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 fertilization

검색결과 814건 처리시간 0.032초

전라남도 화순군 폐탄광 산림복구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in Hwasun, South Jeolla Province)

  • 정문호;심연식;김태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010-1015
    • /
    • 2011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for forest rehabilitation and suggest management in abandoned coal mine areas in Hwasun-gun, South Jeolla Province. Total study sites were 8 sites, and soil analysis particular were soil pH, TOC, total-N, C/N ratio, Avail. $P_2O_5$, and CEC. Average soil pH was 5.8 (4.7~6.4). Average contents of TOC, total-N and C/N ratio were 1.1% (0.2~2.0%), 0.08% (0.02~0.13%) and 15.0 (7.9~31.4), respectively. Average Avail. $P_2O_5$ was $8.3mg\;kg^{-1}$ (2.7~15.0) and Average CEC was $13.7cmol_c\;kg^{-1}$ ($9.9{\sim}18.5cmol_c\;kg^{-1}$). Soil pH was decreased according to elapsed time from forest rehabilitation, while TOC, total N and CEC were increased. Av. $P_2O_5$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with elapsed time. Soil pH was stable comparing with general forest soil in South Jeolla Province (5.1), while contents of TOC and total N were lower than general forest soil in South Jeolla Province (4.9% and 0.18%, respectively). Therefore, sustainable managements such as fertilization for TOC and total N are necessary for good rooting and growth of vegetation.

돈분액비 시용이 감자 생육, 토양화학성 및 침투수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Pig Manure on Growth of Potato,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Infiltration Water Quality)

  • 강호준;양상호;이신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30-1136
    • /
    • 2011
  • 제주지역의 화산회토양과 비화산회토양에서 감자재배시에 돈분액비를 시용하였을 때 감자의 생산성, 토양화학성 및 침투수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초장과 줄기 굵기는 화산회토양과 비화산회토양에서 화학비료구와 돈분액비 시용구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수량과 상품수량은 화학비료구와 돈분액비 시용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화산회토양과 비화산회토양의 토양 pH는 돈분액비 시용구가 화학비료 시용구보다 높았다. 치환성 칼륨함량은 돈분액비 100%구에서 과다하게 축적되었으나, 화학비료 100%구와 화학비료 50%+돈분액비 50%구와는 차이가 없었다. 유효인산, 치환성 칼슘과 마그네슘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화산회토양과 비화산회토양에서 토양 70 cm 깊이에서 채취한 침투수의 질산태질소 농도는 무비구가 가장 낮았다. 화산회토양에서 질산태질소 용탈은 시험초기부터 이루어진 반면, 비화산회토양에서 질산태질소 용탈은 생육중기인 10월 8일까지 계속적으로 증가되었고, 두 토양의 돈분액비 100%구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화학비료구와 돈분액비 시용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화학비료 50%와 돈분액비 50%를 혼합사용하면 감자생육, 토양비옥도 및 침투수의 질산태질소 함량은 화학비료 100%구와 차이가 없기 때문에 화학비료 일부를 돈분액비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농기 광역논으로부터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 (Effluent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at Paddy Fields during Cropping Period)

  • 한국헌;김진호;윤광식;조재영;김원일;윤순강;이정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8-24
    • /
    • 2007
  • 본 연구는 1999년 5월부터 2002년까지 광역 논에서 영농기간 동안 비점원오염의 유출부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유역은 전북 남원시 금지면 금풍지구에 위치한 115 ha(논 면적 95 ha)의 양수장 관개 논에서 수문 및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시험유역의 물수지를 산정한 결과, 연도별 유입량은 1999년 2,410 mm, 2000년 2,486 mm, 2001년 2,938 mm, 2002년 2,880 mm로 4개년 평균 유입량은 2,680 mm로 조사되었으며, 유출량은 1999년 2,416 mm, 2000년 2,533 mm, 2001년 3,070 mm, 2002년 2,983 mm로 4개년 평균 유출량은 2,750 mm로 조사되었다. 물수지에 있어 유출량이 유입량보다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양수장에서 관개를 실시하지 않을 경우 지하수 관개를 실시하는 논들이 있어 이들 지하수 관개량의 미측정에 의해 물수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N과 T-P를 대상으로 4개년동안 물질수지를 조사한 결과, 영농기간 영양물질의 평균 유입량은 화학비료에 의해 T-N $124.8kg\;ha^{-1}$, T-P $15.8kg\;ha^{-1}$, 강우에 의해 T-N $26.9kg\;ha^{-1}$, T-P $0.35kg\;ha^{-1}$, 관개수에 의해 T-N $50.4kg\;ha^{-1}$, T-P $0.48kg\;ha^{-1}$가 유입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농기간 동안 유출수에 의한 영양물질의 유출량은 T-N의 경우 $53.4{\sim}68.3kg\;ha^{-1}$, T-P의 경우는 $1.38{\sim}2.20kg\;ha^{-1}$로 나타났다. 논에서 적절한 물관리를 통해 유출수를 최소화하면 영양물질 손실의 경감, 농업용수 사용의 경감을 통한 수자원 확보, 그리고 하천의 수질보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비점원오염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영농조건에 대해 장기적이고 꾸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와 미꾸리($M.$ $anguillicaudatus$) 및 유도된 종간 잡종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Cytogenetic Analysis of Reciprocal Hybrids Reveals a Robertsonian Translocation between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and Cyprinid Loach ($M.$ $anguillicaudatus$))

  • 이승기;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0
    • /
    • 2012
  • 미꾸라지, 미꾸리 및 상반교배를 통해 유도된 종간 잡종의 세포유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미꾸라지와 미꾸리의 염색체 수는 각각 2n=48 (12M+4SM+32A), 2n=50 (10M+4SM+36A)이었고, 잡종군들의 염색체수는 각각 2n=49 (11M+4SM+34A)였다. 모든 그룹의 염색체는 동일한 arm number (NF=64)를 갖고 있었으며, 염색체 다형현상, 암수 간 이형의 염색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적혈구의 크기, DNA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잡종군들은 미꾸라지와 미꾸리의 중간 값을 나타냈다. 염색체의 NORs (nucleolar organizing regions)은 모두 동일한 중부염색체 단완부에서 Ag-positive signal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미꾸라지의 1번 중부 염색체와 미꾸리의 차단부 염색체가 Robertsonian 형의 염색체 전좌 과정을 거쳤을 것을 시사한다.

수리부엉이(Bubo bubo)의 번식생태 및 교미행동에 관한 연구 (The Breeding Ecology and Copulation Behavior of Eurasian Eagle Owls(Bubo bubo))

  • 신동만;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9-65
    • /
    • 2008
  •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파주, 강화도, 이천, 시화호, 충주 등 5개 지역에 서식하는 수리부엉이 9쌍의 둥지를 정기적으로 촬영, 관찰하여 번식생태와 교미행동을 연구하였다. 한배산란수는 $1\sim4$개로 평균 2.77개(n=15)였으며, 부화성공률은 약 71%(n=34)였고, 이소성공률은 약 83%(n=23)였다. 수리부엉이는 산란이 끝난 후에도 암수간의 교미행동이 지속되며, 새끼들이 둥지를 떠나는 시기인 부화 후 $7\sim8$주까지 교미행동을 계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수정 목적 이외의 교미 행동은 암컷과 수컷 모두의 필요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부부관계(pair-bond)'의 확인, 유지, 강화를 통해 새끼를 안정적으로 키우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질소시용과 예초간격이 한국잔디(Zoysia japonica Steud.)의 주요영양성분 및 가용성 탄수화물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and Clipping Interval on Mineral and Water-soluble Carbohydrate Contents in Korean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

  • 심재성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9-58
    • /
    • 1988
  • 질소비료 3수준(0,350,700kg N-ha-1year-1) 및 예초간격 3수준( 10,20,30일 간격)하에서 이 요인들이 식물체 각부위(엽, 엽초를 포함한 차, 포복경 및 근)내, N,P,k,Ca,Mg 및 가용성 탄수화물함량에 여하히 영행을 미치는가게 대해서 1983년 6월부터 10일 까지 대전 배재대학실험포장에서 조성한지 3년 지난 한국잔디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소 증시한 결과 식물체 각부위내 N함량은 증가하였다. 특히 N성분은 엽부위에 다량으로 집적 되어 있어 저장양분으로서의 역할을 하지못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2. 질소비료에 대한 P성분의 반응은 식물체부위에 따라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는데 엽부위로서는 P함량이 감소한 반면, 경 및 포복경에서는 예초간격이 30일에서 10일로 단축되었을 때 한하여 증가하는 양상 을 보였다. 3. K 함량은 질소를 증랭시용할때 엽과 경부위에 특히 많이 축적되었으며 근부위에서는 질소시용이 오히려 K함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N과 K함량간에는 지상부위와 포복경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4. Ca 함량은 엽과 경부위에서 예초간격을 짧게 하였을때 질소시용에 따른 부의 반응을 보였다.5. Mg 함량은 질소나 예초간격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6. 가용성 탄수화물함량은 질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예초간격의 영향은 경부위를 제외한 각부위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7. 영양성분에 대한 예초간격의 효과는 질소만큼 크지 않았으나 질소시용과 함께 나타난 유의적 변화는 부위별로 각각 다르게 표현되었다. 즉 N함량은 예초간격을 단축하였을 때 엽 및 경부위에서만 증가되었고 Ca 함량은 30일간격으로 연장할때만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한편 K 및 Mg함량은 예초간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거나 변동이 심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 PDF

질소시비량에 따른 벼 생리생태적 특성 연구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omparison of Rice Cultivars Grown in Low Fertilized Condition)

  • 구홍모;유오종;박종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175-185
    • /
    • 2018
  • 개체군생장율(CGR)은 유수형성기와 출수기 사이에 가장 높았는데, 주남벼, 낙동벼, 소비벼 등이 높았으며, 이삭의 등숙속도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출수 후 20일까지 가장 많이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주남벼, 소비벼에서 빨랐다. 관행재배에서 수량이 높은 품종은 소비재배에서도 수량이 높았으며, 소비재배시 수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수량구성요소는 단위면적당 영화수로,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백미품위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는데, 소비벼의 품위가 가장 낮았으며, 사미와 분상 질립의 증가가 원인이었다.

Array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screening in IVF significantly reduces number of embryos available for cryopreservation

  • Liu, Jiaen;Sills, E. Scott;Yang, Zhihong;Salem, Shala A.;Rahil, Tayyab;Collins, Gary S.;Liu, Xiaohong;Salem, Rifaat D.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9권2호
    • /
    • pp.52-57
    • /
    • 2012
  • Objective: During IVF, non-transferred embryos are usually selected for cryopreservation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riteria. This investigation evaluated an application for array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aCGH) in assessment of surplus embryos prior to cryopreservation. Methods: First-time IVF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single embryo transfer and having at least one extra non-transferred embryo suitable for cryopreservation were offered enrollment in the study.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Patients in group A (n=55) had embryos assessed first by morphology and then by aCGH, performed on cells obtained from trophectoderm biopsy on post-fertilization d5. Only euploid embryos were designated for cryopreservation. Patients in group B (n=48) had embryos assessed by morphology alone, with only good morphology embryos considered suitable for cryopreservation. Results: Among biopsied embryos in group A (n=425), euploidy was confirmed in 226 (53.1%). After fresh single embryo transfer, 64 (28.3%) surplus euploid embryos were cryopreserved for 51 patients (92.7%). In group B, 389 good morphology blastocysts were identified and a single top quality blastocyst was selected for fresh transfer. All group B patients (48/48) had at least one blastocyst remaining for cryopreservation. A total of 157 (40.4%) blastocysts were frozen in this group, a significantly larger proportion than was cryopreserved in group A (p=0.017, by chi-squared analysis). Conclusion: While aCGH and subsequent frozen embryo transfer are currently used to screen embryos, this is the first investigation to quantify the impact of aCGH specifically on embryo cryopreservation. Incorporation of aCGH screening significantly reduced the total number of cryopreserved blastocysts compared to when suitability for freezing was determined by morphology only. IVF patients should be counseled that the benefits of aCGH screening will likely come at the cost of sharply limiting the number of surplus embryos available for cryopreservation.

질소와 인산의 시비량이 새로 조성된 Kentucky Bluegrass에 성장에 미치는 영향 (Phosphorus and Nitrogen Rate Effects to a Newly Seeded Kentucky Bluegrass)

  • 이상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7-222
    • /
    • 2011
  • 최근 잔디관리를 위한 시비프로그램에서 인산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 되고 있다. 토양의 인산함량이 식물성장을 위해서 충분히 존재하더라도 시비프로그램은 질소의 양을 기준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산이 불필요 하더라도 질소와 같이 시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이미 조성된 잔디에서는 토양내 인산함량의 조건에 상관없이 인산의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뗏장으로 조성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대취층에 많은 인산의 함량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취층을 최소화 하기위하여 파종하여 새로 조성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에 질소와 인산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질소의 시비량은 소량, 중량, 다량으로 각각 20, 30 and $40g\;m^{-2}\;yr^{-1}$로 되었으며 시비 횟수를 각각 2, 4, 6회로 구성되었다. 인산의 시비량은 0, 10 and $20g\;m^{-2}\;yr^{-1}$로 되었으며 인산은 질소시비와 함께 이루어 졌다. 소량의 질소시비는 실험기간 동안 최소수용 품질을 유지 하였으며 가장 적은 예지물을 생산하였다. 다량의 질소시비는 가장 좋은 잔디 품질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실험기간 동안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에 대한 인산의 일관적인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두꺼운 대취층에 조성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에 인산의 영향이 없는 것과 동일하게 새로 조성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에도 인산의 영향은 일년 동안 발견되지 않았다.

논에서 물과 양분관리에 따른 메탄CH4), 아산화질소(N2O)배출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 and Nitrous Oxide by Management of Water and Nutrient in a Rice Paddy Soil)

  • 김건엽;박상일;송범헌;신용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6-143
    • /
    • 2002
  • 물관리방법을 달리한 상시담수와 간단관개에서 메탄과 아산화질소의 배출 양상과 서로 다른 종류의 유기물원 및 질소비료 시용에 따른 메탄과 아산화질소 배출을 비교하고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물관리 방법으로는 상시담수 (이앙$\sim$출수 35일까지 담수)와 이앙 35일 이후 중간낙수한 간단관개 (중간낙수기간 20일), 그리고 시비방법으로는 토양을 검정한 시비량인 토양검정, 토양 검정시비량+볏짚, 돈분액비, LCU 완효성비료, 그리고 N을 시용하지 않은 대조구 등을 처리하여 메탄 및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측정하였다. 메탄 배출량은 간단관개보다 상시담수께서 높았고,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이와 반대로 나타났다. 유기물과 비료시용 종류에 따른 메탄과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액비와 검정시비+볏짚시용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LCU 완효성비료구에서 가장 낮았다. 지구온난화잠재력으로 환산한 온실가스 배출은 물관리 조건에서 상시담수가 간단관개보다 170$\sim$208% 높았으며, 요소를 시용하고 상시담수를 기준 한 것과 간단관개로 물관리하여 각 처리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을 비교하면, 요소는 41.4%, LCU 완효성비료 55.8%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료이용효율은 LCU 완효성비료, 액비>검정시비+볏짚>검정시비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