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스크린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1초

원천콘텐츠의 OSMU 매체 전환 시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 TV 드라마와 영화, 입체영상 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urce Contents OSMU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 Focusing on the study of visual media transition of tv drama and cinema)

  • 서동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2
    • /
    • 2012
  • 요즘과 같은 N스크린 시대에 OSMU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OSMU를 염두에 둔다고 하면서도 어느 특정한 기획포인트를 발전시키는 데 주력한 나머지 전체적인 요소들을 고루 살피지 못해 결과론적으로 허점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를 보완하고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모델을 제시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했다. 그런 측면에서 본고는 선행 연구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단순한 이론적 논의가 아닌 실제 제작 현장에서 작가들이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 개발 과정의 일환으로써 그 의미와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 PDF

TrueView 광고 유형에 따른 노출 효과 분석 : YouTube 인스트림광고 중심으로 (Impact Analysis of True View Ad Typees : Focusing on YouTube In-Stream Ads)

  • 김태순;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0
    • /
    • 2018
  • 최근 N스크린 세대의 새로운 소비 주도층인 밀레니얼세대(10대~20대 초반)의 증가로 모바일 YouTube 동영상 시청자가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광고 노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YouTube 인스트림 광고가 광고주들의 높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광고 게재에 따른 정확한 노출 효과에 대한 연구 분석 자료는 현저히 부족하다. 이에 모바일 YouTube 동영상 시청자 수가 가장 높은 10대~20대 초반을 대상으로 국내 YouTube 인스트림 광고 사례 10개를 선정하여 선택적 시청에 따른 시청자들의 행태 파악과 광고 몰입도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소구 유형별 광고 몰입도는 이성소구보다 감성소구가 컸으며, 그 중 유머소구의 광고 몰입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광고 노출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자막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스마트TV 사업 모형설계 (The Design of Smart TV Business Model Using subtitle Information)

  • 나인섭;김수형;나형율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권4호
    • /
    • pp.35-43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TV 현황을 살펴보고, 바뀐 스마트 생태계에서 자막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스마트 TV 사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현재 우리사회는 스마트 TV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와 유보적 견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TV로의 큰 변화는 우리 시대에 거부 할 수 없는 큰 물결이며, 점진적으로 스마트 TV를 중심으로 모든 사회가 바뀌어나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양방향, 능동적, 소비자 중심의 스마트TV환경에서 자막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스마트 TV 사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끝으로, 제안된 자막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TV 사업모형은 한류 시대에 국가 간 정보의 격차를 줄이고 한류를 확산하는 데 일익 할 것이 기대된다.

  • PDF

Application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the Selection Factors of OTT Service

  • Hyun, Ho-Suk;Lee, Hyung-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0호
    • /
    • pp.245-254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OTT 서비스에 대한 선택요인들을 도출하고, 각 평가 요소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AHP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OTT 서비스 선택요인들을 평가하기 위해서 OTT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OTT 서비스의 1단계 선택요인들인 경제성, 시스템 우수성, 편의성, 다양성, 유희성, 응대성 중에서 다양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1단계 요인과 2단계 요인의 가중치를 종합화한 결과에서는 오락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성별, 연령에 따라 OTT 서비스 1단계 선택요인의 가중치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소비자들이 OTT 서비스를 이용할 때 어떤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방송의 뉴미디어 유통전략 분석 :MBCNET 사례를 중심으로 (Content Distribution Strategy Analysis of Regional Broadcasting Companies: Based on MBCNET)

  • 김종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636-643
    • /
    • 2013
  • 방송시장의 급격한 환경변화는 지역방송의 사회적 입지를 위축시키고 재정적 기반을 위협하고 있지만, 동시에 인터넷과 모바일 기반의 플랫폼과 스마트 미디어는 새로운 콘텐츠 유통의 활로로서 가능성을 부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 지상파방송의 수퍼스테이션 사례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변화하는 방송환경에 적합한 지역방송의 유통모델을 살펴보고, 새로운 유통모델 확립을 위해 지역방송의 역할과 추진해야 할 전략을 논의하였다. MBCNET의 재무성과 및 시청률, 뉴미디어 유통에 대한 분석결과, MBCNET은 콘텐츠 라이브러리와 MBC 지역방송사의 영향력에 힘입어 성공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속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콘텐츠와 플랫폼의 마케팅역량의 향상이 필요하며, 시청자들의 이용행태에 기반한 경쟁력 있는 콘텐츠의 제작역량 강화 및 N스크린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조직의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송콘텐츠 개념의 제도적 정립을 위한 시론 (An Essay on Constructing an Official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 조병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77-492
    • /
    • 2021
  • 이 논문은 방송콘텐츠의 개념이 제도적으로 정립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한 문제를 살피고, 방송콘텐츠 개념의 범주와 의의를 제시하여 관련한 논의를 활성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콘텐츠 향유 패턴이 점차 파편화됨에 따라, 드라마·예능·다큐멘터리 등 방송콘텐츠는 전통적인 방송산업의 유통구조를 벗어나 N스크린을 통해 다양하게 향유되며 그 부가가치를 극대화한다. 그러나 법률상 방송콘텐츠의 개념은 방송산업의 전통적인 유통망에 종속되어 있거나, 심지어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방송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안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방송콘텐츠 개념 정의의 필요성을 원론적·법률적·산업적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살핀 결과, 방송콘텐츠는 방송미디어로부터 독립된 새로운 개념으로 정의될 필요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방송콘텐츠의 개념과 유형 분류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여 방송콘텐츠 개념 정립을 위한 방향성을 확인하였고, 방송콘텐츠를 상위범주(교양, 오락)와 하위범주('다큐멘터리·시사교양·교육', '드라마·애니메이션·예능·음악·스포츠')로 구분하여 정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방송사 뉴미디어 스타일 가이드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ion of Broadcasting New Media Style Guide)

  • 김경윤;정회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379-385
    • /
    • 2014
  • 언제 어디서든 끊어짐이 없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기술로 인해 본격적인 N스크린 시대가 열렸다. 이에 따라 방송업계에서는 방송 콘텐츠를 PC, 스마트폰, 태블릿, App, IPTV 등 다양한 미디어 기기로 서비스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방송사 관점에서는 플랫폼의 유용성과 사용성을 높여주기 위해 디바이스별로 동일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유지될 필요가 있고, 이를 뉴미디어 구축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 스타일가이드의 필요성이 커졌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웹페이지에 국한되었던 웹 스타일 가이드를 넘어서, 이제 다양한 뉴미디어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유지하기 위한 뉴미디어 스타일가이드의 필요성과 제작요소에 대해 연구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공영 방송사이며 통합적인 미디어가이드가 제시되어 있는 BBC의 통합가이드(GEL)와 우리나라 대표 공영방송 KBS에서 제공되는 웹 스타일 가이드를 분석하고, 현재 웹 스타일 가이드의 한계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방송미디어업계 디자인분야의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어떤 디자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뉴미디어 스타일 가이드를 제작해야 하는가를 분석하고, 종합적인 뉴미디어 스타일 가이드 제작 블루프린트를 제안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뉴미디어 방송채널 KBS의 통합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미래지향적인 뉴미디어 플랫폼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개인건강기록 기반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Platform based on Personal Health Records)

  • 송제민;이용준;남광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7-62
    • /
    • 2012
  • 만성질환 관리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헬스 플랫폼을 중심으로 서비스 콘텐츠 개발자, 서비스 제공자, 디바이스 공급자 등이 긴밀하게 협력하여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 유헬스 플랫폼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개인건강기록 (PHR) 관리, 맞춤형 지능형 서비스 지원, N 스크린 서비스 지원 등의 부족으로 효과적인 생태계 구축이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헬스 플랫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CDMP: Chronic Disease Management Platform)'을 제안한다. CDMP는 만성질환 건강관리 증진 서비스를 개발 실행 공유하기 위한 공통 기능을 컴포넌트로 제공하고 다양한 서비스 및 시스템 간의 연결.통합을 위한 허브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CDMP는 SOA 기반으로 설계되어 높은 재사용성 확장성을 제공하며 정보 콘텐츠 서비스를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Open API를 제공하는 개방형 플랫폼,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멀티플랫폼, SNS와의 연동을 통한 자가관리 기능을 지원한다. 이 논문에서는 CDMP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분석, 구조 설계, 설계 검증을 위한 프로토타입 구현을 수행하고, 특히 PHR 정보 관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데이터 모델'의 구현과 성능 평가를 통해 CDMP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N스크린 시대 한국영화콘텐츠 이용자의 이용매체 및 이용동기 차이 분석: 한·중·일 이용자 비교 (Korean Movie Users' Media Usages and Motivation in N-screen Ages: The Comparison Among Koreans, Japanese and Chinese)

  • 박승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655-664
    • /
    • 2013
  • 한류의 물결에 영화가 편승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매체 접근성이 다른 영상콘텐츠보다 낮다는 것이다. 그러나 N-스크린 시대에서, 영화는 매체 접근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으며 오히려 판권 부가시장의 확장으로 인한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것이다. 특히 N-스크린 기술은 문화코드를 공유하는 아시아 지역에서 한국 영화콘텐츠의 한류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수용자 분석이 선행 되어야 하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중일 수용자들의 영화소비 양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설문 조사는 2013년 2월 23일부터 4월 5일까지 일본인, 중국인 그리고 한국인 각각 110명씩을 분석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 중국, 일본 관객들의 영화 관람 시 이용하는 매체와 이용 동기에서 있어서 분명한 차이가 있다. 한국 관객들의 영화 관람 동기는 사교적 목적, 즉 친구 또는 가족들과 함께 영화를 보는 것이며, 다른 매체에 비해 월등히 영화관 이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인은 영화 자체가 가지고 있는 재미나 취미로 영화를 관람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일본과 중국 관객들에게는 "기분전환"이라는 동기가 중요시되며, 일본인은 VCR/DVD 플레이어, 중국인은 PC나 핸드폰 등 보다 손쉽고 개인적인 스크린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이나 일본, 특히 일본에서는 영화 콘텐츠 제작이 반드시 빅 스크린용으로 국한될 필요가 없다는 함의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