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 releasing rat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7초

Oxime Generation of Silk Fibers by Hydroxlammonium choride treatment

  • Bae, Do-Gyu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6-121
    • /
    • 1999
  • This study was aimed to explain the essence of Hydroxylammonium hydrochloride(H.A.) effect on degummed silk fiber increasing the colour sites due to oxime generating reaction. H.A. in aqueous solution caues to increase the amount of [H+] and reduce pH values as the concentration of H.A. increases. The rate of [H+] absorption of silk fiker in acidic solution differs on the basic of solution pH and shows a specific uptake in each pH, the lower the pH of solution, the higher the amount [H+] absorption. The pH of solution after treating of silk fiber in H.A. and HCl, showed more remaining [H+] in H.A. solution due to [H+] releasing under the procedure of oxime production. Also it was revealed that in higher concentration of H.A. the reaction for oxime fixation in silk fiber carried out stonger and as a result the bigger gap with acid uptake curve appeared. FT-IR analysis of silk fiber treated with H.A. revealed the creating of intermolecular H-bond at the 2,981-2.930 cm-1, which was not appeared for nontraeted silk fibers and shows H-bond between N-OH group in oue chain and C=) group in another chain of silk protein. Colourimetry of dyed silk fiber after H.A. tratment showed that the silk fiber treated with the high concentration of H.A. compare to low concentration, absorbed more dyeing molecules and so Showed less percontage of Whiteness.

  • PDF

폐지섬유를 이용한 완효성 요소비료의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Slow-Released Nitrogen Fertilizer Using Waste Paper Slurry)

  • 김복진;백준호;이병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9-113
    • /
    • 2000
  • 폐지섬유 내로 요소를 침적시켜 폐지섬유 내에 침투된 요소성분이 토양 중에서 서서히 용출됨으로써 작물의 요구에 알맞게 양분을 서서히 공급함과 동시에 이들 폐지섬유도 분해되도록 개발된 완효성 요소비료(시제품)의 화학적 특성, 미세구조 및 수중 질소용출량을 조사한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시제품의 화학적 조성은 질소가 26%, 인산, 가리는 각각 0.04. 0.01%였으며, 함유된 유해성분들 중에 크롬, 구리 납 등은 검출되었지만 비료공정규격 이하였으며, 비소와 카드뮴은 검출되지 않았다. 폐지섬유와 시제품의 구조를 주사전자 현미경(SEM)으로 확대해 보면 폐지섬유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보이지만, 시제품에서는 폐지섬유의 셀룰로오스성 -OH기에 극성의 요소성분이 달라붙어 있었으며, 세포벽에 요소가 침적된 모습이 보인다. 시제품의 수중 질소용출량은 12시간까지는 60.4%로 급격하게 용출량이 많았으나, 그 후 서서히 용출되어 72시간에 75%까지 용출되었다.

  • PDF

흰쥐에서 내측 편도핵의 손상이 염산 자극에 의한 췌장 외분비에 비치는 영향 (Effect of Damage to Medial Amygdaloid Nucleus on Pancreatic Exocrine Secretion Stimulated by Hydrochloric Acid in the Rat)

  • 김명석;윤신희;한상준;김미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2권2호
    • /
    • pp.273-280
    • /
    • 1988
  • 본 연구는 십이지장내 생리 식염수와 0.01 N HCl을 주입했을때 내측 편도핵의 손상이 췌액 분비와 혈장 secretin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44마리의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다. 그 중 21마리의 흰쥐는 뇌정위 고정장치에 의해 내측 편도핵에 삽입된 전극을 통해 양측성으로 내측 편도핵을 파괴한 내측 편도핵 손상군이고, 나머지 23마리는 편도핵의 손상없이 동일한 수술 조작만을 가한 수술 대조군이다. urethan 마취후에 십이지장 근위부에 위치한 관을 통해 십이지장 내강에 0.01 N HCl 또는 생리 식염수(0.9% NaCl)를 0.18ml/min 속도로 주입하면서 20분간 췌액을 채취하였다. 췌액 체취후 복대동맥에서 채혈하여 혈장 secretin농도를 측정하였다. 내측 편도핵 손상군에서 십이지장내 생리 식염수는 물론 0.01 N HCl 주입에 의한 췌액량은 수술 대조군의 것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내측 편도핵 손상군의 췌액내 단백질량은 생리 식염수 주입시 수술대조군의 것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0.01 N HCI 주입시에는 유의하지는 않지만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기초상태 및 염산 자극에 의한 혈장 secretin 농도는 내측 편도핵의 손상에 의하여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내측 편도핵은 기초 상태 및 염산 자극에 의한 췌액의 분비에 촉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나, secretin 분비기전이 이 촉진 영향에 관련되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 PDF

미국선녀벌레 천적인 선녀벌레집게벌 대량사육 체계 (Mass rearing system for Neodryinus typhlocybae(Hymenoptera: Dryinidae)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of Metcalfa pruinosa)

  • 서미자;김정환;노현정;서보윤;조점래;박홍현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423-432
    • /
    • 2022
  • 미국선녀벌레 생물적 방제를 위한 기생성 천적인 선녀벌레집게벌 대량사육 체계를 구축하였다. 선녀벌레집게벌 고치 생산은 기주인 미국선녀벌레 약충밀도와 기주식물의 재식밀도에 따른 차이를 보였지만, 뽕나무 기주식물 잎당 평균 5~8개, 주당 평균 70~150개가 생산되었다. 선녀벌레집게벌 암컷 평균 고치 길이는 6.01~6.46 mm, 수컷은 4.20~4.62 mm로 암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우화 전 고치상태에서의 암수 구분으로 선녀벌레집게벌을 효과적으로 방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야외조건에서 선녀벌레집게벌 기생률은 평균 13~17%로, 방사 마리수에 따른 기생률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방사 마리수가 많을수록 미국선녀벌레 개체군밀도증가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선녀벌레집게벌의 성비나 이화성은 기주의 영기에 따라 달라졌다. 기주의 영기가 낮을수록 이화성 비율이 증가했고, 4~5령 약충에 기생시 암컷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대량사육 시 개체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돈분뇨 부숙과정에서 Struvite 결정체 형성에 따른 퇴비특성 변화 (Changes of Compost Quality by the Formation of Struvite Crystal During the Composting of Swine Manure)

  • 이진의;라창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249-254
    • /
    • 2009
  • 돈분뇨 부숙과정에서의 Mg원 첨가에 따른 MAP 크리스탈 결정체 형성과 부숙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돈분뇨내 수용성인산 기준 1.2M비로 Mg원을 첨가하여 부숙시킨 경우와 첨가하지 않고 부숙한 경우를 비교하여 실험한 결과 Mg원 첨가에 의한 부숙과정에서의 유기물분해 저해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Mg원을 첨가한 경우 분뇨 내 $NH_4$$PO_4$가 함께 반응하여 MAP 크리스탈 결정체를 형성함에 따라 $NH_4$-N의 함량이 낮아졌으며 이는 부숙과정에서의 암모니아 가스 형태로의 질소소실을 낮추어주는 결과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수용성인의 함량 또한 Mg원을 첨가한 경우에 낮아져 최종 부숙퇴비의 총인중 수용성인의 비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부숙과정에서의 Mg원 첨가는 최종 부숙퇴비의 비료성분 보존과 완효도 증가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종퇴비의 X-Ray Diffraction 시험결과 부숙과정에서 MAP 결정체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으며 2.8 mm 이하의 입자크기에서 형성된 결정체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입자크기별 질소와 인 성분 분포율을 비교한 결과 2.8 mm 이하의 입자크기에 질소와 인성분의 2/3 이상이 분포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과배란유도시 난소낭종의 크기에 따른 임상적 반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linical Response to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According to the Size of Baseline Ovarian Cyst)

  • 이용석;정병준;이상훈;허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3호
    • /
    • pp.355-362
    • /
    • 1999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response to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according to the size of baseline ovarian cyst. Method: From February 1992 to March 1999,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of 272 cases who underwent COH using mid-luteal phase long protocol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GnRH-a) for IVF-ET. These cas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 group 1 (n=63) had cysts with mean diameters between 20.0 and 29.0 mm on their baseline ultrasound on cycle day 3, group 2 (n=57, $30.0{\sim}49.0mm$), group 3 (n=68, >50.0 mm) and control group (n=84). Cases were exclud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pure male factor infertility, the presence of only one ovary, high CA-125 level and previous endometriosi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ases with baseline ovarian cyst <50.0 mm in diameter and control group in any of the parameters. However, cases with baseline ovarian cyst>50.0 mm in mean diameter needed more amount of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hMG), showed significantly lower estradiol ($E_2$) level, the number of follicle >15.0 mm on the day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administration,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the number of mature oocytes, and pregnancy rat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ases with baseline ovarian cyst <50.0 mm in diameter do not adversely impact on IVF-ET outcome. However, cases with baseline ovarian cyst >50.0 mm in diameter had adverse effects on various parameters. Therefore, to improve the outcome of IVF-ET in these cases, ovarian cyst aspiration prior to initiating COH may be required.

  • PDF

Alterations in uterine hemodynamics caused by uterine fibroids and their impact on in vitro fertilization outcomes

  • Moon, Jei-Won;Kim, Chung-Hoon;Kim, Jun-Bum;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2권4호
    • /
    • pp.163-168
    • /
    • 2015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ibroids on the blood flow of the uterine and subendometrial arteries and in vitro fertilization (IVF) outcomes. Methods: In this study, we analyzed 86 IVF/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cycles in which a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tagonist protocol was used for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between January 2008 and March 2009. The subjects comprised 86 infertile women with (fibroid group, n=43) or without (control group, n=43) uterine fibroids. Results: Patient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between the fibroid and control groups. The IVF/ICSI outcomes in patients with fibroids were similar to those of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resistance index (RI) and pulsatile index (PI) of the uterine and subendometrial arteries on the day of embryo transfer were also comparable between the two groups. IVF outcomes and uterine hemodynamics in patients with multiple (${\geq}2$) fibroids were similar to those of patients with a single fibroid. However,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fibroids who experienced uterine cavity distortion than in patients with fibroids who had a normal uterine cavity (both p<0.05). The RI and PI of the subendometrial artery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day of embryo transfer in patients with fibroids who experienced uterine cavity distortion than in patients with fibroids who had a normal uterine cavity (both p<0.05). Conclusion: Fibroids which distorting the uterine cavity might impair the subendometrial artery blood flow clinical pregnancy rate and embryo implantation rate in infertile patients undergoing IVF. Otherwise, IVF outcomes were not influenced by the presence of uterine fibroids.

Effect of Protein Sources on Rumen Microbial Protein Synthesis Using Rumen Simulated Continuous Culture System

  • Joo, J.W.;Bae, G.S.;Min, W.K.;Choi, H.S.;Maeng, W.J.;Chung, Y.H.;Chang, M.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326-331
    • /
    • 2005
  • A rumen simulated continuous culture (RSCC) system was used to study the influence of supplementation of the three different types of protein sources such as urea, casein and soy protein on rumen microbial synthesis in terms of rumen microbial synchronization. The urea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pH value.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was rapidly increased after feeding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urea treatment (13.53 mg/100 ml). Protozoa numb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soy protein and casein treatment compared to urea treatments during incubatio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VFA (mMol) was not detec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but iso-butyrate production showed the highest for soy protein treatment among treatments (p<0.001). The lowest concentration in total iso-acids (iso-butyrate and iso-valerate) production was observed in urea treatment. The soy protein treatment showed no significantly change in acetate/propionate. The amounts of dry matter (DM) out flow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Organic matter (OM) flow was the highest for urea treatments and the lowest for casein treatment (p<0.03). The nitrogen flow for casein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treatments. The efficiency of microbial protein synthesis in terms of microbial nitrogen (MN) synthesis (g MN/kg ADOM) digested in the rumen was highest for casein treatment (58.53 g MN/kg ADOM) compared to soy protein and urea (p<0.05). This result suggests that rumen ammonia releasing rate may influence on microbial protein synthesis in the rumen.

벼 재배양식에 따른 유효성 비료의 시용량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low-release Fertilizer Levels of Rice in Different Cultural Methods)

  • 정진일;최원영;최민규;이선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47-756
    • /
    • 1995
  • 본 시험은 호남영농시험장 수도포장인 미사질토양에서 만금벼를 공시하여 건답직파재배와 어린모기계이앙 재배에서 완효성 비료와 속효성 비료 시용시 재배유형별 적정시비량과 생육특성을 비교 검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효성 비료시용은 시용 후 토양에 인산과 양이온 함량 및 C.E.O. 함량이 다량 잔존하였다. 2. 재배유형간 간장과 경수는 완효성 비료가 건답직파보다 어린모기계이앙재배에서 초기생육을 더욱 조장시켰고 같은 질소 시비량에 속효성 비료를 기비에 20% 추가 시용한 것이 재배유형 모두 우수하였다. 3. 건물중비율(출수기)은 어린모기계이앙이 건답직파보다 그리고 속효성 시료가 완효성 시료보다 높았으며 속효성 100% 또는 완효성 100% 시용보다는 완효성 80% + 속효성 20% 추가구가 건물 중비율이 높았다. 4. 엽면적지수(출수기)는 속건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보다 기계이앙재배가 높았으나 완효성비료에서는 건답직파가 높았으며, 비종별 엽록소함량은 완효성 비료가 속효성 비료보다 높게 함유하였으며 생육시간별로 보면 속효성 비료는 분얼기와 유수형성기에는 큰 차가 없었고 출수기에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출수이후에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완효성 비료는 속효성 비료와는 달리 분얼기에도 높았고 유수형성기에서 보다 많이 함유하였으며 출수이후 황열기까지 완만한 감소를 보였던 바 두 재배유형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5. 출수기는 건답직파가 기계이앙보다 2일 지연되었고 관행(속효성 100%이앙 어린모기계이앙)대비 완효성 비료는 어린모기계이앙에서는 2∼3일, 건답직파에서는 4∼5일이 지연되었고 간장은 속효성 비료에서는 기계이앙이, 완효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가 컸다. 6. m 당 수수는 건답직파에서 많았고, 완효성 비료에서 많았으며 등숙율은 기계이앙재배가 건답직파보다, 속효성 비료가 완효성 비료보다 높았다. 7. 수량은 실행(516kg/10a)대비 속효성 비료의 100%와 80% 수준에서는 건답직파가 101%와 100% 그리고 어린모기계이앙은 80% 시비에서 6% 감수되었으며, 완효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에서는 2∼4%, 기계이앙에서는 0∼3%의 증수를 보였다. 각 재배유형별 시비량간의 수량 순위는 기계이앙재배에서는 100% =80% + 20% > 100% + 20% > 80% 순이었고, 건답직파에서는 80% + 20% > 100% > 80% =100% + 20% 순으로 완효성 비료를 20% 감비시 속효성 비료 20% 추가구가 수량이 높았다.

  • PDF

In vitro에서 핵산치환인자 BAP이 단백질-분자 샤페론 복합체 해리에 미치는 영향 (A Nucleotide Exchange Factor, BAP, dissociated Protein-Molecular Chaperone Complex in vitro)

  • 이명주;김동은;이태호;정영기;김영희;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09-414
    • /
    • 2006
  • 소포체는 세포막의 합성뿐만 아니라 세포막에 존재하거나 세포외로 분비되어져야 할 단백질을 합성하는 세포내 소기관이다. 소포체에서 단백질이 합성되어질 경우 이황화결합이 형성되고 glycosylation 등의 수식이 일어나며, 이와 동시에 folding과 assembly과정을 거쳐 삼차원적 구조로 성숙이 되는데 이 과정은 folding enzyme과 molecular chaperone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진다. 소포체 내에 존재하는 molecular chaperone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으로 BiP이 있다. BiP의 기능은 N-terminus의 ATPase domain에 의해 조절되고 ATPase domain은 이것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조절인자에 의해 ATPase의 활성이 영향을 받는다. BiP의 핵산치환조절인자로서 발견된 BAP은 ATPase domain에 결합된 ADP를 ATP로 치환하는 것으로 기능이 알려져 있다. 이 BAP의 핵산치환기능이 BiP의 샤페론 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in vitro에서 항체 heavy chain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BAP은 ATP보다 ADP가 결합되어 있는 BiP과 더 잘 결합을 하며, in vitro에서 BiP과 결합하고 있는 unfolded 단백질을 BAP은 BiP으로부터 해리하였다. 또한 소포체내에 존재하는 Hsp70 homologue chaperone인 BiP과 Grp170에 대한 BAP의 결합특이성을 anti-Grp170과 anti-BAP 항체로 co-immunoprecipitation을 하여 확인한 결과 BAP은 Grp170과 결합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BAP은 ER내에 존재하는 동일한 family group에 속하는 Grp170과 BiP에 대하여 BiP에만 특이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