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 fertilization

검색결과 814건 처리시간 0.024초

Perennial ryegrass 잎에서 生育條件과 窒素施肥에 따른 伸長部位의 空間的 移動과 細胞伸長 (Spatial Distribution of Growth and Cell Elongation in the Elongation Zone of Perennial Ryegrass Leaves as Affected by Growth Condition and N Fertilization)

  • 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7-122
    • /
    • 1988
  • 다른 生長條件(growth chamber, outdoor)과 室素施肥條件(N O, N 60kg $ha^{-1}$에서 자란 perennial ryegrass잎에 있어서 葉伸長率(LER)과 伸長部位의 空間的 移動 및 細胞의 伸長등을 알아보고자, 잎 基部내 伸長部位의 0~30mm에 pin 처리를 하고 일정시간후 pin hole의 이동거리로서 生長을 조사하였으며 표면복제방법에 의해 細胞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Growth chamber에서 자란 목초의 LER은 25.2mm day$^{-1}$(outdoor 목초에 비해 54.6% 증가), 생육의 공간분포는 基部로부터 24mm까지, 최대생육은 10~13mm에서, 세포신장은 20mm까지로 관찰되었다. Outdoor 목초는 LER 16.3mm, 생육분포는 17mm까지, 최대생육은 5~8mm에서, 세포신장은 14mm까지였다. 질소시비구 목초의 LER은 30.3mm day$^{-1}$(무시비구 목초에 비해 61.2% 증가), 생육분포는 基部로부터 27mm까지, 최대생육은 13~15mm에서, 세포신장은 21mm까지였으며, 질소무시비구 목초는 LER 21.3mm, 생육 분포는 21mm까지, 최대생육은 8~11에서, 세포신장은 16mm까지였다. Ligule 부위의 세포길이는 현저히 짧아졌으며, LER이 빠를때 伸長部位내 生育의 移動速度도 빨랐다.

  • PDF

Effects of Straw Mulching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Growth of Direct Seeded Rice in No-tillage Rice / Vetch Cropping System

  • Young-Son, Cho;Zhin-Ryong, Cho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01
    • /
    • 1999
  • No-till direct seeding cultivation of rice has major advantages such as saving of labor and cost by eliminating tillage, preparation of seed bed and trans-planting procedu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ansplanting cultivation.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traw treatment and nitrogen levels on the rice growth in no-till direct-seeding cultivation. Rice straw, vetch straw, and the mixture of both of the straws were mulched on the surface of soil before seeding while 4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0, 7, 9, and 11 kkg/10a respectively, were applied at 3 split times, 3-weeks after sowing, 5-weeks after sowing and the panicle initiation stage. Mulching of vetch straw significantly reduced seedling establishment of rice which may be attributed to low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f soil by vetch mulching treatment. Vetch straw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soil ammonium leading to an extension of the greenish leaf to panicle initiation stage. Agronomic nitrogen use efficiency (AD $E_{N}$) in heavy-mixed straw mulching plots was lower than other treatments. Grain yield and AU $E_{N}$ in the vetch treatment were less affected by fertilized N levels. Conclusively, it is suggested that heavy straw mulching was not efficient for rice seedling establishment and nitrogen usage.e.

  • PDF

Perennial ryegrass 잎에서 생육조건과 질소시비에 따른 신장부위의 공간적 이동과 세포신장 (Spatial Distribution of Growth and Cell Elongation in the Elongation Zone of Perennial Ryegrass Leaves as Affected by Growth Condition and N Fertilization)

  • Sung Se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7-122
    • /
    • 1988
  • 다른 生長條件(growth chamber, outdoor)과 室素施肥條件(N 0, N 60kg $ha^{-1}$')에서 자란 Perennial rye- grass잎에 있어서 葉伸長率(LER)과 伸底部位의 空間的 移動 및 細胞의 伸長등을 알아보고자, 잎 基部내 伸長部位의 O~30mm에 pin처리를 하고 일정시간후 Pin hole의 이동거리로서 長을 조사하었으며 표면복 제방법에 의해 細胞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Growth chamber에서 자란 목초의 LER은 25.2mm $day^{-1}$(outdoor 목초에 비해 54.6% 증가), 생육의 공 간분포는 基部로부터 24mm까지, 최대생육은 10~13nm에서, 세포신장은 20nm까지로 관찰되었다. Outdoor 목초는 LER 16.3nm, 생육분포는 17mm까지, 최대생육은 5 ~8mm에서, 세포신장은 14mm까지었다. 질소시비구 목초의 LER은 30.3nm$day^{-1}$(무시비구 목초에 비해 61, 2% 증가), 생육분포는 基部로부터 27 mm까지, 최대생육은 13~1Smm에서, 세포신장은 21mm까지었으며, 질소무시비구 목초는 LER 21.3mm, 생육 분딘는 21mm까지 최대생육은 8~llmm에서, 세포신장은 16mm까지였다. Ligule 부위의 세포길이는 현저히 짧아졌으며, LER이 빠를때 伸長部位내 生育의 移動速度도 빨랐다.

  • PDF

새만금간척지 사료작물 재배시 질소증비 효과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Increment on Forage Crops Cultivation in Saemangum Reclaimed Land)

  • 양창휴;김선;이장희;백남현;김택겸;최원영;정재혁;이상복;이경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5-240
    • /
    • 2012
  • 본 연구는 새만금간척지 (광활지구) 신간척지에서 조사료의 안정생산을 위하여 사료작물 재배시 질소 증비효과,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코자 2008년 10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동계 사료작물로 청보리 (영양), 하계 사료작물로 옥수수(광평옥), 수수${\times}$수단그라스 (G7)를 재배하여 토양화학성, 양분흡수량,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하였다. 공시토양은 유기물, 유효인산 및 치환성칼슘 함량이 매우 적었고 치환성 마그네슘 나트륨 함량이 많은 강알칼리성 염류토양 이었다. 재배기간 동안 토양염농도 변화는 0.1%이하를 나타냈고 염피해는 없었다. 동 하계작물 경엽 및 곡실 중 무기양분 함량은 질소증비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옥수수에서 높았다. 특히 청보리 무기성분 중 T-N, CaO, MgO 함량은 일반농경지에서 재배된 것에 비하여 2배정도 낮은 반면에 $P_2O_5$, $Na_2O$ 함량은 2배정도 높았다. 청보리는 질소증비로 초장이 길고 경수 확보가 많았으며 $10,740{\sim}13,170kg\;ha^{-1}$ 건물수량을 나타냈다. 또한 하계작물은 질소증비로 초장이 길고 경직경이 굵었으며 옥수수 $13,120{\sim}15,050kg\;ha^{-1}$, 수수${\times}$수단그라스 $14,400{\sim}19,440kg\;ha^{-1}$ 건물수량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간척지토양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양분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종합적인 토양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축분뇨 호기적 퇴.액비화시 발생하는 기체 중의 황 화합물과 암모니아에 대한 오존처리 효과 (Effect of Ozone Application on Sulfur Compounds and Ammonia Exhausted from Aerobic Fertilization System of Livestock Manure)

  • 정광화;황옥화;;이동현;최동윤;유용희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4호
    • /
    • pp.118-126
    • /
    • 2012
  • 본 연구를 위한 실험 장치는 하루에 100톤 규모의 돼지분뇨를 퇴비화와 액비화 하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시설에 설치되었다. 액비조의 경우 폭기되는 분뇨의 상층부에 흡입부를 설치하고 기체를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실험용 기체시료를 포집하였다. 포집된 시료는 오존이 존재하는 2 종류의 반응조에 유입된 후 오존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처리되었다. 처리효율 분석은 처리시설 유입부 배관에서 채취한 시료와 오존과 반응한 후 배출되는 배관에서 채취한 시료의 성분함량을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퇴비사의 시료는 교반 후 발생하는 기체를 흡입한 후 액비조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고 그 효율을 분석하였다. 오존접촉에 의한 반응효과는 암모니아보다는 황 화합물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암모니아의 경우 오존접촉 방법에 관계없이 10% 내외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황 화합물은 오존 처리에 의해 상당량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액비화 시설로부터 발생된 시료의 경우, 유입부에서 50.091, 4.9089, 27.8109, 0.4683 ppvs 의 농도를 보였던 $H_2S$, MM, DMS, DMDS가 반응 후 유출부에서는 각각 1.2317, 0.3839, 14.7279 0.3145 ppvs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같은 조건으로 호기적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한 시료를 처리한 결과 $H_2S$, MM, DMS, DMDS 농도는 40.6682, 1.3675, 24.2458, 0.8289 ppvs에서 3.013, 불검출, 8.8998, 0.3651 ppvs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액비화 시설에서 발생하는 시료에 또 다른 형태의 오존을 적용한 결과 $H_2S$, MM, DMS, DMDS가 43.397, 1.4559, 3.6021, 0.4061 ppvs 농도 수준에서 각각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0.2185 ppvs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완효성비료 시용 논 토양중의 질소행동에 관한 연구 (Nitrogen Balance in Paddy Soil of Control-Release Fertilizer Application)

  • 이경보;박찬원;박광래;김종구;이덕배;김재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7-163
    • /
    • 2005
  •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농업환경이 변화와 기상변화에 대비한 작물의 영양관리 대책 도출과 지속적인 농업생산체계를 확보 하고자 논토양에서 완효성 비료시용시 질소이용률 평가와 질소수지를 분석하였다. NPK 처리구의 표층수중 $NH_4-N$ 농도는 벼 이앙초기 $2.07mg\;L^{-1}$이었으나 그 이후 감소하다가 수비시용과 더불어 $NH_4-N$ 농도가 증가하였다. 완효성 시비구의 $NH_4-N$ 농도는 벼 이앙 18일 이후부터는 NPK 시용구보다 높았다. NPK 시용구의 $NO_3-N$ 함량 변화는 벼 이앙 10일경에 약 $3.97mg\;L^{-1}$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 CRF100% 시용구의 $NO_3-N$ 함량 변화는 벼 이앙 후 30일까지 $3-5mg\;L^{-1}$ 범위를 보이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토양중 $NH_4-N$ 함량 변화는 NPK 처리구에서 이앙 초 $120mg\;kg^{-1}$ 내외였으며, 이앙 20일 이후에 $45mg\;kg^{-1}$으로 감소하였다가 추비로 인하여 $NH_4-N$ 함량이 다시 $45mg\;kg^{-1}$로 증가하였다.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는 벼 생육초기에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으나 이앙 25일 이후부터 NPK 시용구에 비하여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 $NH_4-N$ 함량이 증가하였다. NPK 처리구에서 암모니아 휘산으로 손실된 질소량은 $22.4kg\;ha^{-1}$이었며, 완효성 비료를 시용함으로서 67%까지 암모니아 휘산을 줄일 수 있었다. 질소 이용율은 NPK 시용구가 27.4%이었고, CRF70% 시용구는 51.2%, CRF100% 시용구는 49.0%였다. 또한 질소 흡수량은 전반적으로 질소수준이 높을수록 흡수량이 많았다. 수량은 NPK 시용구가 $4,510kg\;ha^{-1}$이었고, CRF70% 시용구는 $4,800kg\;ha^{-1}$, CRF100% 시용구는 $4,970kg\;ha^{-1}$이였다.

표준 시비에 따른 '신고'배 수체 및 재배지 토양의 탄소 및 질소 저장량 변화 (Annual Increase in Carbon and Nitrogen Stocks of Trees and Soils in a 'Niitaka' Pear Orchard Following Standard Fertilization Recommendations)

  • 노희명;최진호;이서연;이태규;김종성;박지숙;최장전;이민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91-597
    • /
    • 2015
  • IPCC 2006 지침에서 제시한 Tier 3 수준에 맞게 배나무 과수원의 온실가스 저장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신고(Pyrus pyrifolia Nakai cv. Niitaka)' 배 재배지를 대상으로 1년 시비에 따른 과수와 재배지 토양의 총 탄소와 질소 저장량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나주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배시험장 재배포장에서 $5.0{\times}3.0$으로 재식된 Y수형의 16년 생 '신고'배에 질소와 인, 칼륨비료를 각각 $200kg\;N{\cdot}ha^{-1}$, $130kg\;P{\cdot}ha^{-1}$, $180kg\;K{\cdot}ha^{-1}$ 시비하였다. 2013년 8월, 배나무 수체와 토양의 총탄소와 질소 함량을 평가하기 위해 샘플을 채취하였다. 과수는 굴취하여 주간, 주지, 측지, 잎, 과일, 뿌리로 분류하여, 총탄소와 질소 함량, 건중량을 조사하였다. 토양은 과수 주간으로부터 약 0.5m 떨어진 지점에서 0.6cm 깊이까지 0.1m 간격으로 토양을 채취하여, 풍건한 뒤 2mm체에 통과시킨 시료를 채취하여 총 탄소와 질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나무 한 그루당 건중량은 주간은 5.6kg, 주지는 12.0kg, 측지는 15.7kg, 잎은 5.7kg, 과일은 9.8kg, 뿌리가 10.5kg 이었다. 나무 한 그루당 총탄소와 질소 함량은 주간에서 2.6C kg, 0.02N kg였고, 주지는 5.5C kg, 0.04N kg, 측지는 7.2C kg, 0.07N kg, 잎은 2.6C kg, 0.11N kg, 과일은 4.0C kg, 0.03N kg, 뿌리에서는 4.8C kg, 0.05N kg이였다. 재식밀도(667trees/ha)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을 때, 토양에 저장되는 탄소량은 155.7Mg, 질소량은 14.0 Mg이였으며, 수체에 저장되는 탄소량은 $17.8Mg{\cdot}ha^{-1}$, 질소량은 $0.2Mg{\cdot}ha^{-1}$이였다. 따라서 배나무 재배지 내에 저장되는 총탄소량은 173.6Mg였으며, 질소량은 14.2Mg이었다. 이를 작년 2012년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1년 시비 결과 배 과수원의 탄소 저장량은 $17.7Mg{\cdot}ha^{-1}$ 증가하였으나, 질소 저장량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0.66Mg{\cdot}ha^{-1}$).

참깨의 생육 및 함유율에 미치는 시비량의 영향 (The Effects of Fertilization Level on the Growth and Oil Quality in Sesame (Sesamum indicum L.))

  • 서관석;조재성;최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29
    • /
    • 1986
  • 참깨의 N, P, K 시비수준별 생육과 함유량, 지방산조성분포를 검토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1. 질소배비(16k/10a)시용시 초장과, 주당삭수, 착삭부위장, 분지수등은 증가되나, 삭당입수와 종실중은 표준비(8k/10a)에서 가장 많았다. 2. 가리의 배비(18k/10a)시용시에는 지상부 생육과 등숙비율이 모두 높았으며, 인산 및 가리, 배비구(N 8, P$_2$O$_{5}$ 8, $K_2$O 18k/10a)에서는 표준비(N 8, P$_2$O$_{5}$ 4, $K_2$O 9k/10a)의 종실중 91kg보다 11% 증가되었다. 3. 엽의 무기성분중 N과 $K_2$O는 파종후 20일에 가장 높았으며 이후 점차 감소되는 경향으로 N과 $K_2$O 배비시 엽의 N, $K_2$O 배비시 엽의 N, $K_2$O 함량은 증대되었다. 4. 시비수준별 함유량은 질소의 배비시용구(16k/10a)와의 P$_2$O$_{5}$ 표준시용구(4k /10a)에서 가장 많았으나, 가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 지방산조성은 양질의 Oleic acid는 질소, 인산,가리의 배비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Linoleic acid는 인산배비구에서 가장 높았다.

  • PDF

N Top-Dressing and Rice Straw Application for Low-Input Cultivation of Transplanted Rice in Japan

  • Cho, Y.S.;Kobata, T.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73-278
    • /
    • 2002
  • An efficient low-input system (LIS) for fertiliser use in rice cultivation is necessary to reduce fossil energy use and pollution. Japanese people like Japonica rice, especially cv. Koshihikari. However, it has very low lodging resistance in Japanese weather condition. Our objective was to develop a LIS with the minimum sacrifice of grain yield in rice. Koshihikari was grown using conventional fertilization as a control (CON) with 4 g N $m^{-2}$., 8g $P_2$ $O_{5}$ $m^{-2}$ and 8 g $K_2$O $m^{-2}$ as a basal fertilizer dressing. It was compared with a low fertilizer treatment (LF) with only 4 g $P_2$ $O_{5}$ $m^{-2}$ as a basal dressing in the first year and no basal phosphorus fertilizer in the second year. Chopped rice straw was incorporated into the soil before the cropping season in both years. Fertilizer of 4 g N $m^{-2}$ was top-dressed at 15 days before heading in CON plots and 30 days before heading in LF plots in both years. Lodging was significantly less in LF than in CON plots, however, no rice straw effect was found in low fertilized condition. Grain yields in LF plots were reduced by 15-16% below those of CON plots. Lower yields in LF plots were associated with a reduced number of spikelets per unit area. However, big spikelet size was acquired in LF by 10 days earlier N top dressing than CON plots. A clos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pikelet numbers and N content of the plant at heading, and between grain yield or shoot dry weight and N content of the plant at maturity. Regardless of the fertilizer application methods, N use efficiency for the number of spikelets, final total dry matter and grain yield was essentially identical among fertilizer treatments. The reduced growth and yield in the LF plots resulted from low absorption of nitrogen. Conclusively, LIS can drastically reduce chemical fertilizer use and facilitate harvest operations by reducing lodging with some yield reduction..

Reed Canarygrass 초지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연구 IV. 질소시비수준이 `Palaton` Reed Canarygrass의 건물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eed Canarygrass IV.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on the dry matter production, and nutritive value of `palaton` reed canarygrass)

  • 서성;조무환;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8-123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itrogen (N) fertilization level (0, 70, 140, 280 and 420 k a a ) on the grass growth, dry matter (DM) production, numtive value,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reed canarygrass (Phalaris ancndinacea L.) pasture. \ulcornerhe cultivar used in this study was Palaton, and the grass was harvested at soiling-hay stage (3 times per year) in 1992 and 1993. As the N level was increased, the plant height, DM produdion, and crude protein (CP) cont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hen the N was applied at the levels of 0, 70, 140, 280, 420 kg, DM yields were 4,540, 5,316, 6,060, 7,923 and 9,960 kgha, and CP contents were 17.6, 17.4, 17.4, 18.4 and 19.8%, respectively. However, as the N level was increased, DM percentage, total digestible nutrients, and relative feed value were decreased, while the contents o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and bareland were continuously increased, particularly in the plot of N 420 kg fdza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reed canarygrass was one of the sensitive pasture grasses to N fertilizer, and the proper amount of N application was 280 kg/ha/yr for desirable production, nutritive value,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r e d conarygrass pasm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