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H3

검색결과 5,016건 처리시간 0.039초

중질소(重窒素)를 이용(利用)한 진흥(振興)과 통일(統一)벼의 암모니움, 질산(窒酸) 및 요소태(尿素態) 질소(窒素)의 흡수특성(吸收特性) 연구(硏究) (Studies on absorption of ammonium, nitrate-and urea-N by Jinheung and Tongil rice using labelled nitrogen)

  • 박훈;석순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25-233
    • /
    • 1978
  • 통일(統一)과 진흥(振興)을 urea, $NH_4$, $NO{_3}^-N$ 별(別) 수경액(水耕液)에 재배(栽培)하여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중질소(重窒素)를 사용(使用) 각형태별(各形態別) 흡수속도(吸收速度) 및 체내(體內) 분포(分布)(2시간(時間))를 몇개 요인별(要因別)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질소전력(窒素前歷)이 공급질소(供給窒素)와 같은 경우 두품종(品種) 모두 $NH_4$ >urea> $NO_3$의 순(順)으로 흡수속도(吸收速度)가 크며 언제나 통일(統一)이 진흥(振興)보다 컸다(특히 $NH_4$에서) 이때 흡수(吸收)의 율원단계(律遠段階)(가장느린)는 urea는 근(根)${\rightarrow}$엽초, $NO_3$는 엽초${\rightarrow}$엽신(葉身), $NO_3$는 배양액(培養液)${\rightarrow}$근(根)의 단계(段階)를 보였다. 2. urea에 배양후(培養後) $^{15}NH_4$의 흡수속도(吸收速度)는 ($mgN/g{\cdot}root$ 2hr)의 통일(統一)의 경우 $18^{\circ}C-28^{\circ}C-38^{\circ}C$까지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한다($Q_{10}$ 1.21 및 1.32 진흥(振興)은 차이가 없었다. $28^{\circ}C$에서의 암처리(暗處理)는 통일(統一)에서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진흥(振興)에서는 12%의 감소(減少)를 가져왔다. 3. 질소전력(窒素前歷)에 의한 N 형태별(形態別) 흡수속도(吸收速度)는 두품종(品種) 모두 $NH_4{\rightarrow}NO_3$ > $NO_3{\rightarrow}NH_4$ > $urea{\rightarrow}NO_3$의 순(順)이었으며 통일(統一)이 언제나 높았다(특히 $NH_4{\rightarrow}NO_3$ >에서), $urea{\rightarrow}NO_3$는 통일은 $NH_4{\rightarrow}NO_3$와 같고 진흥(振興)은 $NO_3{\rightarrow}NH_4$보다 약간 적었다. $NH_4{\rightarrow}^{15}NO_3$$NH_4{\rightarrow}^{15}NH_4 $보다 적었다(특히 통일(統一)). 4. $NH_4{\rightarrow}NO_3$의 경우 15분내(分內)의 흡수속도(吸收速度)는 2시간(時間)동안의 흡수속도(吸收速度)보다 크며 통일(統一)이 진흥(振興)보다 언제가 흡수속도(吸收速度)가 컸다. 5. 부위별(部位別) 중질소과잉률(重窒素過剩率) 및 중질소농도(重窒素濃度)와 근(根)의 중질소흡수속도(重窒素吸收速度)가 대사(大謝)와 전류(轉流)에 각각(各各) 다른 의미(意味)를 가지고 있으나 흡수선호성기준(吸收選好性基準)은 최후자(最後者)가 가장 좋은것 같았다. 질소형전력(窒素形前歷)과 형태별(形態別) 선호성(選好性)의 품종간차이(品種間差異)를 포장조건(圃場條件)과 수도(水稻)의 효율적(效率的) 시비방법(施肥方法)과 관련검토(關聯檢討)하였다.

  • PDF

Effects of two litter amendments on air NH3 levels in broiler closed-houses

  • Atapattu, N.S.B.M;Lakmal, L.G.E.;Perera, P.W.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0호
    • /
    • pp.1500-1506
    • /
    • 2017
  • Objective: High $NH_3$ emissions from poultry houses are reported to have negative impacts on health, welfare and safety of birds and humans, and on the environment.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wo litter amendments on the $NH_3$ levels in broiler closed houses under hot-humid conditions. Methods: Giving a completely randomize design, nine closed houses, each housed 32,500 birds on paddy husk litter,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treatment (Mizuho; a bacterial culture mix and Rydall OE; an enzymatic biocatalyst) and control groups. $NH_3$ levels were determined thrice a day (0600, 1200, and 1800 h), at three heights from the litter surface (30, 90, and 150 cm), at 20 predetermined locations of a house, from day 1 to 41. Results: Rydall significantly reduced the $NH_3$ level compared to control and Mizuho. $NH_3$ levels at 30 c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90 and 150 cm. The $NH_3$ levels at 30 cm height were higher than 25 ppm level from day 9, 11, and 13 in Mizuho, control, and Rydall groups, respectively to day 41. $NH_3$ levels at 150 cm height were higher than maximum threshold limit of 50 ppm for human exposure from day 12, 14, and 15 in Mizuho, control, and Rydall groups, respectively to day 33. Being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ach other, the $NH_3$ level was highest and lowest at 0600 and 1800 h. Litter amendment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Rydal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itter N content on day 24.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NH_3$ levels of closed house broiler production facilities under tropical condition are so high that both birds and workers are exposed to above recommended levels during many days of the growing period. Compared to microbial culture, the enzymatic biocatalyst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NH_3$ level.

RuTi 촉매의 소성온도가 NH3-SCO 반응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lcination Temperature of RuTi Catalysts on the Reaction Activity of NH3-SCO)

  • 신중훈;홍성창
    • 공업화학
    • /
    • 제31권2호
    • /
    • pp.200-20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NH3-SCO (selective catalytic oxidation) 반응에서 RuTi 촉매 제조 시 소성온도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였다. RuTi 촉매는 습윤 함침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고, 공기 분위기에서 400~600 ℃로 4 h 동안 소성되었다. 촉매는 RuTi x00로 표기되었으며, x00는 소성온도를 의미한다. XRD, TEM, H2-TPR 분석에 따르면, RuTi x00 촉매는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활성금속의 분산도가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XPS, NH3-TPD 분석을 통하여, 낮은 분산도를 갖는 촉매는 표면 흡착 산소 종(Oβ) 및 NH3 흡착량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RuTi 400 촉매는 TiO2 표면에 활성금속이 가장 잘 분산되었으며, NH3 제거 효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Vanadium계 촉매의 NH3-SCR 저온 활성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Low-Temperature Activity on Vanadium Catalysts)

  • 여종현;홍성창
    • 청정기술
    • /
    • 제26권4호
    • /
    • pp.321-328
    • /
    • 2020
  • 본 실험은 상용 촉매인 V/W/TiO2와 V/Mo/TiO2 촉매를 비교하여 SCR 반응에서 저온 활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진행하였다. NH3-SCR 반응에서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NH3 산점과 산소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NH3-TPD, DRIFT, H2-TPR 분석과 O2-on/off 실험을 진행하였다. 반응 활성이 높은 온도인 250 ℃와 활성 저하가 크게 나타나는 180 ℃에서 반응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50 ℃에서는 SCR 반응에 참여하는 NH3 중, B산점과 L산점이 반응에 참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상의 산소가 반응에 참여하여 재산화 영향에 크게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180 ℃에서는 B산점의 영향이 저하되고, 기상의 산소에 의한 재산화의 영향이 적어 활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Emission characteristic of ammonia in cement mortars using different sand from area of production

  • Jang, Hongseok;So, Hyoungseok;So, Seungyou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41-246
    • /
    • 2016
  • This paper discusses the influence of organic matter contained in aggregate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 of ammonia ($NH_3$) from cement mortar. $NH_3$ can be released to indoor-outdoor environment through diffusion in mortar (or concrete) and have resulted in the increasing air pollution, and especially well known as a harmful gas for the human body. The concentration of $NH_3$ released from cement concrete was then compared to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aggregate.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in the aggregate significantly differ with types of aggregate from different areas of production. The organic matter becomes organic nitrogen through the process of microbial breakdown for a certain period and pure ammonium ion ($NH_4{^+}$) is produced from the organic nitrogen. The $NH_4{^+}$ was reacted with alkaline elements in the cement and released as $NH_3$ from cement concrete through a volatile process. The released $NH_3$ was proportional to the contents of $NH_4{^+}$ adsorbed in the aggregate from different areas of production and the concentrations of $NH_3$ emission from cement mortar according to the aggregate differ by more than 4 times.

한국산(韓國産) 천연(天然) 제오라이트의 암모늄과 아연이온의 흡착(吸着)특성 (Characterization of $NH_4\;^+$ and $Zn^{2+}$ Adsorption by Korean Natural Zeolites)

  • 강신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386-392
    • /
    • 1989
  • 4종류(種類)의 한국산(韓國産) 천연(天然)제오라이트를 사용(使用)하여 $1{\sim}7{\times}10^{-3}N$ 농도(濃度)의 $NH_4\;^+,Zn^{2+}$ 및 그것들의 혼합용액내(混合溶液內)에서 $NH_4\;^+$$Zn^{2+}$의 흡착실험(吸着實驗)을 하였다. 실험(實驗)에 사용(使用)된 제오라이트의 주광물(主鑛物)은 mordenite, clinoptilolite, mordenite를 함유(含有)한 clinoptilolite 및 clinoptlolite를 함유(含有)한 mordenite였다. 모든 시료에서 $Zn^{2+}$에 비(比)해 $NH_4\;^+$이 많이 흡착(吸着)되었고 그것들의 흡착량(吸着量)은 고농도(高濃度)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그 감소의 정도는 $NH_4\;^+$은 경미한 반면 $Zn^{2+}$은 심하였다. $Zn^{2+}$의 흡착량(吸着量)은 $Zn^{2+}$의 단일 흡착시(吸着時)에 비(比)해 $NH_4\;^+$이 공존할 때 감소하였으나 $NH_4\;^+$의 흡착(吸着)은 $Zn^{2+}$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시료간 $Zn^{2+}$에 대한 $NH_4\;^+$의 선택성(選擇性)은 mordenite>clinoptilolite를 함유(含有)한 mordenite>clinoptilolite>mordenite를 함유(含有)한 clinoptilolite 순으로 높았다. $3{\times}10^{-3}N$$1\;:\;1\;NH_4CI-ZnCl_2$ 용액(溶液)으로 연속 6회 세척하였을 때 제오라이트에 의한 $NH_4\;^+$ 총 흡착량(吸着量)은 $43.7{\sim}50.4me/100g$이었으며, $Zn^{2+}$의 총 흡착량은 $6.6{\sim}17.0me/100g$이었다. 이상의 결과(結果)로부터 mordenite와 clinoptilolite 특히 mordenite는 도시폐수중에 함유(含有)된 $NH_4\;^+$의 제거(除去)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도시폐수에 처리된 제오라이트는 비료자원(肥料資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하ㆍ폐수 고도처리를 위한 다기능의 질소원 분해능 균주의 분리 (Development of Bacteria for Removal of the Nitrogen in Wastewater)

  • 이진용;김진수;공성호;심호재;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1-26
    • /
    • 2003
  • 한국 경기도 일대의 하천으로부터 90 균주의 광합성 박테리아를 순수 분리ㆍ동정하였다. 이들중 고효율의 질소($NH_3$-N, $NO_{3{^{-}$-N)제거능을 가진 균주들을 다양한 조건(명처-혐기, 호기: 암처-혐기, 호기)하에서 선별하였다. $NH_3$-N은 위의 4가지 조건하에서 모든 균주가 제거하였고, 평균 제거율은 호기조건(83.8%)에서 혐기조건(75.1%)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NH$_3$-N의 감소에 따른 $NH_3$-N증가는 일어나지 않았다. $NO_{3{^{-}$-N은 혐기조건에서 소수의 특정 균주에 의해 제거되었다. 명처-혐기조건에서 다양한 CODcr (mg/L)/biomass (mg/L)에 따른 실험 결과는 CODcr (mg/L)/biomass (mg/L)0.2에서 유기물(98.2%)과 $NH_3$-N(89.0%)의 제거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명처-혐기조건에서 다양한 C/N 비율에 따른 실험 결과는, 높은 C/N비 뿐만 아니라 낮은 C/N비(5:1)에서도 $NH_3$-N의 효과적인 제거율(75.8%)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또한 $NO_{3{^{-}$-N (96.0%)의 동시적 제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N2/NH3/SiH4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의 압력과 혼합가스 비율에 따른 이온 및 중성기체 밀도 분포 (Distribution of Ions and Molecules Density in N2/NH3/SiH4 Inductively Coupled Plasma with Pressure and Gas Mixture Ratio))

  • 서권상;김동현;이호준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2호
    • /
    • pp.370-378
    • /
    • 2017
  • A fluid model of 2D axis-symmetry based on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reactor using $N_2/NH_3/SiH_4$ gas mixture has been developed for hydrogenated silicon nitride ($SiN_x:H$) deposition. The model was comprised of 62 species (electron, neutral, ions, and excitation species), 218 chemical reactions, and 45 surface reactions. The pressure (10~40 mTorr) and gas mixture ratio ($N_2$ 80~96 %, $NH_3$ 2~10 %, $SiH_4$ 2~10 %) were considered simulation variables and the input power fixed at 1000 W. Different distributions of electron, ions, and molecules density were observed with pressure. Although ionization rate of $SiH_2{^+}$ is higher than $SiH_3{^+}$ by electron direct reaction with $SiH_4$, the number density of $SiH_3{^+}$ is higher than $SiH_2{^+}$ in over 30 mTorr. Also, number density of $NH^+$ and $NH_4{^+}$ dramatically increased by pressure increase because these species are dominantly generated by gas phase reactions. The change of gas mixture ratio not affected electron density and temperature. With $NH_3$ and $SiH_4$ gases ratio increased, $SiH_x$ and $NH_x$ (except $NH^+$ and $NH_4{^+}$) ions and molecules are linearly increased. Number density of amino-silane molecules ($SiH_x(NH_2)_y$) were detected higher in conditions of high $SiH_x$ and $NH_x$ molecules density.

유도용액으로 비료를 사용한 정삼투 해수담수화에서 유도용액의 성능 평가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Draw Solutions in Forward Osmosis Desalination Using Fertilizer as Draw Solution)

  • 정남조;김승건;이호원
    • 멤브레인
    • /
    • 제24권5호
    • /
    • pp.400-408
    • /
    • 2014
  • 유도용액으로 비료를 사용하는 정삼투식 해수담수화에서 유도용액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비료 중에서 삼투압, 용해도 및 pH 등을 고려하여 $NH_4NO_3$, $NH_4H_2PO_4$, $(NH_4)_2HPO_4$, KCl, $KNO_3$$KHCO_3$를 유도용액 후보군으로 선정하였다. 수투과선속, 질소와 인의 역용질선속 및 비역용질선속을 측정하여 유도용액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KCl은 본 연구에서 선정된 유도용액 중에서 가장 높은 수투과선속을 나타낸 반면에 $(NH_4)_2HPO_4$는 가장 낮은 수투과선속을 나타내었다. $NH_4H_2PO_4$가 가장 낮은 역용질선속 및 비역용질선속을 보였으며, $(NH_4)_2HPO_4$ < $KNO_3$ < $NH_4NO_3$의 순서로 역용질선속 및 비역용질선속이 증가하였다. $NH_4H_2PO_4$는 비록 다른 유도물질에 비해 수투과선속이 낮으나 비료의 주요 성분인 질소와 인을 모두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질소와 인의 역용질선속 및 비역용질선속이 다른 유도물질에 비해 매우 낮으므로 FDFO (fertilizer drawn forward osmosis)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tudy of Frozen Molecular Surfaces by $Cs^{+}$ Reactive ion Scattering and tow-Energy Secondary ton Mass Spectrometry

  • Park, S.-C.;Kang, H.
    • Journal of Korean Vacuum Science & 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30-35
    • /
    • 2002
  • We show that a combined technique of Cs$^{+}$ reactive ion scattering (Cs$^{+}$ RIS) and low-energy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LESIMS) provides a powerful means for probing molecular films and their surface reactions. Simple molecules, including HCI, NH$_3$, D$_2$O, and their mixtures, were deposited into a thin film of several monolayer thickness on Ru(001) at low temperature in vacuum, and the surface was characterized by Cs$^{+}$ RIS and LESIMS. On pure films, D$_2$O, HCI, and NH$_3$ existed in the corresponding molecular states. When HCI and NH$_3$ were co-deposited, ammonium ion(NH$_4$$^{+}$) was readily formed by proton transfer from HCI to NH$_3$. In the presence of water molecules, HCI ionized first to hydronium ion(H$_3$O$^{+}$), which subsequently transferred proton to NH$_3$ to form NH$_4$$^{+}$. The proton transfer, however, did not occur to a completion on ice, in contrast to the complete reaction in aqueous solutions.s solu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