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nitrosamin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4초

한국 재래식 간장의 니트로소화합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N-Nitrosamine of Korean Ordinary Soysauce)

  • 성낙주;황외자;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5-135
    • /
    • 1988
  • 예부터 우리나라 특유의 조미료로 상용되어온 재래식 간장을 제조함에 있어 강한 발암성 물질인 N-nitrosamine(NA)의 생성유래를 밝히고, 나아가서 이들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방안의 일환으로써 몇몇 종의 식품첨가제를 이용하여 N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고, 동시에 NA 생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유리아미노산, dimethylamine(DMA),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변화를 검색하였다. 간장숙성중 DMA 질소는 다소간 불규칙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숙성과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DMA의 억제효과는 ascorbic acid 및 sodium benzoate 처리구가 DMA생성을 숙성초기에 크게 억제시켰으나 숙성말기에는 큰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질산염질소는 간장이 숙성되는 과정중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반면 아질산염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ascorbic acid가 가장 효과적인 식품첨가제였다. N-nitrosodimethylamine (NDMA)은 간장숙성중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대조구의 경우 숙성 30일에 $2.7{\mu}g/kg$, 숙성 90일에 $10.7{\mu}g/kg$검출되었다. 그러나 N-nitrosodiethylamine(NDEA) 및 N-nitrosodipropylamine(NDPA) 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식품첨가제가 NDMA의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시판식염으로 제조한 간장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ascorbic acid 처리구가 $82.2{\sim}87.0%$, sorbic acid 처리구 $25.9{\sim}65.4%$ 및 sodium benzoate 처리구에서는 $13.2{\sim}63.5%$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순 NaCI로 제조한 간장중 NDMA의 함량은 ascorbic acid 처리구가 1.5㎍/㎏이하로서 대조구에 비해 NDMA의 생성이 크게 억제되었다. 간장중에 존재하는 유리아미노산이 NDMA의 생성을 억제시킨다는 것이 본 실험에서 밝혀졌고, 이중 특히 glutamic acid, proline 및 histidine이 주된 아미노산으로 추정되며 모델실험결과 간장중 유리아미노산을 제거할 경우 NDMA의 생성을 30.3%나 촉진시켰다.

  • PDF

다장기 중기발암성 시험법을 이용한 셀렌염의 대장암 억제효과에 대한 연구 (The Chemopreventive Effect of Sodium Selenite on Colon Carcinogenesis in Medium-Term Multi-Organ Bioassay)

  • 한범석;홍충만;신동환;이국경;안병우;장동덕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3-28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sodium selenite in the rat medium-term multi-organ bioassay using a DMBDD model (DEN+MNU+BBN+DMH+DHPN). Seventy five,6-week-old, male SD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e animals in group 1 received DEN(diethylnitrosamine,100 mg/kg bw, single i.p., in saline), MNU (N-methyl-nitrosourea,20 mg/kg bw, i.p.,4 times for 2 weeks), BBN (N-butyl-N-(4-hydroxybutyl) nitrosamine, 0.2% in drinking water for 2 weeks), DMH (1,2-dimethylhydrazine, 40 mg/kg bw, s.c., in saline.4 times (or 2 weeds), and DHPN (N-bis(2-hydroxy-pro-pal)nitrosamine,0.1% in drinking water for 2 weeks), then were placed on sodium selenite (4 ppm in drinking water) for 22 weeks from weeks 4 to 26. The animals in group 2 were given DMBDD alone. The animals in group 3 were given sodium selenite alone. Animals were sacrificed at week 12 for ACF quantitative analysis and at week 26 for tumor induction. The body weights in the group 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group 2. The tumor multiplicities of large intestine in the group 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group 2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dium selenite may have a potential as chemopreventive agents of colon carcinogenesis.

  • PDF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수돗물 중 nitrosamine 화합물 분석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analytical conditions for the determination of nitrosamines in chlorinated tap water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한기찬;김희갑
    • 분석과학
    • /
    • 제23권6호
    • /
    • pp.551-559
    • /
    • 2010
  • 본 연구는 칼럼 전 유도체화와 HPLC-형광검출을 이용해 염소 소독 음용수 중 7가지 nitrosamine 화합물을 분석하는 방법을 추출 과정(액-액 추출 vs. 고상 추출)과 형광 유도체화 과정(denitrosation 및 dansylation)으로 나누어 평가하여 확립하였다. 최적화된 유도체화 방법으로 두 가지의 추출법을 비교하였을 때, Ambersorb 572를 이용한 고상 추출에 대한 회수율과 재현성(상대표준편차, RSD)이 각각 54.4-88.7%와 1.9-19.4%로 액-액 추출의 51.4-87.7%와 4.2-33.3%에 비해 더 좋게 나타났다. 확립된 방법은 기존의 HPLC를 이용한 분석 방법에 비해 회수율과 재현성 모두 개선되었으며, 방법검출한계(method detection limits, MDLs)는 0.5-4.4 ng/L이었다. 이 방법으로 춘천의 염소로 소독하는 두 곳의 정수장과 10 곳의 수도꼭지에서 채취한 물 시료 중 nitrosamine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N-nitrosodimethylamine (NDMA)이 주요 화합물이었으며, 농도 범위는 26.1-112 ng/L이었다.

Ingestion Exposure to Nitrosamines in Chlorinated Drinking Water

  • Kim, He-Kap;Han, Ki-Cha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6권
    • /
    • pp.2.1-2.7
    • /
    • 2011
  • Objectives: N-Nitrosodimethylamine (NDMA) is classified as a probable human carcinogen by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and is formed during the chlorination of municipal drinking water. In this study, selected nitrosamines were measured in chlorinated drinking water collected from Chuncheon, Kangwon-do, Republic of Korea, and a risk assessment for NDMA was conducted. Methods: Twelve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 treatment plants and 10 household taps. Samples were analyzed for 6 nitrosamines via solid-phase extraction cleanup followed by conversion to dansyl derivatives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ion (HPLC-FLD). Considering the dietary patterns of Korean people and the concentration change of NDMA by boiling, a carcinogenic risk assessment from ingestion exposure was conducted following the US EPA guidelines. Results: NDMA concentrations ranged between 26.1 and 112.0 ng/L. NDMA in water was found to be thermally stable, and thus its concentration at the end of boiling was greater than before thermal treatment owing to the decrease in water volume. The estimated excess lifetime carcinogenic risk exceeded the regulatory baseline risk of $10^{-5}$. Conclusions: This result suggests that more extensiv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on nitrosamine concentration distributions over the country and the source of relatively high nitrosamine concentrations.

케일과 신선초 채소즙의 안전성 및 항돌연변이 효과 (Safety Effects against Nitrite and Nitrosamine as well as Anti-mutagenic Potentials of Kale and Angelica keiskei Vegetable Juices)

  • 김종대;이옥환;이종석;정혜연;김보경;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207-121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과 신선초를 착즙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안전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을 비교하였다. 유기농 채소즙의 안전성 측정을 위해 질산염과 아질산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케일즙의 경우 유기농 및 일반농의 함량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신선초즙의 경우 유기농이 일반농보다 질산염 및 아질산염 함량 모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7종류의 니트로사민 모두가 이들 채소즙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니트로사민의 저해물들이 반응하는 위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위액에서의 소화과정 중 질산염과 아질산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유기농 및 일반농 채소즙의 질산염 함량은 인공소화 전보다 후의 함량이 현저히 낮아졌다. 인공 위액계에서 채소즙은 아질산염과 2급 아민에 의해 생성되는 니트로사민의 생성을 오히려 크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질산염과 아질산염을 함유하고 있는 채소즙의 돌연변이 유발 및 저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Ames test를 한 결과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었으며, 유기농 채소즙의 항돌연변이 효과가 일반농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 채소즙의 주재료가 되는 유기농 케일 및 신선초는 질산염, 아질산염 등의 함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소화과정에서 전환되어 니트로사민을 생성하지 않았고 항돌연변이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명태살 튀김 중 NDMA 생성에 관한 연구

  • 김정균;김병진;강영미;엄광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04-105
    • /
    • 2002
  • N-nitrosamine(NA)은 여러 가지 발암성 물질 중에서도 발암력이 매우 강하면서, 각종식품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위, 간, 식도 및 신장 등 신체의 여러 부분에서 발암력을 나타낸다는 점과 nitroso 화합물 중 어떤 물질들은 후손에게까지 악성종양의 유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들을 들 수 있다. nitroso 화합물의 생성은 식품중에 존재하는 아질산염과 제2급아민이나 혹은 제 3급아민과의 상호반응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식품에 있어서 이들의 존재가 상당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중략)

  • PDF

식품을 통한 니트로사민 노출량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N-nitrosamines in Foods)

  • 조천호;박희라;김동술;이광호;김미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41-548
    • /
    • 2010
  • GC/PCI-MS/MS를 이용하여 식육가공품 등 총 154건을 대상으로 니트로사민의 함량을 조사하여 노출량을 평가하였다. 니트로사민의 회수율은 84-112%였고, 검출한계는 0.5 ${\mu}g$/kg 이하, 정량 한계는 1.5 ${\mu}g$/kg 이하의 수준이었다. 니트로사민은 전체 시료 154 건 중 89건이 검출되어 검출율이 58%를 보였으며 이중 전체식품 대비 식육가공품이 27%, 어육가공품이 19%, 젓갈 7%, 주류 및 음료 5%의 검출율을 보였다. 1일 평균 섭취량과 체중을 근거로 전체 인구집단의 니트로사민 인체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평균노출에서 $4.92{\times}10^{-7}$mg/kg b.w./day으로 나타났으며, 노출안전역 (MOE)은 208,939로 위해영향이 거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Streptococcus uberis에 의한 질산염의 환원및 Dimethylnitrosamine의 생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duction of Nitrate and Formation of N-Dimethylnitrosamine by Streptococcus uberis in Human Saliva)

  • 정규찬;김종협;남경수
    • 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13
    • /
    • 1986
  • It has been assumed that nitrite, one of the precursor of N-nitrosamine, in human saliva must have been formed from salivary nitrate through the action of microorganism in the oral cavity. In this paper, we have tested the concentration of nitrite and nitrate in human saliva and the degrees of nitrate reduction by oral microflora and identified some bacteria which were able to reduce nitrate. The concentration of nitrite and nitrate was 1.7~9.5ppm and 9.0~28.5ppm respectively. The numbers of total bacteria and nitrate reducing bacteria in four korean human saliva sample were 15~63${\times}10^8$ CFU and 1.0~6.0${\times}10^8$ CFU and the main nitrate reducing bacteria were Streptococcus uberis which was presented in large quantities and showed remarkable reductive activity. Lastly, we knowed that N-dimethylnitrosamine was formed by the reaction between dimethylamine and nitrite in the presence of St. uberis in vitro.

  • PDF

EI-GC/MS/MS를 이용한 니트로사민류의 수질분석 (Determination of N-nitrosamines in Water by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n Impact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 이기창;박재형;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764-770
    • /
    • 2014
  • 본 연구는 electron impact-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EI-GC/MS)를 이용하여 N-nitrosamines 분석하는 방법의 분리성, 정성 및 정량적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극미량의 검출을 위해 시료전처리는 자동고상추출과 질소농축과정을 거쳐 수행하였다. 표준시료를 전처리 없이 EI-GC/MS (SIM)와 EI-GC/MS/MS (MRM)를 이용하여 직접 분석한 결과, 두 방법 모두 유사한 감응도를 보였다. 반면, 전처리한 표준시료를 EI-GC/MS로 분석한 경우 불순물 피크에 의한 간섭영향에 의해 낮은 ng/L 수준의 정량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8종의 N-nitrosamines에 대한 EI-GC/MS/MS 분석결과, 방법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76~2.09 ng/L, 2.41~6.65 ng/L 수준으로 기존 분석방법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첨가농도 10, 20, 100 ng/L에 대한 실험에서 정밀도(1.2~13.6%)와 정확도(80.4~121.8%) 모두 만족하였으며, 검량선의 직선성에 대한 결정계수($R^2$)도 0.999 이상이었다. 환경시료에 대한 대체표준물질(NDPA-$d_{14}$)의 회수율도 86.2~122.3%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평가된 방법으로 N-nitrosamines의 정밀분석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N-Nitrosamine과 단순포진성 바이러스가 햄스터의 구강암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Combined Effect of N-Nitrosamines and Herpes Simplex Virus on Oral Carcinogenesis in Hamsters)

  • JP Ho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5권1호
    • /
    • pp.125-132
    • /
    • 1991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simulated snuff dipping in conjunction with type I herpes simplex virus (HSV-1) induced oral malignant changes in hamsters.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arcinogenic effect of tobacco specific-N-nitrosamines (TSNAs) and HSV-1, alone or in combination, in hamsters. Hamsters were divided into 6 groups and the right buccal pouch mucosa were treated as follows: Grp 1, Control (Mock inoculation) [MI]+Topical Application [TA] of mineral oil[MO] : Grp 2, TA of 1% n'- nitrosonornicotine [NNN] + IM: Grp3, TA of 1% 4-N-nitrosomethylamino-1- (3-pyridyl)-1-butanone [NNK] + MI: Grp 4, HSV-1 inoculation [HI]+TA of MO : Grp 5, TA of 1% N-nitrosonornicotine [NNN] + HI: Grp 6, TA of 1% NNK + HI. TA of MO or TSNAs was initiated 1 day after the MI or HI and given 3 times per week for 20 consecutive weeks. At the buccal pouches were fixed for light microscope examination. No animal s developed tumors or malignant histopathologic changes in the mucosa of the buccal pouches. These data indicate that individual TSNAs, alone or in conjunction with HSV-1 infection, do not develop malignant changes in hamster buccal pouch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