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CA0012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3초

수정 Sonic Arc 익형의 저속 공력특성 (Low Speed Aerodynamic Characteristic of Modified Sonic Arc Airfoil)

  • 이장창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9-145
    • /
    • 2012
  • 천음속 영역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수정 Sonic Arc 익형의 저속 공력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 익형은 Schwendenman이 제안한 sonic arc 형상 함수와 NACA0012 형상 data 그리고 상용 프로그램 Maple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수정 Sonic Arc 익형의 저속공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마하수 0.3 이하에서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NACA0012 익형의 저속 공력성능과 비교분석하였다. 각 마하수에서 수정 sonic arc 익형의 항력은 NACA0012의 항력보다 약 1.5% 정도 작게 나타났으며, 양력 비교에서도 수정 Sonic Arc 익형의 양력은 NACA0012의 양력보다 약 2% 정도 일정하게 작게 나타났다. 또한 각 마하수에서 수정 Sonic Arc 익형의 모멘트 계수는 NACA0012의 값보다 약 1.4% 정도 작게 나타났다.

지면효과를 받는 NACA0012 익형주위 유동장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Flowfields Over a NACA0012 Airfoil with Ground Effects)

  • 조정현;김윤제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29-34
    • /
    • 2001
  •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a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w field over a NACA0012 airfoil with ground effects. In experiment, the ground is simulated by a moving belt system.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velocity gradient over the ground plane causes the increments in pressure coefficient on lower surface of the airfoil and reduces the suction peak at the leading edge.

  • PDF

수정 Sonic Arc 익형의 공력성능 (Aerodynamic performance of Modified Sonic Arc Airfoil)

  • 이장창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581-585
    • /
    • 2007
  • TSD 이론으로 구해진 sonic arc 익형의 형상을 새로운 익형 형상으로 수정하고 천음속 유동에서의 공력 성능을 조사하였다. Euler solver를 이용하여 수정 sonic arc 익형에 대한 수치계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NACA0012 익형의 공력 성능과 초임계 익형의 공력 성능 그리고 NACA64A210 익형의 공력성능과 비교하였다. 천음속 유동의 같은 자유 유동 마하수에서 수정 sonic arc 익형의 압력 항력은 NACA0012 익형의 압력 항력보다 더 작게 나타났으며 수정 sonic arc 익형의 양항비는 NACA0012 익형의 양항비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다. 천음속 유동에서의 항력 발산 마하수 비교에서는 수정 sonic arc 익형의 항력 발산 마하수가 NACA64A210 익형의 항력 발산 마하수보다는 크게 나타났지만 초임계 익형의 항력 발산 마하수 보다는 작게 나타났다.

마이크로 리블렛이 부착된 NACA0012 익형의 항력 감소 연구 (Drag Reduction of NACA0012 Airfoil with a Flexible Micro-riblet)

  • 장영길;이상준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79-482
    • /
    • 2002
  • Riblets with longitudinal grooves along the streamwise direction have been used as an effective flow control technique for drag reduction. A flexible micro-riblet with v-grooves of peak-to-peak spacing of $300{\mu}m$ was made using a MEMS fabrication process of PDMS replica. The flexible micro-riblet was attached on the whole surface of a NACA0012 airfoil with which grooves are aligned with the streamwise direction. The riblet surface reduces drag coefficient about $7.9{\%}\;at\;U_o=3.3m/s$, however, it increases drag about $8{\%}\;at\;U_o=7.0m/s$, compared with the smooth airfoil without riblets. The near wake has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far the cases of drag reduction ($U_o\;=\;3.3 m/s$) and drag increase ($U_o\;=\;7 m/s$). Five hundred instantaneous velocity fields were measured for each experimental condition using the cross-correlation PIV velocity field measurement technique. The instantaneous velocity fields were ensemble averaged to get spatial distribution of turbulent statistics such as turbulent kinetic energy.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smooth airfoil under the same flow condition. The micro-riblet surface influences the near wake flow structure largely, especially in the region near the body surface

  • PDF

보오텍스 방법에 의한 순간 출발하는 2차원 날개 주위의 점성유동 모사 (Simulation of Viscous Flow Past NACA 0012 Poil using a Vortex Particle Method)

  • 이승재;김광수;서정천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161-165
    • /
    • 2004
  • In the vortex particle method based on the vorticity-velocity formulation for solving the Wavier-Stokes equations, the unsteady, incompressible, viscous laminar flow over a NACA 0012 foil is simulated. By applying an operator-splitting method, the 'convection' and 'diffusion' equations are solved sequentially at each time step. The convection equation is solved using the vortex particle method, and the diffusion equation using the particle strength exchange(PSE) scheme which is modified to avoid a spurious vorticity flux. The scheme is improved for variety body shape using one image layer scheme. For a validation of the present method, we illustrate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viscous flow about an impulsively started NACA 0012 foil for Reynolds number 550.

  • PDF

NACA0012 천이 유동의 저속 공력 특성 해석 (LOW-SPEED AERODYNAMIC CHARACTERISTIC OF TRANSITION FLOW OVER THE NACA0012)

  • 전상언;박수형;김상호;변영환;정경진;강인모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
    • /
    • 2010
  • Laminar separation bubble and transitional flow over the NACA0012 are investigated at a moderate range of Reynolds numbers. A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code is coupled with an empirical transition model that can predict transition onset points and the length of transition region. Without solving the boundary layer equations, approximated e-N method is directly applied to the RANS code and iteratively solved together. The computation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for the NACA0012 airfoil. Results of transition onset point and the length are compared well with experimental data and Xfoil prediction. The present RANS results show at high angles of attack better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than Xfoil results using the boundary layer equations.

EDISON_CFD를 이용한 Mach Number에 따른 NACA0012의 항력변화 관찰 (Drag Variation of NACA0012 Depending on Mach Number Using EDISON_CFD)

  • 박종훈;박수형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1회(2012년)
    • /
    • pp.97-100
    • /
    • 2012
  • 항력계수와 양력계수는 각각 항력, 양력을 동압과 에어포일의 코드 길이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항공기의 비행에 있어서 항력과 양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항공기의 속도에 따라 항력과 양력은 크게 변하게 된다. 첫째로 학부과정에서 배운 마하수에 따른 항력계수의 변화, 그 중에서도 마하수 1 이상에서의 항력계수 감소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EDISON_CFD를 이용하여 마하수에 따른 항력계수의 값을 실제로 측정해보고 비교해보았다. 두 번째로는 EDISON_CFD로 측정한 마하수버에 따른 양력계수 값과 앞서 측정한 항력계수 값을 이용하여 NACA0012의 마하수에 따른 양력과 항력의비 (양항비)를 구하여 실제고도에서 비행 시 NACA0012의 적정 효율을 가지는 마하수를 알아보았다.

  • PDF

NACA0012 Airfoil의 받음각과 유동형태에 따른 공력특성 분석 (Aerodynamic analysis of flow type and angle of attack around a NACA0012 airfoil)

  • 윤정노;양승덕;조태현;이도형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1회(2012년)
    • /
    • pp.53-56
    • /
    • 2012
  • 항공기에 작용하는 공기역학적 힘인 양력과 항력은 항공기 날개 설계에서 성능을 좌우하는 성능지수로 주로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NACA0012 airfoil 모델의 공력특성을 EDISON 열유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하 EDISON)을 이용해 분석하고 검증해 보았다. 아음속 유동의 특정 조건에서 받음각과 유동형태에 따른 공력특성 분석을 수행하여 받음각에 따라 변하는 양력계수, 항력계수, 양항비, 실속각과 천음속 유동 조건에 맞추어진 마하수 0.5~1.22 영역에서 변하는 항력계수를 기존 데이터와 비교 검증했다.

  • PDF

Low Speed Thrust Characteristics of a Modified Sonic Arc Airfoil Rotor through Spin Test Measurement

  • Lee, Jang-Ch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3권3호
    • /
    • pp.317-322
    • /
    • 2012
  • The low speed aerodynamic characteristics for a modified sonic arc airfoil which is designed by using the nose shape function of sonic arc, the shape function of NACA four-digit wing sections, and Maple a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small rotor blades of a modified sonic arc and NACA0012 airfoil are precisely fabricat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light aluminum(Al 6061-T6) and are spin tested over a low speed range (3000rpm-5000rpm). In a consuming power comparison, the consuming powers of NACA0012 are higher than that of modified sonic arcs at each pitch angle. The measured rotor thrust for each pitch angle is used to estimate the rotor thrust coefficient according to momentum theory in the hover state. The value of thrust coefficients for both two airfoils at each pitch angle show almost constant values over the low Mach number range. However, the rotor thrust coefficient of NACA0012 is higher than that of the modified sonic arc at each pitch angle. In conclusion,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NACA0012 is better than that of modified sonic arcs in the low speed regime. This test model will provide a convenient platform for improving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small scale airfoils and for performing design optimizatio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