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exane

검색결과 1,198건 처리시간 0.025초

환경시료 중 폴리브롬화비페닐에테르(Polybrominated Biphenyl Ethers) 분석법 (Analytical Method of Polybrominated Biphenyl Ethers(PBDEs) in Environmental Samples)

  • 김태승;황승율;신선경
    • 분석과학
    • /
    • 제15권4호
    • /
    • pp.346-359
    • /
    • 2002
  • 최근 새로운 환경오염물질로 부각되고 있는 미규제 오염물질 중 브롬화 난연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PBDEs에 대한 환경시료 중의 분석법을 확립하기 위해 표준물질이 준비된 PBDEs 40종을 대상으로 전처리 회수율 및 검출한계를 산정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환경시료는 PBDE 및 TBBPA의 사용량이 많은 지역의 수질 및 토양시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GC/MS을 이용한 PBDEs의 검출한계는 수질 시료가 5.0~10.0 pg/L로 나타났으며, 토양시료는 0.5~2.0 ng/g 이었다. 수질시료의 용매별 추출효율은 디에틸에테르를 제외한 단일용매의 경우에는 에틸아세테이트, n-헥산 및 디클로로메탄 등의 평균회수율이 89~98%로 나타났으며, 이들 용매의 20% 아세톤 혼합용매의 평균회수율이 89~103%로 나타내났다. 속실렛 추출법에서는 브롬화 정도 및 브롬의 치환 위치에 따라 회수율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아세톤:n-헥산(1:1)이 아세톤:디클로 로메탄(1:1)의 경우보다 추출 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용매 추출법에 의한 분해경유중의 방향족 분리 -추출상중의 방향족의 역수출- (Separation of Aromatics in Light Cycle Oil by Solvent Extraction - Re-extraction of Aromatics in Extract Phase -)

  • 김수진;김덕현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967-972
    • /
    • 1997
  • 접촉분해경유(LCO)와 dimethylsulfoxide(DMSO)수용액의 평형추출로부터 얻어진 추출상을 원료로 사용한 역추출에 의해 추출상중의 방향족의 회수를 검토했다. 역추출 용매의 선정을 위해, Benzene, Toluene, m-Xylene(mX), n-Hexane(Hx)과 n-Octane(Ot)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상-용매간의 분배평형을 측정한 결과, 추출상중의 방향족의 회수면에서 Hx이 가장 적절한 용매이었다. 또, Hx을 용매로 사용하여 평형 역추출을 행해 방향족의 회수에 대한 조작인자의 영향을 검토했다. 방향족에 대한 분배계수는 용매/원료(추출상) 질량비(S/F)(S/F를 변화시켜 얻어진 추잔상 혹은 추출상중의 질량분율)에 관계없이 일정했으나 수율은 S/F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다. 조작온도는 방향족의 분배계수와 수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나프탈렌류 성분(탄소수:10~12)간에는 탄소수가 많을수록 분배계수 및 수율이 컸다. 또한, 회분 교반조를 사용하여 역추출을 행해 방향족 성분의 물질이동 속도를 측정했다.

  • PDF

강우시 산업단지에서의 오염물질 유출특성 (Characterization of Stormwater Pollutants Runoff in Industrial Complex)

  • 박기웅;이준호;최종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41-353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단지 유역에서 강우시 유출수를 조사하여 수질변동과 초기유출 특성 등 오염물질 유출특성을 파악함에 있다. 조사대상유역은 청주산업단지내 유역특성이 상이한 8개 소유역을 선정하여 1997년 6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분석항목은 $BOD_5$, COD, SS, $NO_3-N$, TKN, $PO_4-P$, TP, n-Hexane 추출물질, Cr, Cu, Pb, Fe 등 중금속이다. 강우시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유출수의 농도범위는 $BOD_5$, COD, SS, $NO_3-N$, TKN, $PO_4-P$, TP, n-Hexane 추출물질 Cr, Cu, Pb, Fe에 대해 각각 2~324 mg/L, 5~810 mg/L, 1~1.110 mg/L, 0.01~10.89 mg/L, 0.1~59.8 mg/L, 0.08~7.02 mg/L, 0.1~7.8 mg/L, 0.1~1,723.6 mg/L, 0.001~0.363 mg/L, 0.001~0.488 mg/L, 0.001~1.28 mg/L, 그리고 0.26~18.91 mg/L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초기유출현상에 대하여 수량화하였으며, 불투수층면적 비율이 증가할수록 초기유출현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포화탄화수소의 탈수소고리화 반응에 관한 촉매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atalytic Property of Pt/γ-Al2O3 on the Dehydrocyclization of Paraffins)

  • 이상화;이호인
    • 공업화학
    • /
    • 제4권3호
    • /
    • pp.569-575
    • /
    • 1993
  • 담지된 백금촉매에 주석의 첨가는 포화탄화수소의 탈수소고리화 반응에 대한 촉매의 활성 및 안정도의 현저한 증가를 가져왔다. n-octane의 탈수소고리화 반응에서 0.75wt%의 Pt에 대해 주석의 몰비가 약 4일 때 가장 높은 촉매적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K의 첨가도 n-hexane의 탈수소고리화 반응에 대해 주석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n-octane의 전환반응의 경우에는, K의 첨가 효과가 적게 나타났다.

  • PDF

Binary Cure Systems of 1,6-Bis(N,N'-dibenzylthiocarbamoyldithio)-hexane and Benzothiazole Sulfenamides in Carbon Black-filled Natural Rubber Compounds

  • Choi, Sung-Seen;Park, Byung-Ho;Lee, Seung-Goo;Kim, Beom-Ta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2호
    • /
    • pp.320-324
    • /
    • 2002
  • Binary cure system is composed of different two cure accelerators, which can cause a synergy effect to delay the scorch time and to increase the cure rate. In this study, binary cure systems between 1,6-bis(N,N'-dibenzylthiocarbamoyldithio)-hexane (DBTH) and benzothiazole sulfenamides were investigated using carbon black-filled natural rubber compounds. N-Cyclohexyl-2-benzothiazole sulfenamide (CBS), N-tert-butyl-2-benzothiazole sulfenamide (TBBS), and 2-(morpholinothio) benzothiazole (MOR) were employed as benzothiazole sulfenamides. The binary cure systems show scorch safty at high temperature. The binary cure systems have faster cure rate and better reversion resistance than the single cure system of the benzothiazole sulfenamides. DBTH i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o decrease the viscosity of a compound than the benzothiazole sulfenamides. Physical properties of the vulcanizates with the binary cure system are better than those of the vulcanizates with the single one.

관중, 참지네고사리 및 더부살이고사리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Fractions Obtained from Dryopteris crassirhizoma, D. nipponensis and Polystichum lepidocaulon)

  • 김나래;권혁준;조주성;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6-183
    • /
    • 2012
  • 본 연구는 면마과에 속한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참지네고사리($Dryopteris$ $nipponensis$) 및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의 성엽을 용매별로 분획 추출한 다음 각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여 천연 항산화 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관중의 n-butanol 분획물(550.0 $mg{\cdot}g^{-1}$), 참지네고사리의 ethyl acetate 분획물(374.8 $mg{\cdot}g^{-1}$), 더부살이고사리의 n-butanol 분획물(781.8 $mg{\cdot}g^{-1}$)에서 가장 많았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관중의 chloroform 분획물(72.9 $mg{\cdot}g^{-1}$), 참지네고사리와 더부살이고사리의 n-hexane 분획물에서 각 72.9, 154.5 $mg{\cdot}g^{-1}$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많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관중과 더부살이고사리의 n-butanol 분획물($RC_{50}=0.02$와 0.04 $mg{\cdot}mL^{-1}$)과 참지네고사리의 water 분획물($RC_{50}=0.01mg{\cdot}mL^{-1}$)에서 가장 높았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관중의 n-hexane과 n-butanol 분획물(각 $RC_{50}=0.02mg{\cdot}mL^{-1}$), 참지네고사리의 ethyl acetate 분획물($RC_{50}=0.03mg{\cdot}mL^{-1}$) 및 더부살이고사리의 n-butanol 분획물($RC_{50}=0.06mg{\cdot}mL^{-1}$)에서 가장 높았다. 연구의 결과, 관중과 더부살이고사리의 n-butanol 분획물은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많으며 radical 소거활성이 높았으므로 각 분획층의 유용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하여 이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Phase Behavior of Poly(ethylene-co-norbornene) in $C_6$ Hydrocarbon Solvents: Effect of Polymer Concentration and Solvent Structure

  • Kwon, Hyuk-Sung;Lee, Sang-H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231-235
    • /
    • 2003
  • Phase behavior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accomplishing homogeneous copolymerization to obtain high yield of copolymers and prevent a fouling problem. Cloud-point data to $160^{\circ}C$ and 1,450 bar are presented for five $C_6$ hydrocarbon solvents, normal hexane, 2,2-dimethyl butane, 2,3-dimethyl butane, 2-methyl pentane, and 3-methyl pentane, with poly(ethylene-co-53 mol% norbornene) ($PEN_{53}$). The pressure-concentration isotherms measured for $PEN_{53}$/n-hexane have maximums that range between 5 and 12 wt% $PEN_{53}$. The cloud-point curves for $PEN_{53}$ all have negative slopes that decrease in pressure with temperatures. The single-phase region of $PEN_{53}$ in n-hexane is larger than the regions in 2,2-dimethyl butane, 2,3-dimethyl butane, 2-methyl pentane, and 3-methyl pentane. The cloud-point curve of $PEN_{53}$ in 2,2-dimethyl butane is located at higher temperatures and pressures than the curve in 2,3-dimethyl butane due to the reduced dispersion interactions with and limited access of 2,2-dimethyl butane to the copolymer. Similar cloud-point behavior is observed for $PEN_{53}$ in 2-methyl pentane and 3-methyl pentane.

오동나무 잎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 사전령;김진규;권동주;배영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16-23
    • /
    • 2005
  • 강원대학교 구내림에서 오동나무 잎을 채취하여 아세톤-물(7:3, v/v)로 추출하고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acetate 및 $H_2O$ 등 네 개의 분획으로 분리한 후 에틸아세테트용성 분획물을 Sephadex LH-20으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용리용매는 메탄올 수용액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flavonoid류 화합물인 (+)-catechin, (-)-epicatechin, apigenin, luteolin, taxifolin과 phenolic acid류 화합물인 $\rho$-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및 $\rho$-coumaric acid를 단리 하였다. 단리된 화합물은 NMR 및 M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 PDF

HPLC를 이용한 사과, 감귤, 배추, 고추 중 살균제 Cyprodinil의 분석법 확립 (Establish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Cyprodinil Residue In Apple, Mandarin, Korean Cabbage and Green Pepper)

  • 이혜리;류명주;김은혜;문준관;도정아;오재호;권기성;임무혁;이영득;김정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71-380
    • /
    • 2010
  • 본 연구는 살균제 cyprodinil의 잔류분석을 대부분의 해당 농작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대표 작물을 선발하고, 회수율을 포함한 분석법 검증을 통하여 cyprodinil의 단성분 정밀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대표 작물로는 사과, 감귤, 배추, 고추를 선정하였고, 마쇄한 농작물 시료에 acetonitrile을 가한 후 진탕하여 잔류물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감압농축 한 뒤, 농축물을 포화식염수와 증류수로 희석하고 n-hexane으로 분배하였다. 분배액을 농축하고 ethyl acetate:n-hexane 혼합액(15:85, v/v)으로 용리하는 silica gel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 후, 농축하여 HPLC로 분석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Cyporidnil의 정량한계(LOQ : limit of quantitation)는 5 ng(S/N>10) 이었고, 분석정량한계(MQL : method quantitation limit)는 0.05 mg/kg이었다. 무처리 시료에 cyprodinil 표준용액을 3수준(MQL, 10MQL과 100MQL) 3반복으로 처리하여, 확립된 전체 분석과정을 이용하여 회수율을 산출한 결과는 82.0~108.2%이었으며, 농산물 시료에 관계없이 반복 간 분석오차는 10% 미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