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PLANTS

검색결과 673건 처리시간 0.033초

사구식물 연관 세균 군집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Molecular Systematic Study of Bacter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Sand Dune Plants)

  • 도진옥;박성주;김승범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56-362
    • /
    • 2007
  • 충남 태안군 일대 4곳의 해안사구 지역에서 자생하는 9종의 사구식물 연관 근권세균 다양성을 2003년 10월부터 2004년 3월까지의 기간 동안 3차례에 걸쳐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 밴드가 계속 모든 시료에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NA 염기서열 분석에 의하여 Lysobacter enzymogenes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주요 밴드들은 Pseudomonas와 Bacillus 속의 균주들로 동정되었다. L. enzymogenes가 9종의 식물 모두에서 지역이나 조사시기에 관계없이 우점적으로 나타난 것은 이전의 클론 분석을 통한 결과와 일치한다 (Lee et al. 2006a). Bacillus에 속한 밴드들이 모든 조사에서 출현하였으며, Pseudomonas 속 밴드들은 2003년 12월 조사에서 두드러졌다. DGGE 분석만으로는 Lysobacter가 사구식물에 가지는 중요성을 파악할 수는 없으나 건강한 개체에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Lysobacter의 존재는 식물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화강암질 풍화토 절토비탈면의 자생식물 선정 - 충청도와 경상북도 임도를 중심으로 - (Native Plants Selection in Decomposed Granite Cut-slope - In case study on forest road of Chungcheong-do and Gyeongsangbuk-do -)

  • 송호경;박관수;이미정;김효정;;이준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48-58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ecies for early stage replantation in granite forest road cut-slope. From one to thirteen year elapsed forest roads in five regional areas of Chungcheong-do and Kyungsangbuk-do, sample plots were selected, and their veget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soil moisture content, and bulk density in the granite weathering soils were below 0.5%, 0.02%, 10%, and above 1.2g/$cm^3$, respectively.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species in the granite forest road were the elapsed year, elevation, cut-slope aspect, and cut-slope. Sowing plants of Dactylis glomerata, Lolium perenne, and Eragrostis curvula were found in the early stage of forest road-cut. Annual herbs of Youngia denticulata, Erigeron annuus, etc. were found in the 2-3 years elasped forest road-cut. Perennial herb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Miscanthus sinensis, etc., parachute woody plants of Weigela subsessilis, Pinus densiflora, etc., and gravitative trees of Prunus sargentii, Lindera obtusiloba, Quercus sp., etc. were found in the forest road cut-slope after 3 years of road-cut. Leguma of Lespedeza cureata, Amorpha fruticosa, Lespedeza bicolor, Pueraria thunbergiana, Albizzia julibrissin, etc., herbs of Artemisia keiskean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Miscanthus sinensis, etc., and woody plants of Rubus crataegifolius, Weigela subsessilis, Zanthoxylum schinifolium, Pinus densiflora, etc. were considered as proper species for replantation in granite forest road cut-slope.

비슬산 진달래나무군락지의 식생특성과 관리방안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Habitat in Mt. Biseul)

  • 박인환;조광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5-66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habitat in Mt. Biseul to recommend basic information for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thod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May to July, 2011 and totally 46 vegetation data including 42 families 93 genera 108 species 16 varieties and 5 form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mong the investigated 129 taxa, the numbers of rare plant resources were summarized as 19 taxa;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and the endemic plants were listed as 3 taxa, 15 taxa and 4 taxa, respectively. Rhododendron mucronulatum habitat of Mt. Biseul was classified into 3 plant communities (Carex lanceolata-Rhododendron mucronulatum community, Potentilla dickinsii-Selaginella rossii community, Carex lanceol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Carex lanceolata-Rhododendron mucronulatum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Tripterygium regelii subunit and Miscanthus sinensis for. purpurascens subunit by human interference degree. And synecology, syndynamics, synchorology of these plant communities were identified, and Site-species ordination analysis by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reflected that human impact, soil moisture condition were main ecological factors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lassified plant communities. Therefore these plant communities correspond to quite distinctive 4 habitat types : unstable-dry type=Miscanthus sinensis for. purpurascens subunit, unstable-moderate type=Tripterygium regelii subunit, stable-dry type=Potentilla dickinsii-Selaginella rossii community, stable-moderate type=Carex lanceol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Finally, through the vegetational diagnosis, proper management methods such as a limit on the access of visitors, planting of native woody plants after removing unwanted vines or grass were suggested.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invasive alien plants in Jeju Island

  • Ryu, Tae-Bok;Kim, Mi-Jeoung;Lee, Chang-Woo;Kim, Deok-Ki;Choi, Dong-Hui;Lee, Hyohyemi;Jeong, Hye-Ran;Lee, Do-Hun;Kim, Nam-You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6호
    • /
    • pp.173-181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on Jeju Island,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ir management and control. Results: A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at 436 locations on Jeju Island. The field research identified nine species of invasive alien species growing on Jeju Island. Based on the distribution pattern, Hypochaeris radicata L., Rumex acetosell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L.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horizontally throughout Jeju Island, with vertical growth in two or more vegetation zones, from warm temperate to the subalpine zone. Widely distributed species penetrate various habitats, such as grasslands, ranches, roadsides, farmlands, and empty lots, and have an immensely negative impact on the ecosystem, including declining biodiversity on Jeju Isl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Paspalum distichum L., Solanum carolinense L., and Aster pilosus Willd. were distributed in some areas as a biased distribution species, whereas Lactuca scariola L. and Solidago altissima L. were found only in certain areas as centralized distribution species. Conclusions: The centralized distribution species and biased distribution species of the invasive plants in the ecosystem of Jeju Island should be physically eliminated, keeping in mind the short- and mid-term perspectives and monitoring, and by considering expansion of additional distribution areas. Due to limitations of physical/chemical elimination, time, and cost, widely distributed species require to be eliminated and managed, mainly to restore the integrity of the ecosystem, by planting native species to reestablish the habitat.

수종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dmium Tolerance of Some Native Herb Plants)

  • 장주연;장윤영;배범한;이인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5호
    • /
    • pp.309-313
    • /
    • 2001
  • 카드뮴 내성 식물을 선별하기 위하여 5종류의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검정을 실시하였다. 카드뮴 용액에 14일간 노출된 야초류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와 지상부의 생장율, 생체량을 측정하였다. 어저귀와 털비름의 발아율은 모든 농도에서 90%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자귀풀과 물피, 식용피는 15 mgCdSO₄ /L에 노출되었을 때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뿌리와 지상부의 길이 생장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두 감소하였으며, 생체량의 경우 물피, 식용피, 털비름은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어저귀와 자귀풀은 60 mgCdSO₄ /L에 노출되었을 때부터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어저귀, 자귀풀, 털비름의 EC/sub 50/(Effective Concentration 50%)은 뿌리성장에서는 54 mgCdSO₄ /L, 77.5 mgCdSO₄ /L ,44.5 mgCdSO₄ /L이고, 지상부 성장에서는 114 mgCdSO₄ /L, 73.5 mgCdSO₄ /L, 38.6 mgCdSO₄ /L였으며, 생체량에서는 107.5 mgCdSO₄ /L, 67.5 mgCdSO₄ /L, 60 mgCdSO₄ /L였다. 야초류 간의 카드뮴에 대한 sensitivity는 뿌리 > 생체량 > 지상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저귀가 카드뮴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 PDF

한국 자생 둥근잎꿩의비름(Sedum rotundifolium)의 분포와 생육환경 및 자생지에서의 형태적 특성 조사 (The Distribution, Growth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Sedum rotundifolium at Native Habitats)

  • 정정학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4호
    • /
    • pp.500-502
    • /
    • 1999
  • 둥근잎꿩의비름의 분포와 자생지에서의 생육 환경 및 형태적 특성조사를 통하여 자원식물로서의 둥근잎꿩의비름의 효과적인 보존과 화훼재배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둥근잎꿩의비름은 주왕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그 인근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타 지역에서는 그 분포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주왕산 인근지역으로서는 영덕 옥계계곡의 절벽틈에서 둥근잎꿩의비름이 발견되었다. 둥근잎꿩의비름은 대체로 250~450m 고도의 중간 산지의 경사가 매우 가파른 절벽의 바위틈에서 자라고 있었다. 자생지의 토양수분은 건조한 편이며, 광도는 노지 맑은 날 자연광의 1% 미만에서부터 90% 이상까지 되어 광에 대한 적응성이 매우 강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공중습도, 기온, 지온 등은 이들이 자생하는 지역이 물이 많은 계곡의 주변이긴 하지만 평지와 비해 별차이가 없었다. 자생지의 토양산도는 대체로 pH 6.4~7.0 정도로 약산성 혹은 중성의 토양반응을 보였으며, 유기물 함량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인산, 칼리, 마그네슘 둥 무기원소의 함량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둥근잎꿩의비름이 분포하고 있는 주변지역에는 10종 내외의 일부 한정된 초종만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인근에 분포하고 있는 주요식물로는 산조팝나무, 부처손, 바위떡풀, 털일엽초, 바위채송화 등 건조한 곳에서 잘 자라는 식물들이 주종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었다. 1평방제곱미터 방형구내에 분포하고 있는 둥근잎꿩의비름수는 대체로 10여 개체 안팎으로 그 피복도도 20% 미만이었다. 한편, 둥근잎꿩의비름의 생육은 자생지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 PDF

도입 베치 품종 및 한국 야생종의 생육특성과 수량 (Forage Performance of Introduced Vetch Cultivars and Korean Native Vetch)

  • 신정남;김동암;김용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1-258
    • /
    • 2000
  • 본 시험은 호주에서 도입된 베치 품종과 우리나라 야생종베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건물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1998년 8윌부터 1999년 5월까지(1년차)와 1999년 9월부터 2000년 4월까지(2년차) 경북 경산 계명문화대학 실습목장에서 수행되었다. 월동륜은 가을 l차 예취구에서 Haymaker plus, Cappelo 및 Namoi가 각 26, 12 및 3%였고 가을에 예취를 하지 않은 구에서는 Haymaker plus와 Cappelo가 100%였고 Namoi가 70%였으며 Popany 와 Victa는 월동되지 못했다. 2년차 시험에서는 Aneto common을 제외하고 Haymaker plus, Namoi, Cappelo, 자운영 및 야생헤어리베치는 월동이 잘 되었다. 1년차 시험에서 50% 개화기는 Namoi가 4월 23일, Cappelo가 4월 24일, Haymaker plus가 4월 26일 이었다. 2년차 시험에서 50% 개화기는 Namoi와 Cappelo가 4월 12일 Haymaker plus가 4월 14일, 자운영이 4월 23일, Aneto common와 야생헤어리베치가 4월 30일 이었다 l년차 시험에서 건물수량은 Haymaker plus가 가장 높았으며(P<0.05), Cappelo와 Namoi는 Popany와 Victa보다 많았다(P<0.05). 2년차 시험에서는 Namoi, Haymaker plus, Cappelo 및 야생헤어리베치가 자운영이나 Aneto common보다 많았다(P<0.05). 조단백질의 함량은 비교적 높았으며 자운영과 Aneto common은 다른 베치 품종에 비하여 다소 낮았다. ADF 함량도 자운영이 낮았고 다른 베치 품종간에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 파종용 베치 품종은 Haymaker plus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젠스 젠슨(Jens Peter Jensen)의 자연주의적 조경양식 및 표현특성 (Jens Jensen's Naturalistic Landscape Style and Its Expression Characteristics)

  • 박은영;이형숙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61-6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환경보전주의자이자 자연주의적 조경양식을 개척하였던 미국 조경가 젠스 젠슨의 생애와 철학, 작품분석을 통해 그의 디자인 철학과 표현양상을 분석하고 오늘날의 조경사적 의의를 알아보는 것이다. 시카고 녹지체계 및 콜럼버스, 험볼트, 가필드, 더글러스 공원 등 주요 작품들을 분석한 결과, 미국 중서부 지역고유의 자연환경에서 영감을 받아 곡선과 원형 등의 자유로운 형태를 사용하였으며, 재료면에서는 자생종의 식재, 지역재료의 사용이 특징적이었다. 또한, 시간의 흐름과 경관의 변화, 변하는 계절과 빛에 집중하여 감성적인 표현양상을 보였다. 젠슨의 조경사적 의의를 정리하면, 첫째, 프레어리 스타일의 조경가로서 지역주의 및 자연주의 조경양식을 확립하고 이러한 정신을 확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둘째, 초기 보존주의자로서 지역고유 경관의 보존과 이에 대한 교육을 조경의 중요한 가치라고 생각했다. 셋째, 사회개혁가로서 민주적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도시민들을 위한 공원체계 확립, 도시민과 아이들의 일상적 자연과의 접촉, 체험, 교육을 위한 공간 조성을 강조하였다. 젠슨의 자연주의적 조경양식과 실천적 보존주의적 디자인 철학과 비전은 오늘날 조경분야의 핵심과 본질을 확인하고 미래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한국(韓國) 황염(黃染) 연구(硏究) (The Study of Korean Yellow Dyeing)

  • 이양섭
    • 복식
    • /
    • 제4권
    • /
    • pp.13-24
    • /
    • 1981
  • The color yellow was considered from ancient time to the Chosun Dynasty as the central color. Thus, this color became the royal color for the costumes in the palace. It is generally known to usthat the color yellow was controled in use both for the general public and in the royal palaces. However, in the later part of Chosun Dynasty, the color yellow was used not only for the king's costumes but also used for women's tops and for the linings of clothing. Especially, in some of the costumes that belonged to the lat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we can still see lots of bright yellow tops. Also there are many green dyed official robes and various costumes for women. It is a true fact that people could not derive the color green from the plants as they did with yellow. The only way they could make the color green was to mix indigo and yellow together. By repeating the difficult process of making various dyes constantly during many centuries, the Korean people developed the marvelous technique of making natural color. Those plants used to make the color yellow are ; Gardenia, Phellodendron amurense, Turmeric, Coptis, Safflower, Arthraxon hispidus, Styphnolobium japonicum. While synthetic dye causes pollution, natural coloring by plants is as safe and useful as the color itself is lovely. Yet it is tragic to know that this traditional culture of making beautiful natural colors was cut off. There is no way to know today the traditionally correct method to derive colors from the plants. Therefore, it is our aim and challenge to find out the original way to dye and develop it and preserve it as our non-polluted folk art. In regard to natural dyeing, we must say that is very difficult to prepare and preserve natural dyes. In the first place, people had to get the right plants at an appropriate time. Then they could not keep those plants too long. Finally, much depended upon the mordant as well as various conditions and dyeing procedures. All those things influenced greatly the quality of color, some times producing a very pretty color and other times a very dull one. It is very appropriate that the natural dye art should be recognized and appreciated anew by Korea since it provides satisfaction to historical and folk artistic demands as well as to those of fashion conscious modern society for high quality consumption items. We propose two stages of development. The first stage is to explore native dye plants and encourage their cultivation. The second stage is to extract from the plants desirable dye which will enhance national culture.

  • PDF

제주지역 사찰음식으로 이용되는 식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ts Used as Temple Food in Jeju Island)

  • 송정민;양효선;선병윤;김철환;도선길;김영주;송관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5-472
    • /
    • 2012
  •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사찰에서 음식으로 이용되는 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5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수행되었다. 조사대상 사찰은 36개 사찰이었고 설문대상자는 58명이었다. 사찰에서 이용하는 식물종은 27과 51속 55종 2변종 총 57분류군이었다. 이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과단위 분류군은 국화과가 8종으로 가장 많고, 십자화과 6종, 산형과 4종 등의 순이었으며, 목본 식물은 10종, 제주지역 자생식물은 25종이었다. 식물체의 이용부위는 잎을 사용하는 종이 19종으로 가장 많았고, 뿌리, 어린순, 열매 순 이었다. 특허검색을 통한 지식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식물은 조사식물 대부분이 포함되었고, 이 중 식품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 48종, 화장품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것이 34종, 의약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 38종으로 집계되었다. 제주지역 사찰 음식에 사용하는 식물재료의 구입 및 조달 방법은 주변의 식물 활용보다는 시장 또는 재배에 의존하고, 산나물 채취에 의한 사용은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제주 생물자원의 이용에 대한 전통지식의 수집은 사찰 보다는 다른 조건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