NO$_2$ exposures with 26.9$\pm$10.2 ppb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measured personal NO $_2$ exposures30.3$\pm$9.7 ppb ($R^2$=0.89).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personal NO$_2$ exposure using Mote-Carlo simulation were 26.6$\pm$7.2 ppb.

  • PDF

레이져 유기형광법을 이용한 펄스 배리어 방전 공간에서의 NO분자에 대한 시·공간적 밀도변화 측정 (A Spatio-Temporal Density Measurement of NO Molecules in Pulsed Barrier Discharge Using Laser Induced Fluorescence)

  • 한상보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60-168
    • /
    • 2010
  • 본 논문은 대기압 펄스 배리어 방전을 이용하여 NO 가스를 무해한 물질로 환원시키기 위하여 방전공간에서의 NO 분자의 생성 및 제거과정에 대하여 레이져 유기형광법을 이용하여 시 공간적인 밀도변화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사용된 펄스 배리어 방전리액터는 진전속도가 $2.7{\times}10^6$[m/s] 인 1차 스트리머가 음극표면에 도착한 이후에 2차 스트리머가 양극 부근에 발생되었다. 그리고, 펄스 레이져에 의하여 NO 분자만을 효율적으로 상위준위로 여기시키기 위하여 Nd:Yag 및 염료 레이져를 복합하여 226[nm]의 자외광을 방전공간으로 도입하였으며, NO 분자만을 $A^2{\Sigma}^+{\leftarrow}X^2{\prod}$(0,0)으로 여기시키고, 여기된 분자들이 낮은 준위 $A^2{\Sigma}^+{\rightarrow}X^2{\prod}$(0,2), (0,3)로 복귀됨에 따라 방출되는 주요한 형광신호를 측정하였다. NO 분자의 시 공간적 변화 측정결과로부터 NO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산소농도를 가능한 2 [%]이하로 낮추고, 2차 스트리머 진전에 의해서 충분하게 방전공간에서 NO 환원반응을 유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펄스코로나 방전에서 프로핀($C_3H_6$)이 NO-$NO_2$ 변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Propene($C_3H_6$) ON NO-$NO_2$ Conversion Process in a Pulsed Corona Discharge)

  • 박광서;전배혁;전광민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67-77
    • /
    • 2000
  • Investigated was the effect of propene(C3H6) on the NO-NO2 conversion in dry exhaust gases from lean burn engine using a pulsed corona discharge. A kinetic model was developed to characterize the plasma chemistry in simulated exhausts containing propene. The model uses ELENDIF program to solve Boltzmann equation for electron energy distribution function, and CHEMKIN-II program to solve stiff ODE(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 problems for species concentrations. The corona discharge energy per pulse and the time-space averaged E/N were obtained by fitting the model to experimental data. The model calculation shows good agreement for NO and NO2 concentrations with the experimental data, and predicts the formation of byproducts such as CH2O, CH3HCO, CO AND CH3NO2 Propene enhances the NOx conversion enormously at lower energy density and the NOx conversion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initial propene and oxygen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 PDF

마우스의 공간인 지능에 대한 홍삼의 효과 (Effects of Red Ginseng on Spatial Memory of Mice in Morris Water Maze)

  • 진승하;남기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39-148
    • /
    • 199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d ginseng total saponin and extract on spatial working memory in mice using Morris water maze. Two kinds of red ginseng saponin (No. 1 and No. 2) and three kinds of red ginseng extract (No. 1, No. 2 and No. 3) to have different PD/ PT ratio (No. 1=1.24, No.2=1.47 No.3=2.41) were prepared by mixing the different parts of red ginseng In different ratio. In acute administration of total saponin No. 1 or No. 2, escape time to reach to a hidden platform In a fixed location for training tria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swimming time in the quadrant that had contained the platform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acute treatment of extract No. 1 or 1 No. 2, swimming time in the platformless quadrant was increased dose dependently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specially at dose of 200 mg/kg,bw swimming tim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ral treatment of extract No. 1 (100 mg/kg, bw) for 7 days produced an increase of swimming time In the platformless quadrant but a decrease of swimming time in No.3-treated group (100 mg/kg, bw). These results show that red ginseng may improve spatial discrimination learning and spatial working memory of mice

  • PDF

저온 플라즈마와 광촉매에 의한 NO/SO2 제거 (Removal of NO/SO2 by the low temperature plasmas and photocatalysts)

  • 김동주;김교선
    • 산업기술연구
    • /
    • 제26권A호
    • /
    • pp.181-188
    • /
    • 2006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several process variables o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NO and $SO_2$ by th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rocess combined with photocatalysts. The $TiO_2$ photocatalysts were coated onto the spherical-shaped glass beads as dielectric materials by the dip-coating method to analyze the effects of photodegradation reaction on the NO and $SO_2$ removal. As the voltage applied to the plasma reactor increases, or as the pulse frequency of applied voltage increases, the NO and $SO_2$ removal efficiencies increase. Also as the residence time increases, or as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NO decreases, the NO and $SO_2$ removal efficiencies increase. The higher the amount of $TiO_2$ particles coated onto the glass bead is, the larger the surface area of $TiO_2$ particles for the photodegradation reaction is and the NO and $SO_2$ are removed more quickly by the faster photodegradation reactions.

  • PDF

NFT재배에서 $\textrm{CO}_2$ 시용과 배양액의 $\textrm{NO}_3$:$\textrm{NH}_4$비율이 결구상추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xtrm{NO}_3$-N:$\textrm{NH}_4$-N Ratio and Elevated $\textrm{CO}_2$ on Growth and Quality of Lactuca sativa L. in Nutrient Film Technique)

  • 원선이;조영렬;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0-130
    • /
    • 1996
  • 본 실험은 NFT재배에서 배양액내 NO$_3$-N과 NH$_4$-N의 비율과 $CO_2$ 시용이 결구상추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양액의 pH와 EC를 보정하지 않았을 경우, NO$_3$-N:NH$_4$-N이 100:0인 구에서의 pH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NH$_4$-N의 비율이 높을수록 급격히 저하하여 pH4.0까지 낮아졌다. 2. 배양액을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NO$_3$-N 및 NH$_4$-N의 일 변화를 측정하여 본 결과, NO$_3$-N의 흡수율은 NO$_3$-N:NH$_4$-N이 75:25, 50:50 처리구에서 각각 27.7%, 26.1% 였으나 NH$_4$-N의 흡수율은 87.9%, 71.2%로 결구상추는 NH$_4$-N을 우선적으로 흡수하였다. 3. 엽내 무기성분 함량에서 T-N는 NO$_3$-N과 NH$_4$-N 비율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_2$O$_{5}$, $K_2$O, CaO, MgO는 생육이 가장 좋았던 $CO_2$ 1500ppm 시용과 NO$_3$-N:NH$_4$-N이 100:0에서 높게 나타났다. 4. $CO_2$ 시용에 의한 각 처리별 $CO_2$ 동화율도 수량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CO_2$ 1500ppm 시용과 NO$_3$-N:NH$_4$-N이 100:0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배양액의 NH$_4$-N비율이 높아질수록 현저히 떨어졌다. 5. 결구상추의 생육은 $CO_2$ 1500ppm 시용과 NO$_3$-N:NH$_4$-N이 100:0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CO_2$ 무처리구에 비하여 $CO_2$ 1500ppm 처리구에서 대체로 양호하였으나, NO$_3$-N:NH$_4$-N이 75:25, 50:50인 처리에서는 $CO_2$ 시용에 의한 수량의 증가가 경미하여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엽중 nitrate함량은 배양액의 NO$_3$-N함량과 비례하여 NO$_3$-N:NH$_4$-N 이 100:0에서 가장 높았고, vitamin C 함량은 NO$_3$-N:NH$_4$-N이 100:0인 처리에서 가장 낮고, NH$_4$-N의 비율이 많을수록 높아졌다. $CO_2$ 시용에 의하여 엽중 질산염함량은 경감할 수는 있었으나 그 효과는 경미하였다.다.

  • PDF

바나듐 계열 촉매를 통한 NOx의 NH3-SCR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NH3-SCR of NOx over a Vanadium-based Catlayst)

  • 정희찬;심성민;김영득;정수진;김우승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0-27
    • /
    • 2012
  • The $NH_3$-SCR characteristics of $NO_X$ over a V-based catalyst are experimentally examined over a wide range of operating conditions, i.e., $170-590^{\circ}C$ and $30,000-50,000h^{-1}$, with a simulated diesel exhaust containing $NH_3$, NO, $NO_2$, $O_2$, $H_2O$, and $N_2$. The influences of the space velocity and oxygen concentration on the standard-SCR reaction are analyzed, and it is shown that the low space velocity and high oxygen concentration promote the SCR activity by ammonia. The best $deNO_X$ efficiency is obtained with a $NO_2/NO_X$ ratio of 0.5 because of an enhanced chemical activity induced by the fast-SCR reaction, while at the $NO_2/NO_X$ ratios above 0.5 the $deNO_x$ activity decreases due to the slow-SCR reaction. The oxidation of ammonia begins to take place at about $300^{\circ}C$ and the reaction products, such as $N_2$, NO, $NO_2$, $N_2O$, and $H_2O$, are produced by the undesirable oxidation reactions of ammonia, particularly at high temperatures above $450^{\circ}C$. Also, $NO_2$ decomposes to NO and $O_2$ at temperatures above $240^{\circ}C$. Therefore, $NO_2$ decomposition and ammonia oxidation reactions deteriorate significantly the SCR catalytic activity at high temperatures.

Plasma반응에 의한 NOx와 Ozone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NOx and Ozone by Plasma Reaction)

  • 최재욱;산외서수;최재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
    • /
    • 2000
  • 가스중에 포함되어 있는 NOx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침상전극을 취부한 플라즈마 반응기를 제작하여 장치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여 유효성을 검정하였다. 반응가스는 $NO/N_2$ 혼합가스와 $N_2/O_2$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초기 NO농도를 설정하고, 유속을 2${\iota}$/min으로 공급하였다. NOx의 반응특성은 방전주입전력이 높을때는 NO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산소의 농도 증가시에 NO의 분해가 용이하고 NO의 분해에너지 효율이 높았다. 또한 NO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NO의 분해에너지 효율은 높으나 분해율은 낮았다. 오존의 특성은 방전주입전력이 높을수록 오존의 생성이 증가하고, $NO/N_2$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오존의 생성량이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