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 recommendation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9초

퍼베이시브 컴퓨팅 환경에서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프로액티브 친구 추천 기법 (Proactive Friend Recommendation Method using Social Network in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

  • 권준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3-52
    • /
    • 2013
  • Pervasive computing and social network are good resources in recommendation method. Collaborative filtering is one of the most popular recommendation methods, but it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rating sparsity. Moreover, it does not consider social network in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 We propose an effective proactive friend recommendation method using social network and contexts in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 In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users need to rate sufficient number of items. However, many users don't rate items sufficiently, because the rating information must be manually input into system. We solve the rating sparsity problem in the collaboration filtering method by using contexts. Our method considers both a static and a dynamic friendship using contexts and social network. It makes more effective recommendation. This paper describes a new friend recommendation method and then presents a music friend scenario. Our work will help e-commerc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and friend recommendation applications in social network services.

상위 N개 항목의 추천 정확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선호도 표현방법 (An Effective Preference Model to Improve Top-N Recommendation)

  • 이재웅;이종욱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6호
    • /
    • pp.621-627
    • /
    • 2017
  • 협업필터링은 사용자들이 평가한 항목들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평가되지 않은 항목을 효과적으로 추천해주는 기법이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평가하지 않은 항목 중 상위 N개 항목의 추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항목의 대한 상대적 선호도를 반영하는 쌍 기반 선호도(pair-wise preference)와 목록 기반 선호도(list-wise preference)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자가 평가한 항목 간의 상대적인 선호도를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각각의 항목들의 중요도를 반영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도 및 순위 값을 계산할 때 평점 선호도 표현 방법과 역 사용자 빈도수(inverse user frequency)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잠재된 선호도를 표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을 메모리 기반 협업필터링에 적용하여 비교한 결과 기존 방법보다 최대 2배 이상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ion accuracy and pre-information in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 Kim, Sun-O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4호
    • /
    • pp.803-811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ence ratings by dividing estimated value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fter obtaining preference estimated value to user's ratings by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It is known that the value of standard error of skewness and standard error of kurtosis lower in the group of higher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his explains that the preference of higher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has lower extreme values and the differences of preference rating values. In addition, top n recommendation lists are made after obtaining rank fitting by using the result ranks of prediction value and the ranks of real rated values, and this top n is applied to the four groups. The value of top n recommendation is calculated higher in the group of higher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recommendation accuracy in the group of higher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is higher than that in the group of lower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hus, when using standard error of skewness and standard error of kurtosis in recommender system,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can be higher, and so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 prediction can be increased.

심층신경망 기반의 뷰티제품 추천시스템 (Deep Neural Network-Based Beauty Product Recommender)

  • 송희석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6호
    • /
    • pp.89-101
    • /
    • 2019
  • Many researchers have been focused on designing beauty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for a long time because of increased need of customers for personalized and customized recommendation in beauty product domain. In addition, as the application of the deep neural network technique becomes active recently, various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s based on the deep neural network have been introduc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s a deep neural network model suitable for beauty product recommendation by applying Neural Collaborative Filtering and Generalized Matrix Factorization (NCF + GMF) to beauty product recommendation. This study also provides an implementation of web API system to commercialize the proposed recommendation model.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NCF + GMF model was the best when the beauty product recommendation problem was defined as the estimation rating score problem and the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 The NCF + GMF model showed also high performance in the top N recommendation.

시설재배 토양의 질산태질소 검정에 의한 배추의 질소시비량 결정 (Nitrogen Recommendation Based on Soil Nitrate Test for Chinese Cabbage Grown in Plastic Film House)

  • 곽한강;송요성;홍종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4-88
    • /
    • 1997
  • 시설재배조건하에서 토양의 질산태질소함량과 시용질소에 대한 배추의 수량반응 및 시비효율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의 $NO_3{^-}-N$함량은 배추의 수량 및 질소흡수량과는 유의한 정상관, 시비효율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어서, 시험전 토양의 $NO_3{^-}-N$ 310mg/kg정도 있으면 질소무비재배가 가능하였다. 질소시비량 추정회귀식에서 시험전토양의 질산태질소함량에 따른 배추의 질소시비량 추천식은 y=-1.424x+441.356(x:시험전토양의 $NO_3{^-}-N$, mg/kg, y:질소시비량 kg/ha)이었다.

  • PDF

모바일 기기의 입력 문자열 추천 및 오타수정 모델을 위한 주요 기술 (Related Works for an Input String Recommendation and Modification on Mobile Environment)

  • 이성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02-604
    • /
    • 2011
  • 스마트폰과 모바일 인터넷의 활발한 보급으로 문자 메시지 작성, 정보검색, 소셜 네트워크 참여 등 다양한 분야에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키패드는 비교적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여 키패드 입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입력 문자열 추천 및 오타수정 기술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온라인 검색엔진의 검색어 추천 모델에 적용되는 주요기술인 트라이(TRIE) 사전과 n-그램 언어모델을 이용한 관련 연구를 살펴본다.

  • PDF

녹비작물의 토양환원이 상추 및 얼갈이 배추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Use of Green Manure Crops as a Nitrogen Source for Lettuce and Chinese Cabbage Production in Greenhouse)

  • 임태준;김기인;박진면;이성은;홍순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2-216
    • /
    • 2012
  • 녹비작물의 토양 환원에 따른 상추 및 얼갈이 배추의 수량과 더불어서 토양의 양분 수지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여름 휴한기 동안 두과 (네마장황, 세스바니아) 및 화본과(하우스솔고, 수단그라스) 녹비작물을 재배하였으며 화학비료를 시비한 질소 검정시비구 1.0N (130 kg/ha)를 대조구로 하여 비교하였다. 녹비작물의 생육에 있어서 두과인 네마장황과 세스바니아는 화본과인 하우스솔고와 수단그라스와 비교하여 생초량은 적었으나 질소의 양분함량은 높아서 토양으로 환원된 질소량은 네마장황(130 kg/ha) 및 세스바니아(116 kg/ha)가 하우스솔고(93 kg/ha)나 수단그라스 (87 kg/ha) 보다 많았다. 녹비작물의 토양환원 후 상추와 얼갈이 배추의 수량은 질소 무시비구를 제외하고 두과 녹비작물, 두과 녹비작물+화학비료 0.5N, 화본과 녹비작물+화학비료 0.5N 등 다양한 녹비작물 처리는 대조구인 화학비료 1.0N과의 비교에서 유의성 없었지만 수량은 상추에서 170~1,100 kg/ha가 얼갈이 배추에서 2,770~5,210 kg/ha가 증대되었으며, 이러한 수량 증수로 인해서 3,953~5,120 천원/ha에 해당하는 소득증가 효과가 산출되었다. 토양의 질소 양분수지는 녹비작물만 투입한 네마장황과 세스바니아 처리에서는 각각 46과 31 kg/ha를, 네마장황+화학비료 0.5N과 세스바니아+화학비료 0.5N 에서는 각각 109와 99 kg/ha를 보였으며, 하우스솔고+화학비료 0.5N과 수단그라스+화학비료 0.5N 에서는 각각 72와 66 kg/ha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화학비료 1.0N 처리에서의 질소 양분수지인 49 kg/ha와 비교하여 볼 때 녹비작물 및 화학비료와의 혼합시비를 통해서도 토양에 안정적인 질소 유지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녹비작물의 토양환원 후 시설 상추와 얼갈이 배추를 재배하는 경우 화학비료의 시비가 필요 없거나 시비추천량의 50%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품질지표기반 정치 후원금 지원을 위한 국회의원 추천시스템 연구 (Quality Indicator Based Recommendation System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for Political Sponsors)

  • 정현우;윤형준;이시은;박솔희;손소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7-29
    • /
    • 2021
  • Purpose: During 2015-2019, the average amount of political donation to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in Korea was 1,000 won per person. Despite its benefits such as receiving tax credits, the donation system has not been actively practiced. This paper aims to promote political donations by suggesting a recommendation system of national assembly members by analysing the bills they proposed. Methods: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wo aspects: how similar the newly proposed or ammended bills are to the sponsors' interest (similarity index) and how much effort national assembly members put into those bills (intensity index). More than 25,000 bills were used to measure the recommendation quality index consisted with both the similarity and the intensity indices. Word2vec was used to calculate the similarity index of the bills proposed by the national assembly member to the sponsor's interest. The intensity index is calculated by diving the number of newly proposed or entirely revised bills with the number of senators who took part in those bills. Subsequently, we multiply the similarity index by the intensity index to obtain the recommendation quality index that can assist sponsors to identify potential assembly members for their donation. Results: We apply the proposed recommendation system to personas for illustration. The recommendation system showed an average f1 score about 0.69. The analysis results provide insights in recommendation for donation. Conclusion: n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 system was proposed to promote a political donation for national assembly members by creating the recommendation quality index based on the similarity and the intensity indices. We expect that the system presented in this paper will lower user barriers to political information, thereby boosting political sponsorship and increasing political participation.

MFMAP: Learning to Maximize MAP with Matrix Factorization for Implicit Feedback in Recommender System

  • Zhao, Jianli;Fu, Zhengbin;Sun, Qiuxia;Fang, Sheng;Wu, Wenmin;Zhang, Yang;Wang, We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5호
    • /
    • pp.2381-2399
    • /
    • 2019
  • Traditional recommendation algorithms on Collaborative Filtering (CF) mainly focus on the rating prediction with explicit ratings, and cannot be applied to the top-N recommendation with implicit feedbacks. To tackle this problem, we propose a new collaborative filtering approach namely Maximize MAP with Matrix Factorization (MFMAP).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non-smoothing loss function in learning to rank (LTR) algorithm based on pairwise, we also propose a smooth MAP measure which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standard optimization approaches. We perform experiments on three different dataset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MFMAP is significantly better than other recommendation approaches.

k-means 클러스터링과 순차 패턴 기법을 이용한 VLDB 기반의 상품 추천시스템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on VLDB using k-means Clustering and Sequential Pattern Technique)

  • 심장섭;우선미;이동하;김용성;정순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7호
    • /
    • pp.1027-1038
    • /
    • 2006
  •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추천시스템은 많은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으므로, 대규모 인터넷 쇼핑몰에 적합한 추천 시스템 구조와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k-mean 클러스터링과 순차 패턴 기법을 이용한 VLDB(very large database) 기반의 상품 추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정보를 일괄처리하고 다양한 카테고리를 계층적으로 정의하며, 탐색엔진에 순차 패턴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다. 예측 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자의 로그 데이터 중에서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추출하여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과 성능 평가를 위하여 국내 인터넷 쇼핑몰에서 30일 동안 수집한 실제 데이터를 이용한다. 또한 성능평가를 위하여 추천 예측 정확율(PRP: Predictive Recommend Precision), 추천 예측 재현율(PRR: Predictive Recommend Recall), 정확도 인수(PF1 : Predictive Factor One-measure)를 제안하여 사용한다. 성능평가 결과 가장 빠른 추천시간 및 학습시간은 O(N)이었고, 다양한 실험에서의 측도들의 값이 상당히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