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F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초

벼 뿌리 부근에 서식하는 질소고정미생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Nitrogen-Fixing Microorganisms in Rice Rhizosphere)

  • 정건섭;민태익;변유량;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1-255
    • /
    • 1985
  • 국내 논의 흙으로부터 벼과식물에 관련된 질소 고정 미생물을 238주 분리하여 비교적 활성이 높은 4주의 질소고정활성 미생물을 선별하여 이중 3주는 K. pneumoniae, 1주는 E. agglomerans로 동정하였다. NFB3, NFB264, NFB278의 3주는 1.7-84Mdal. 의 plasmid들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들 plasmid에 질소고정유전자 단편을 함유하고 있지는 않았다. 선별미생물의 chromosomal DNA상에 존지하는 질소고정 유전자는 K. pneumoniae M5al의 질소고정유전자와 homology를 나타냈으며, 이들의 질소고정유전자는 K. pneumoniae M5al의 질소고정유전자와 제한효소 절단부위가 상이하였다.

  • PDF

E. coli pRDI에서의 DAP-영양요구성 변이주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tion of DAP-Auxotrophs from E. coli pRDI)

  • 이호자
    • 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5-269
    • /
    • 1984
  • E. coli $P^{RDI}$에서 DAP-영양요구성 변이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변이주가 갖고 있는 plasmid의 안정성과 활성도를 확인하는 살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utagen인 NG를 처리 후 DAP-변이주를 보다 쉽게 분리하기 위하여 항생제처리를 하였다. 이때 사용균주가 갖고 있는 plasmid내의 내성인자들 중에 carbr인자로 인하여 같은 계열에 있는 penicillin유도체들에 대해서는 교차내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냐 penicillin과 같은 기능을 갖고 있으나 그 구조가 다른 cephalexin, cycloserine에 대해서는 교차 내성을 잘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항생제처리로서는 cephalexin을 사용하였다. 2. 세균 접합을 통하여 DAP-균주의 특성을 동정하였다. 즉 nif-gene의 안정성과 활성도는 DAP-균주로 부터 plasmid를 전이반은 전이체에서 6-cyanopurine첨가로 확인하였다.

  • PDF

Backbone 1H, 15N, and 13C resonance assignments and secondary structure prediction of NifU-like protein, HP1492 from Helicobacter Pylori

  • Lee, Ki-Young;Kang, Su-Jin;Bae, Ye-Ji;Lee, Kyu-Yeon;Kim, Ji-Hun;Lee, Ingyun;Lee, Bong-Jin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05-110
    • /
    • 2013
  • HP1492 is a NifU-like protein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and plays a role as a scaffold which transfer Fe-S cluster to Fe-S proteins like Ferredoxin. To understand how to bind to iron ion or iron-sulfur cluster, HP1492 was expressed and purified in Escherichia coli (E. coli). From the NMR measurement, we could carry out the sequence specific backbone resonance assignment of HP1492. Approximately 91% of all resonances could be assigned unambiguously. By analyzing results of CSI and TALOS from NMR data, we could predict the secondary structure of HP1492, which consists of three ${\alpha}$-helices and three ${\beta}$-sheets. This study is an essential step towards the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HP1492.

소프트콘택트렌즈 재질에 따른 눈물막 파괴시간과 고위수차의 비교 (Comparison of tear film break-up time and high order aberration according to soft contact lens material)

  • 김봉환;한선희;김학준;배상아;손유진;김지현;김현지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32-1237
    • /
    • 2019
  • Purpose. In this study, two types of soft contact lenses with different materials were selected to compare the time of tear film destruction and high order aberrations before and after wearing. Methods. Thirty patients (60 eyes) in their 20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wo lenses with different materials, Group 4 (Etafilcon A) and Group 5 (Narafilcon A) were selected. Using aberration analyzer and keratometry, high-order aberration and tear film test (NIF-BUT, NIAvg-BUT)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wearing. Results. When comparing the higher aberrations of the Etafilcon A and Narafilcon A lenses, the higher aberrations of the Narafilcon A lens were higher overall. For the initial tear film break-up time (NIF-BUT) after wearing, the Etafilcon A lens was reduced by 4.0 seconds and the Narafilcon A lens increased by 0.6 seconds. For the mean tear film break-up time (NIAvg-BUT) after wearing, the Etafilcon A lens decreased by 2.4 seconds and the Narafilcon A lens increased by 1.7 seconds. Conclusions. NIF-BUT and NIAvg-BUT of Narafilcon A lens were increased. The lens with relatively low water content and higher oxygen permeability than the lens with high water content has relatively less tear evaporation, which means that the time of destruction of the tear film is increased.

우리나라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제(諸) 특성(特性) 연구(硏究) -I. 영남지역(嶺南地域) 토착(土着)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접종효과(接種效果)와 취락형태적(聚落形態的) 분포특성(分布特性)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Rhizobium to Korean Soils -I. Symbiotic Potentials of Bradyrhizobium japonicum Populations and Their Colon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Yeongnam Soils)

  • 강위금;;정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0-66
    • /
    • 1990
  • 영남지역(嶺南地域)의 수종(數種) 토양통(土壤統)에서 경작여부(耕作與否)에 따른 토착(土着)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분포특성(分布特性)을 구명(究明)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양통(土壤統)이 서로 다른 5개(個) 지점(地點)의 경작지(耕作地)와 미경작지(未耕作地) 토양(土壤)의 대두(大豆) 접종효과(接種效果)(Soil inoculum potential)와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취락형태적(聚落形態的) 분포특성(分布特性)을 조사(調査)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한 토착(土着)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밀도(密度)는 경작지(耕作地)의 경우 $10^4Cells/g$. soil 이상(以上)이었으나 미경작지(未耕作地)에서는 경미(輕微)하였다. 2. 경작지(耕作地) 토양(土壤)의 대두(大豆) 접종효과(接種效果)(Soil inoculum potential)는 NifTAL의 우수근류근(優秀根瘤菌) 접종제(接種劑) TAL 보다 좋았고,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 특성면(特性面)에서 근류(根瘤) 무게가 근류수(根瘤數)를 보상(報償)하였다. 3. 토착(土着)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취락형태별(聚落形態別) 분포(分布)는 경작여부(耕作與否)에 따라 상이(相異)하였는데, "Dry"형(形) 기경지(旣耕地)에서, "Wet"형(形)은 미경작지(未耕作地)에서 각각(各各) 우점경향(優占傾向)을 보였다. 4. 토착(土着)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취락형태별(聚落形態別) 공생효과(共生效果)는 "Dry"형(形)이 "Wet"형(形)보다 좋았다. 따라서 숙전(熟田)에서의 대두생육(大豆生育)은 "Dry"형(形) 토착(土着)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밀도(密度)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을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