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D

검색결과 10,491건 처리시간 0.038초

Texture Study in HDDR-treated Nd-Fe-B-type Particles

  • Kim, Jung-Hwan;Kwon, H.W.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0권4호
    • /
    • pp.152-156
    • /
    • 2005
  • Effects of the disproportionating hydrogen pressure and alloy composition on the texture in the HDDR-treated Nd-Fe-B particles were examined using the $Nd_{12.6}Fe_{81.4}B_6$ and $Nd_{12.6}Fe_{68.7}B_6Co_{11.0}Ga_{1.0}Zr_{0.l}$ alloys. Disproportionation kinetics of the $Nd_2Fe_{14}B$ phase in the Nd-Fe-B alloy was retard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of Co, Ga and Zr. The retarded disproportionation kinetics of the $Nd_2Fe_{14}B$ phase ensured a wider processing win­dow in terms of disproportionating hydrogen pressure for achieving a texture in the HDDR-treated Nd-Fe-B alloy particles.

Nd-Ba-Cu-O 벌크 초전도체의 초전도 특성에 미치는 Ca 첨가계의 영향 (Effect of Ca-doping on the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Nd-Ba-Cu-O bulks)

  • 이훈배;위성훈;유상임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21-25
    • /
    • 2002
  • The effect of Ca-doping on the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Nd-Ba-Cu-O bulk superconductors, fabricated by the oxygen-controlled melt growth process, has been systematically investigated. Various c-axis textured bulk samples were grown using precursors with the nominal compositions of $Nd_{1.8-x}Ca_{x]Ba_{2.4}Cu_{3.4}O_{y}$ (x= 0.00, 0.02, 0.05, 0.10, 0.15) in a reduced oxygen atmosphere of 1%O$_2$ in Ar. Magnetization measurements revealed that the critical temperatures(Tc) were almost linearly depressed from 95K to 86K with increasing the Ca dopant from x : 0.0 to 0.15, respectively, and thus critical current densities(Jc) at 77K and for H//c-axis of specimens were gradually degraded with increasing x. Composi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although the amounts of the Ca dopant both in $NdBa_2Cu_2O_y(Nd123) and Nd_4Ba_2Cu_2O_{10}(Nd422)$,/TEX>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x, only less than half of the initial Ca compositions were detected in melt-grown Ca-doped Nd-Ba-Cu-O bulk crystals. The supression of Tc is attributed to an increased Nd substitution for the Ba site in the Nd123 superconducting matrix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Ca dopant.

고잔류자화 $\alpha$-Fe기 Nd-Fe-B 초미세결정립 합금의 자기특성 (Magnetic Properties of $\alpha$-Fe Based Nd-Fe-B Nanocrystalline with High Remanence)

  • 조용수;김윤배;박우식;김창석;김택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8-41
    • /
    • 1995
  • $\alpha$-Fe를 주상으로 하는 새로운 Nd-Fe-B계 합금을 개발하기 위하여 Nd 함유량을 4at.%로 고정시킨 Nd-Fe-B 초미세결정립합금의 제조 및 자기특성이 조사되었다. 급속응고법으로 제조된 $Nd_{4}Fe_{85.5}B_{10.5}$ 비정질합금은 결정화하여 $\alpha$-Fe 기지상에 $Nd_{2}Fe_{14}B$이 형성되나 자기특성${_{i}H_{c}=95.5kA/m(1.2kOe),\;Br=1.2T}$은 열화된다. Nb 및 Cu를 첨가한 $Nd_{4}Fe_{82}B_{10}Nb_{3}Cu_{1}$ 합금은 $\alpha$-Fe 결정립미세화(<30nm)로 보자력이 207kA/m(2.6 kOe)로 증가하나 잔류자화는 개선되지 않았다. 이 합금조성에 8at.% Co 첨가는 결정립을 더욱 미세화시키며 자기특성을 개선 시킨다. 최적열처리조건에서 $Nd_{4}Fe_{74}Co_{8}B_{10}Nb_{3}Cu_{1}$ 합금의 잔류자화, 보자력 및 최대에너지적이 각각 1.34 T, 219 kA/m (2.75kOe) 및 $95.5kJ/m^{3}$(12MGOe) 이다.

  • PDF

Nd(Ⅲ)과 B15C5 치환체와의 착물의 구조에 관한 연구 (Structural Studies on Complexes of Substituted B15C5 with Nd(Ⅲ))

  • 김해중;신영국;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692-697
    • /
    • 1995
  • 아세톤($Ac-d_6$)에서 B15C5과 ND(3)과의 착물형성에 따른 조성비와 구조를 NMR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일정한 농도의 B15C5에 Nd(3)의 농도 증가에 따른 공명선이 저자기장 이동되었으며, 착물의 조성비가 1:1임을 알 수 있었다. 수소피크의 띠넓힘 현상은 Nd(3)과 산소원자와의 상호작용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고체상에서의 치환된 B15C5와 Nd(III)과의 착물의 구조를 적외선스펙트럼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착물형성시 니트라토기가 두자리 리간드로 배위되었고, 비대칭 C-C-O 신축 진동의 띠이동이 있었다. 이로부터 Nd(3)-B15C5 착물의 구조는 Nd(3)에 5개의 산소원자와 3개의 두자리 니트라토기가 배위된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영남육괴 중부 무주 지역에 위치하는 선캠브리아기 화강편마암 및 앰피볼라이트 시추코아의 Sm-Nd 연대 및 지구화학적 특징 (Geochemistry and Sm-Nd isotope systematics of Precambrian granitic gneiss and amphibolite core at the Muju area, middle Yeongnam Massif)

  • 이승구;김용제;김건한
    • 암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27-140
    • /
    • 2005
  • 영남육괴의 중부의 무주군 적상면 삼유리 일대에는 선캠브리아기 원남층군에 해당되는 화강암질 편마암, 반상변정 화강암질 편마암과 우백질 편마암이 분포한다. 이 논문에서는 화강암질 편마암 지역에서 200m심도 까지 굴착한 시추코아의 주성분, 미량성분, 희토류원소 그리고 Sm-Nd, Rb-Sr 동위원소 자료의 지구화학적 의의를 토의하고자 한다. 시추코아의 암상은 심도에 따라 변하고, 주로 화강암질 편마암과 앰피볼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주성분 및 미량성분의 화학조성 자료를 토대로 한 연구지역내 화강암질 편마암 및 앰피볼라이트의 기원물질은 각각 TTG(Tonalite-Trondhjemite-Granodiorite) 계열 및 솔레아이트 계열의 암석에 속한다. 희토류원소의 분포도를 보면 경희토류(La-Sm)와 중희토류(Gd-Lu)의 변화 및 Eu의 부(-)의 이상이 매우 다양하다. Sm-Nd 동위원소자료에 따른 등시선에 의하면 $2,026{\pm}230(2{\sigma})$ Ma의 연대를 보여주며, 이때의 Nd 초기치는 $0.50979{\pm}0.00028(2{\sigma})$이다. 그리고 ${\epsilon}_{Nd}$(2.0 Ga)값은 -4.4로 연구지역 변성암류의 기원물질이 고기의 지각물질임을 지시해준다. 이 값은 북중국지괴 시생대 기반암의 진화영역에 속하며, 특히 Lee et al.(2005)이 제안한 영남육괴내 Nd 동위원소 초기치의 진화와 일치하는 상관성을 갖는다. 그리고 앰피볼라이트의 희토류원소 분포도와 Nd 초기치는 앰피볼라이트의 기원물질이 결핍된 맨틀과 지각을 형성하기 시작한 초기마그마와 매우 유사함을 지시해준다.

타이와 베트남에서 수집된 텍타이트의 화학조성과 지구화학적 의의 (A Distinctiv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ektites from Thailand and Vietnam, and Its Geochemical Significance)

  • 이승구
    • 암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1-295
    • /
    • 2017
  • 타이와 베트남산 텍타이트의 주원소 조성, 희토류원소를 포함하는 미량원소 조성, Sr과 Nd의 동위원소 화학조성을 측정하여 상호간의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두 텍타이트의 주원소 조성은 서로 유사하며, 상부지각의 화학조성보다는 PAAS(Post Archean Australian Shale)의 화학조성에 더 유사하다. 거미도와 희토류원소의 분포도는 서로 간에 일치하는 특성을 보여주며, Eu의 부(-)의 이상과 더불어 경희토류가 부화되고 중희토류가 결핍되어 있는 특성 또한 PASS의 희토류원소 분포도와 유사하다. 타이산 텍타이트의 $^{87}Sr/^{86}Sr$$^{143}Nd/^{144}Nd$ 비는 각각 $0.718870{\pm}0.000008(2{\sigma}_m)$, $0.512024{\pm}0.000012(2{\sigma}_m)$이고 베트남산 텍타이트의 $^{87}Sr/^{86}Sr$$^{143}Nd/^{144}Nd$ 비는 $0.717022{\pm}0.000008(2{\sigma}_m)$. $0.511986{\pm}0.000013(2{\sigma}_m)$으로 타이산 텍타이트가 베트남산 텍타이트보다 더 부화된 동위원소 값을 갖고 있다. 그리고 현재까지 알려진 오스트레일리아와 동아시아에서의 텍타이트의 $^{87}Sr/^{86}Sr$$^{143}Nd/^{144}Nd$ 비와 비교했을 때, 이 연구에서의 두 지역 텍타이트의 $^{87}Sr/^{86}Sr$비 값은 모두 기존에 알려져 있는 Australasian 텍타이트에서의 값들의 범위에 포함된다. $^{143}Nd/^{144}Nd$ 비의 경우 타이산 텍타이트는 현재 알려져있는 Australasian 텍타이트의 $^{143}Nd/^{144}Nd$비 값 범위에 들어가는 반면에, 베트남산 텍타이트의 $^{143}Nd/^{144}Nd$비 값은 현재까지 알려진 $^{143}Nd/^{144}Nd$ 비보다 낮았다. 이 연구에서의 두 텍타이트의 지구화학적 특성의 유사성은 두 텍타이트가 거의 동일한 기원물질로부터 유래되었을 가능성을 지시해준다.

축산물 중 천연유래 질산염 및 아질산염 함유량 조사 (The Naturally Occurring Levels of Nitrate and Nitrite in Livestock Products)

  • 최재천;박소라;임호수;고경육;김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5-27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축산물 및 축산가공품에서 천연적으로 유래되는 질산염과 아질산염의 함유량을 조사하였다. 식육 223건, 식육가공품 51건, 원유 30건, 유가공품 142건, 알류 5건 및 알가공품 7건으로 총 458건에 대해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를 이용하여 질산염과 아질산염을 분석하였다. 이 때, 축산물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의 전처리법과 기기조건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축산물 및 축산가공품에 적용하여 시험법 검증(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재현성 및 측정불확도)을 실시한 결과, 모두 양호한 값으로 나타났다. 총 458건을 분석한 결과, 질산염이 167건에서 아질산염이 40건에서 검출되어 질산염이 아질산염에 비해 검출된 건수가 많았다. 질산염의 경우, 조제분유류에서 ND~40.23 mg/kg으로, 양념육류에서 ND~37.97 mg/kg으로, 가공치즈류에서 ND~32.40 mg/kg으로, 알가공품에서 4.92~31.50 mg/kg으로, 분유류에서 ND~27.73 mg/kg으로, 소시지류에서 ND~22.45 mg/kg으로, 베이컨류에서 ND~22.45 mg/kg으로, 자연치즈류에서 ND~21.55 mg/kg으로, 햄류와 발효유류에서 ND~20.82 mg/kg으로, 알류에서 ND~13.57 mg/kg으로, 버터류에서 ND~12.77 mg/kg으로, 우유류에서 ND~9.31 mg/kg으로, 식육류에서 ND~3.88 mg/kg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질산염은 알가공품에서 1.84~17.35 mg/kg으로 나타났으며 식육류에서는 ND~1.92 mg/kg의 범위로 검출되었다.

탄산화물(Li2CO3, K2CO3)을 이용한 반응증류공정에서 LiCl-KCl 공융염 내 NdCl3의 분리특성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NdCl3 from LiCl-KCl Eutectic Salt in a Reactive Distillation Process using Li2CO3 or K2CO3)

  • 은희철;최정훈;이태교;조인학;김나영;유재욱;박환서;안도희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1-186
    • /
    • 2015
  • 사용후핵연료 파이로프로세싱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방사성 핵종 함유 염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탄산화물(Li2CO3, K2CO3)을 이용한 반응증류공정에서 LiCl-KCl 공융염 내 NdCl3의 분리특성을 관찰하였다. HSC-Chemistry 프로그램을 이용한 탄산화물과 NdCl3의 반응모델결과에서 NdCl3는 탄산화물의 주입조건 및 온도변화에 따라 산염화물(NdOCl) 또는 산화물(Nd2O3) 형태로 전환됨이 확인되었으며, 탄산화물의 주입조건에 따른 LiCl-KCl-NdCl3계의 반응증류시험에서 반응모델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을 이용하여 LiCl-KCl 공융염 내 NdCl3를 고화가 용이한 산화물 형태로 분리하기 위한 공정조건을 도출하였다.

낙동강 수계에서의 유기인계 난연제류 검출 현황 : 본류, 지류 및 하수처리장 방류수 (Occurrence of Organophosphorus Flame Retardants (OPFRs) in Nakdong River Basin : Mainstreams, Tributaries and STP Effluents)

  • 서창동;손희종;최진택;류동춘;유평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396-403
    • /
    • 2015
  • 낙동강 수계에서의 유기인계 난연제류(OPFRs) 검출현황을 조사한 결과, 본류 및 지류 20지점 중 6지점에서 TCEP, TCPP 및 TBEP 3종이 검출되었으며, 본류에서는 고령에서만 TCPP가 ND~114.9 ng/L 및 TBEP가 ND~49.1 ng/L의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지류의 경우는 금호강 상류, 신천, 금호강 하류, 진천천 및 양산천에서 TCEP가 ND~1,865.3 ng/L, TCPP가 ND~519.2 ng/L 및 TBEP가 ND~210.4 ng/L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낙동강 주변에 위치한 11개 하수처리장 방류수들에서는 TBP, TCEP, TCPP 및 TBEP 4종이 각각 ND~458.5 ng/L, ND~2,932.7 ng/L, ND~1,320.7 ng/L 및 ND~655.2 ng/L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낙동강 수계 및 낙동강 주변에 위치한 11개 하수처리장 방류수들에서의 계절별 OPFRs 분포비율을 분석한 결과, 동일 지점에서도 채수시기에 따라 검출농도 뿐만 아니라 구성종 비율의 변화폭도 매우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