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ATURALIZED PLANT

검색결과 495건 처리시간 0.022초

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진단 - 남한강을 중심으로 - (Diagnosis of Vegetation for the Ecological Rehabilitation of Streams - The Case of the Namhan River -)

  • 명현;권상준;김창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8-106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sent a river model with the aim of restoring the ecosystem and improving the landscape along the urban rivers on the basin of the Namhanl river, a core life channel for the National Capital regin. The revelation of botanical status, transition trend and correlation of plants might lead to providing the urban river restoration projects and ecological river formation projects with basic data for a model of ideal aquatic ecology and landscape. The outcomes of this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1. The plant communities of river flora found on the basin of the Namhan river could be categorized largely into 39 plant communities 2. Most diverse plants were distributed in the rivers lower reaches such as Unsim-ri where the protected zone of Paldang reservoir for city water borders the body of Jodae swamp where natural streams flow nearby. 3. One of the greatest threats to the biomass of the River Namhan is that the communities of such invasive alien plants as Panicum dichotomiflorum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dominate most parts of the area, a fact that has resulted in a reduced variety of plants and will, sooner or later, be likely to cause an ecological imbalance in the hitherto healthy Aquatic plant life. It is highly advisable to gradually diversify the species of trees and to return the plants bark to their original state since, besides the naturalized plants, plantations afforested with Erigeron canadensis and Erigeron annuus stocks in buckwheat field, Robinia Pseudo-accacia in riverside forest, Pinus rigida in terrestrial forest on the river basin and Larix leptolepis are anticipated to act as interceptors of normal migrations of the fluvial and terrestrial ecosystems. Finally, it seems also desirable to continu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luvial and terrestrial ecologies with the purpose of building up a model of natural streams in urban areas based on the surveyed factors for plant life, soil and landscape and, moreover, on the forecasting for overall influences derived from the rotation upon the ecosystem.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의 염생식물상과 식생 (Halophytes and Vegetation of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 오현경;김세천;유주한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5호
    • /
    • pp.409-42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aw data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idal flat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halophytes and vegetation distributed in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halophytes in this site were summarized as 27 taxa including 13 families, 21 genera, 26 species and 1 variety. In the results of ecologically important species, rare plant was 1 taxa, 10 taxa of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1 taxa of naturalized plant and 1 taxa of the plant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The life form spectrum consisted of therophytes(44.4%), hemicryptophytes(25.9%), geophytes(14.8%), nanophanerophytes(7.5%), chamaephytes and hydatophytes(each 3.7%). The types of vegetation of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were classified with 17 communities including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Suaeda maritima community,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and so forth. In the halophytes composition, section C and E-1 had the largest character species and companion species. In the results of vegetation amount, section C, D, E-1 and E-2 were the highest score, on the other hand, section A and B were the lowest. The final rating was calculated by adding up values of two factors, and section C and E-1 had the highest rating of II. In future, we will survey the whole flora in Seocheon tidal flat,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of coastal plant ecosystem in West Sea.

울릉도의 관속식물상 (A florisitic study of Ulleungdo Island in Korea)

  • 양선규;장현도;남보미;정규영;이로영;이재현;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2-212
    • /
    • 2015
  • 울릉도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을 위해 2007년부터 2011년에 걸쳐 총 55일간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 93과 313속 462종 6아종 52변종 4품종 등 총 49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IUCN 기준에 따른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멸종위기종(CR) 9분류군, 위기종(EN) 6분류군, 취약종(VU) 12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1급 1분류군, 2급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71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울릉도 특산식물은 33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귀화식물은 66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생태계교란종은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상추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대관령 산지초지의 식물상 및 식생 특성 (Flora and Vegetation of Hilly Pasture in Daegwallyeong)

  • 김명현;어진우;권순익;송영주
    • 환경생물
    • /
    • 제35권3호
    • /
    • pp.398-412
    • /
    • 2017
  • 산지초지의 효율적인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하여 강원도 대관령에 위치하는 산지초지에서 2014년~2016년 사이 식물상과 식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38과 90속 104종 13변종 12아종으로 총 1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반지중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직립형 ($H-D_4-R_5-e$)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5과 9속 12종으로 총 12분류군으로, 도시화지수는 3.7%, 귀화율은 9.9%를 나타냈다. 대관령 산지초지의 식물군락은 덤불조팝나무-꼬리조팝나무군락, 고마리군락, 흰겨이삭-큰조아재비군락으로 구분되었고, 흰겨이삭-큰조아재비군락은 세분하여 왕포아풀아군락, 쑥아군락, 김의털아군락, 애기수영아군락, 전형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물군락은 경사도와 EC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사도 $40^{\circ}$ 이상에서는 원하는 목초의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관목림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향후 산지초지의 조성 및 관리에 경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우포늪의 교란된 제방에서 식생 구조의 계절적 변화와 1차생산 (Seasonal Change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Primary Production in the Disturbed Banks of the Upo Wetland)

  • 강은영;김태근;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61-70
    • /
    • 2009
  • 우포늪의 제방 보강공사로 식생이 교란된 대대제에서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구조물을 설치한 지역과 설치하지 않은 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구조의 계절적 변화 및 1차생산량을 조사, 비교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78 종류로 구조물 지역과 비구조물 지역에서 각각 72 종류 및 75 종류가 각각 확인되었다. 관속식물을 생활형별로 구분하면 수생식물 3 종류, 습생식물 33 종류, 중생식물 42 종류 등이었으며, 귀화식물은 20종으로 전체의 25.6%로서 구조물 지역 17 종류(23.6%) 및 비구조물 지역 18 종류(24.0%)로 두 지역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구조물 지역은 쇠뜨기가, 비구조물 지역은 토끼풀이 각각 우점하는데, 두 지역 모두 개망초, 환삼덩굴, 자운영, 돼지풀 등 귀화식물의 중요치가 비교적 높았다. 종다양성지수는 1.010~1.450으로 구조물 지역 및 비구조물 지역 모두 10월에 높고 3월에 가장 낮았으며, 조사기간 중 비구조물 지역이 구조물 지역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두 지역간의 군집유사도는 0.359~0.456으로서 3월에 가장 낮고 식물의 최대 번성기인 8월에 가장 높았다. 구조물 지역에서 관속식물의 단위면적당 순1차생산량은 $417.1\;g/m^2$로서 갈대 179.5, 달맞이꽃 84.0, 물억새 $66.1\;g/m^2$ 등의 순이었으며, 비구조물 지역의 순1차생산량은 $392.7\;g/m^2$로서 망초 102.5, 물억새 87.4, 갈대 $81.6\;g/m^2$ 등의 순이었다.

  • PDF

유구천(충남, 공주)의 식물 분포 현황분석 (The Analysis of the Plant Distributional Pattern in Yugu Stream (Gongju, Chungnam))

  • 문애라;이율경;박정미;장창기
    • 환경생물
    • /
    • 제30권2호
    • /
    • pp.107-120
    • /
    • 2012
  • 본 조사는 유구천의 수생식물과 수변계류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관속식물의 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포함하여, 2009년 8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총 4회에 걸쳐 7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7개 지점의 조사를 통해 유구천의 관속식물은 88과 229속 290종 3아종 30변종 5품종 3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역 내의 한국 특산식물은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Uyeki), 병꽃나무 (Weigela subsessilis (Nakai) L.H. Bailey) 등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낙지다리 (Penthorum chinense Pursh), 땅나리 (Lilium callosum Siebold & Zucc.), 꽃창포(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창포 (Acorus calamus L)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27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그 중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III~V등급종은 V등급종이 2분류군, IV등급종이 2분류군, III등급종이 9분류군으로 총 13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10개과 2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조사된 전체 목록 중 약 8.3%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구천은 마을이 하천을 따라 발달하고, 도로나 농경지 등에 따라 인간의 간섭이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여겨지며 이에 따라 귀화식물의 유입도 증가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조사지점별 식물들의 집괴분석과 좌표 결정분석 결과 유구천 본류형, 소하천형, 저수지형 등 3개 모둠으로 구별되었다.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형(II)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과 귀화식물 -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I) - Rare, Endangered and Naturalized Plants -)

  • 김용식;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8-139
    • /
    • 1996
  •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난대상록활엽수림의 12개 지역을 대상으로 이 지역에 주로 출현하는 상록수종과 생육하고 있는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다. 난대상록활엽수림에 70% 이상 공통적으로 고르게 출현하는 수종으로는 녹나무과의 생달나무, 후박나무 등 28과 34속 37종류로 파아고디었으묘, 이들 수종은 상록활엽수림의 복원모형을 만드는데 중요한 지표가 되리라 판단된다. 면적 100m$^{2}$당 종수는 보길도가 5.511로 가장 높았으묘, 미조리(4.677), 맹선리(2.481) 등의 순이었다. 관찰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물푸레나무과의 이팝나무를 포함한 4종 등 총 24과 32종이었으며 보길도에서 13과12종 1변종 등 13종류로 가장 많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파악되었다. 귀화 및 도입식물의 경우 국화과는 7종, 콩과는 5종, 자리공과는 2종을 파악되었다. 이 외에 비름과, 자작나무과, 능소화과, 명아주과, 닭의장풀과, 측백나무과, 꿀풀과, 아욱과, 분꽃과, 소나무과, 마디풀과 및 낙우송과 등 12과는 각 1종씩 총 12종이 확인되었다. 보길도의 경우 낙우송과의 삼나무 등 총 9과 13속 13종으로 가장 많은 도입 또는 귀화식물이 식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격리된 소규모 도서 생태계의 합리적인 보전을 위한 관리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 PDF

Distribu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xotic Plants in the Gwangreung Forest, Korea

  • Kim, Sung-Sik;Lee, Se-R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3호
    • /
    • pp.225-232
    • /
    • 2008
  • To find out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xotic plants in the Gwangreung Forest, a representative forest ecosystem in central Korea, we surveyed the species composition, coverage, and habitat illuminance of exotic plant species in a set of quadrats established along roads and trails in and around the Gwangreung Forest and buffer zone areas, In 1932, only five species of exotic plants were found along paths and roads in the Gwangreung Forest. However,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forest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2000, when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A. trifida L. were first recorded, and in 2007, 38 species of exotic plants were recorded. Among the 11 families, 23 genera and 25 species of exotic plants recorded in the quadrats, Compositae was the most common family (11 species), and perennial herbs, 42%, were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life type, followed by annual herbs (31%) and biennial herbs (19%). Plants of North American origin comprised 48% of exotic species identified in our surveys. Exotics were found most frequently in quadrats along roads in the forest, followed by the buffer zones and hiking trail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exotic plants decreased as we moved deeper into the forest, but Aster pilosus Willd. and Erigeron annuus (L.) Pers. were identified along hiking trails in the interior, and appeared to be capable of spreading further and more rapidly into the forest than other species.

동복천 일대의 식물상 (Flora of Dongbok Stream Areal)

  • 임동옥;박양규;유윤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6-359
    • /
    • 2004
  • 2002년 2월부터 8월까지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천 지역에 대한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75과 158속 174종 31변종 1품종으로 총 206종류였다 수생식물은 16과 23속 26종 3변종으로 총 29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정수식물은 22종류, 침수식물 4종류, 부엽식물 2종류 및 부유식물 1종류였다. 귀화식물은 10과 17속 17종 2변종으로 총 19종류가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회귀식물과 보호야생식물종의 서식처조사결과 산림청에서 지정한 회귀식물은 흑삼릉 1종이 관찰되었다.

Photosynthetic Inhibition in Leaves of Ailanthus altissima under O3 Fumigation

  • Lee, Jae-Cheon;Oh, Chang-Young;Han, Sim-Hee;Kim, Pan-G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1호
    • /
    • pp.41-47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enect of $O_3$ on the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tree of heaven (Ailanthus altissima) that is naturalized plant and used as restoration plant for contaminated area. Two-year-old seedlings were planted to pots and transferred into closed $O_3$ chamber. Photosynthetic pigments contents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every three weeks under 100 pub $O_3$ fumigation. There was no visible foliar injury by $O_3$ exposure and contents of photosynthetic pigmen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O_3$-treated seedling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omatal conductance, and water use efficiency. But photosynthetic rate and apparent quantum yield (AQY) of $O_3$ treated seedlings were reduced after nine weeks of ozone fumigation.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carboxylation efficiency and photorespiration were observed in the leave of $O_3$ treated seedlings after six weeks. In accordance with our result, carbon fixation system of A. altissima was most sensitive to $O_3$ stress to evaluate physiological damage induced by $O_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