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ocardial perfusion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4초

상행 대동맥 질환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the disease involving ascending aorta)

  • 백완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7호
    • /
    • pp.581-586
    • /
    • 1994
  • From February 1985 to February 1993, 18 operations were performed in 17 patients for treatment of aneurysmal disease [n=12] and/or dissection of the ascending aorta [n=6]. The ages ranged from 26 to 69 years [mean 44.3 $\pm$ 11.0 years].The proposed operations include composite graft replacement of aortic valve and ascending aorta with coronary reimplantation in 11, graft replacement of ascending aorta alone in 5, aortic valve replacement and supracoronary graft replacement in 1 and ascending aorta to abdominal aorta bypass with thromboexclusion of descending aorta in one patient. Both Bentall [n=6] and Cabrol [n=5] technique were utilized for reimplantation of coronary arteries.Concomitant replacement of aortic arch and arch vessel reconstruction was necessary in two patients.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was utilized in 6 patients. Recently, four patients were managed on warm blood continuous cardioplegia via retrograde route. There were no operative deaths. No significa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noted. Postoperative follow up was complete in 15 patients from 1 month to 72 months. Redo operation was necessary in one patient who had suffered from distal recurrence of dissection 5 years after successful Bentall operation. The other patients are all in excellent clinical condition. From our early experience with those 17 cases, we assume that satisfactory operative result could be achieved with a variety of surgical technique including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In addition, continuous perfusion of warm blood cardioplegia via retrograde route is supposed to be beneficial in selected cases.

  • PDF

심마비용액의 삼투압이 심근보호에 미치는 영향 - 연세의대 심마비용액과 성토마스병원 심마비용액의 비교 연구 - (Influence of Osmolarity of Cardioplegic Solution in the Myocardial Function - Comparison between the YUMC and the St.Thomas Hospital Cardioplegic Solution -)

  • 강면식;유경종;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6호
    • /
    • pp.927-935
    • /
    • 1989
  • Using an isolated Rat heart preparation of the Sprague Dawley strain, the YUMC cardioplegic solution k the St. Thomas Hospital Cardioplegic Solution were compared in the non waking K working heart perfusion systems by evaluating the hemodynamics, [bio] chemical, and light microscopic finding The heart rate k coronary flow of the two groups in the 20 minutes post ischemic recovery time were 288.6*6.5 vs 283.7*12 and 21.3*1.0 vs 19.0*1.7 respectively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existing. However the aortic systolic pressure, aortic overflow, cardiac output which were 81.7[4.2 vs 78.4*1.8, 18.3*1.1 vs 13.0*2.5 and 36.9*0.9 vs 32.0*3.2 respectively with P < 0.01 indicate that the comparison of these three parameters is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amount of CPK extracted in the 20 minutes post 120 minutes of ischemia was compared for the two cardioplegic solution, the results of which turned out to be similar, light microscopic findings were also found to be similar. It is thought that the YUMC cardioplegic solution provided better results than the St. Thomas hospital solution because of the differing composition of the two solution such as glucose, mannitol, albumin were put only in the former solution enhancing osmolarity of the cardioplegic solution providing better hemodynamic results.

  • PDF

심장판막 치환술을 병행한 관상동맥 질환의 수술 (Aortocoronary Bypass Surgery Concomitant with Cardiac Valve Replacement)

  • 김경환;채헌;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3호
    • /
    • pp.187-190
    • /
    • 1994
  • Between March, 1989, and August, 1993, 10 patients underwent aortocoronary bypass surgery concomittant with cardiac valve replacement. They were 6 men and 4 women, the age ranging from 47 to 64. 7 patients underwent single valve replacement and 2 patients underwent double valve replacement, Another one patient underwent only CABG one year after valve replacement and he had no evidence of prosthetic valve failure. Total number of graft vessels were.15,14 were saphenous venous grafts and 1 was internal mammary artery graft. Dyspnea on exertion was frequent symptom and was found in all patients. 8 patients presented stable angina, only 1 patient presented postinfarct angina and another 1 patient presented no angina symptom. The graft was placed prior to valve replacement and periods of myocardial ischemia were kept at a minimum by maintaining coronary perfusion throughout operation.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there was no hospital mortality, as was supported by many reports, it is our opinion that simultaneous valve replacement and aortotomy bypass graft does not increase the risk of cardiac valve replacement substantially.

  • PDF

Effect of Ursodeoxycholic Acid on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Isolated Rat Heart

  • Lee, Woo-Yong;Lee, Sun-Mee;Cho, Tai-So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99-199
    • /
    • 1998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ursodeoxycholic acid (UDCA) on ischemia/reperfusion injury were investigated on retrograded aortic perfusion model. Hearts from Sprague-Dawley rats were perfused with oxygenated Krebs-Henseleit solution (pH 7.4, 37) on a Langendorff apparatus. After equilibration, hearts were treated with ursodeoxycholic acid 10, 20, 40 and 800 M or vehicle (0.04% DMSO) for 10 min before the onset of ischemia. Following 25 min of global ischemia, ischemic hearts were reperfused and allowed to recover for 30 min. The physiological (i.e. heart rate, left ventricular diastolic pressure, coronary flow and time to contracture formation) and biochemical (lactate dehydrogenase, LDH) endpoints were evaluated. In vehicle group, time to contracture formation (TTC) value was 19.5 min during ischemia, LVDP was 20.8 mmHg at the endpoint of reperfusion and LDH activity in reperfusate was 59.7 U/L. Cardioprotective effects of UDCA following ischemia/reperfusion consisted of a reduced TTC (EC$\_$25/ = 16.10 M), reduced LDH release and enhanced recovery of contractile function during reperfusion. Especially, the treatments of UDCA 80 M remarkably increased LVDP (68.1 mmHg) and reduced LDH release (33.2 U/L). Our findings suggest that UDCA ameliorates ischemia/reperfusion-induced myocardial damage, in agreement with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 PDF

Effect of Ursodeoxycholic Acid on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Isolated Rat Heart

  • Lee, Woo-Yong;Han, Suk-Hee;Cho, Tai-Soon;Yoo, Young-Hyo;Lee, Sun-Me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5호
    • /
    • pp.479-484
    • /
    • 1999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ursodeoxycholic acid (UDCA) on ischemia/reperfusion injury were investigated on isolated heart perfusion model. Hearts were perfused with oxygenated Krebs-Henseleit solution (pH 7.4, $37^{\circ}C$) on a Langendroff apparatus. After equilibration, isolated hearts were treated with UDCA 20 to 160 $\mu$M or vehicle (0.04% DMSO) for 10 min before the onset of ischemia. After global ischemia (30 min), ischemic hearts were reperfused and allowed to recover for 30 min. The physiological (i.e. heart rate, left ventricular developed pressure, coronary flow, double product and time to contracture formation) and biochemical (lactate dehydrogenase; LDH) parameters were evaluated. In vehicle-treated group, time to contracture formation was 21.4 min during ischemia, LVDP was 18.5 mmHg at the endpoint or reperfusion and LDH activity in total reperfusion effluent was 54.0 U/L. Cardioprotective effects of UDCA against ischemia/reperfusion consisted of a reduced TTC $(EC_{25}=97.3{\mu}M)$, reduced LDH release and enhanced recovery of cardiac contractile function during reperfusion. Especially, the treatments of UDCA 80 and $160 {\mu}M $ significantly increased LVDP and reduced LDH release. Our findings suggest that UDCA ameliorates ischemia/reperfusion-induced myocardial damage.

  • PDF

한국인의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병태해부학적 연구 (Pathoanatomical Study of Occlusive Coronary Artery Disease in Korean)

  • 채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3호
    • /
    • pp.384-392
    • /
    • 1989
  • Forty case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NUH, Korea were compared with forty cases of the procedure treated at University of Alberta Hospital, Canada, in terms of pathoanatomy. That showed no difference in sex ratio between Korean and Caucasian the average ages, however, were 50.4 years and 60.9 years respectively [p< 0.005]. The leading cause of angina at presentation was unstable angina in Korean, but it was post-infarction angina in Caucasian instead. The incidences of single-vessel disease and double-vessel disease were similar in both countries, but the incidence of so-called triple-vessel disease was higher in Caucasian while left main coronary artery disease was more prevalent in Korean [0.01< P, 0.005]. < The internal diameters of surgically available coronary artery branches had similar characteristics an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m. The predilection sites of stenoses were proximal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eft main coronary artery, proximal left circumflex artery and proximal right coronary artery decreasing in incidence respectively, in Korean. The myocardial perfusion score were 6.80 in single-vessel disease, 7.56 in double-vessel disease, 11.27 in triple-vessel disease and 9.77 in left main disease respectively, in Korean.

  • PDF

허혈성 심근에 관상동맥우회술과 병행한 자가 골수줄기세포 이식 (Autologous Bone Marrow Cell Transplantation Combined with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Ischemic Myocardium)

  • 김현옥;곽영란;강석민;장양수;임상현;안지영;이창영;강면식;유경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7호
    • /
    • pp.547-552
    • /
    • 2004
  • 최근 들어 심부전증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골수줄기세포를 심근에 이식하여 신생혈관을 생성하거나 새로운 심근 생성을 조장하여 심장기능을 개선시키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심근경색 후 심근의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심장박동 상태에서 관상동맥우회술 (OPCAB)과 우회술이 불가능한 부위의 골수줄기세포 이식을 동시에 시행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우회술과 골수줄기세포 이식을 동시에 시행 받았던 4명의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평균연령은 58세(48∼73세)로 모두 불안정성 협심증으로 심근경색의 기왕력이 있었다. 환자의 장골에서 골수를 채취한 후 단핵세포만을 분리하였으며(평균 세포 수 1.5 ${\times}$ $10^{9}$ 개), 이 중에는 평균 6.7${\times}$$10^{6}$ CD34 + 세포와 3.7 ${\times}$ $10^{6}$ AC133 + 세포가 포함되었다. 분리된 단핵세포는 10 cc로 농축하였다. 수술은 관상동맥우회술이 가능한 좌전하행지 부위에는 OPCAB을 시행하고, 나머지 우회로술이 불가능한 심근에는 분리한 단핵세포를 이식하였다. 이식 전 모든 환자는 심초음파, MIBI scan 및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심근의 기능을 검사하였다. 수술 후 1개월에 심초음파 및 MIBI scan을 시행하여 수술 전과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이식편수는 2개였으며, 수술 후 사망이나 부정맥 등 합병증은 없었다. 수술 후 1개월 추적검사에서 모든 환자의 증상은 호전되었으며, 심초음파상에서 좌심실 박출계수는 49%에서 55%로 개선되었고, MIBI scan에서 세포이식 부위의 현저한 관류 개선이 모든 환자에서 있었다. 결론: 심장박동 상태에서 관상동맥우회술(OPCAB)과 우회술이 불가능한 부위에 골수줄기세포 이식을 동시에 시행하는 것은 안전하면서도 심장기능의 개선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심장기능의 개선이 골수줄기세포 단독의 효과라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며, 따라서 대조군을 이용한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중가우시안혼합모델을 이용한 소동물 심근경색 PET 영상의 정량적 평가 기술 (Quantitative Assessment Technology of Small Animal Myocardial Infarction PET Image Using Gaussian Mixture Model)

  • 우상근;이용진;이원호;김민환;박지애;김진수;김종국;강주현;지영훈;최창운;임상무;김경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2권1호
    • /
    • pp.42-51
    • /
    • 2011
  • 전통적으로 심근 생존능을 식별하고 심근 관류를 정확히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핵의학영상이 이용되고 있으나 경색영역을 정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극성지도의 분포를 분석하여 특성에 맞는 적응적 임계값을 이용하여 심근경색 모델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쥐 심근경색 모델은 왼쪽 관상동맥을 결찰시켜 제작하였다. 소동물PET 영상은 37 MBq $^{18}F$-FDG를 쥐의 꼬리정맥에 주사한 후 60분 섭취 후 Siemens Inveon SPECT/PET 스캐너를 이용하여 20분 동안 ECG 신호와 함께 획득하였고, OSEM 2D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재구성하였다. PET 영상의 심근 극성지도는 Siemens QGS 소프트웨어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 후 자동으로 심근 벽을 설정하여 작성하였다. 심근경색영역의 기준데이터는 TTC 염색으로 설정하였으며 전체 좌심실대비 염색된 영역의 백분율로 획득하였다. 최적의 임계값 설정을 위해 절대치 설정 방법, Otsu 알고리즘, 다중가우시안혼합모델(Multi Gaussian mixture model, MGMM)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절대치 설정 방법은 10~90%까지 10%단위로 미리 정의 된 임계값을 이용하였고, Otsu 알고리즘은 영상 내에서 두 군집의 분산을 최대로 하는 임계값으로 설정하였다. MGMM 방법은 영상의 화소 강도를 분석하여 여러 개의 가우시안 분포함수(MGMM2, $\cdots$ MGMM4)로 반복 수행하여 최적의 가우시안 분포를 구하여 적응적 임계값을 설정하였다. 극성지도 평가지표는 각각의 알고리즘에서 측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이진화하고 전체 극성지도와 경색영역의 백분율로 획득한 후, TTC 염색으로 획득된 기준데이터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차이는 절대치 방법의 20%에서 $7.04{\pm}3.44%$, 30%에서 $3.87{\pm}2.09%$, 40%에서 $2.15{\pm}2.07%$이었다. Otsu 방법은 $3.56{\pm}4.16%$이었으며 MGMM 방법은 $2.29{\pm}1.94%$이었다. 소동물 PET 극성지도에서는 30% 임계값이 조직학적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장 작은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TTC 염색으로 측정한 크기가 10% 이하에서는 MGMM 방법이 절대치 방법보다 작은 차이를 보였다(MGMM: 0.006%, 절대치방법: 0.59%). 이 연구에서는 심근경색 모델 평가를 위하여 생체영상 극성지도에서 다중가우시안혼합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MGMM은 사용자의 선택 없이도 자동적으로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적응적 임계값을 찾아주는 방법으로 극성지도에서 심근경색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심근 기능 측정에 사용된 게이트 심근 관류 SPECT 방법의 재현성 평가: $^{201}Tl$$^{99m}Tc$-MIBI 게이트 SPECT의 비교 (Reproducibility of Gated Myocardial Perfusion SPECT for the Assessment of Myocardial Function: Comparison with Thallium-201 and Technetium-99m-MIBI)

  • 현인영;서정기;홍의수;김대혁;김성은;권준;박금수;최원식;이우형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81-392
    • /
    • 2000
  • 목적: Cedars 소프프웨어를 이용한 게이트 SPECT에서 $^{201}Tl$$^{99m}Tc$-MIBI 게이트 SPECT 두 방법으로 측정한 좌심실 부피와 구혈률의 재현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휴식 $^{201}Tl$/부하 $^{99m}Tc$-MIBI 심근 관류 SPECT를 촬영한 환자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30명은 같은 자리에서 휴식 $^{201}Tl$ 게이트 SPECT를, 26명은 부하 후 $^{99m}Tc$-MIBI 게이트 SPECT를 한번 더 촬영하였다. Cedar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연속해 측정된 좌심실 부피와 구혈률에 대하여 표준편차의 기하학적 평균과 Bland Altman 도표를 이용한 방법으로 $^{201}Tl$$^{99m}Tc$-MIBI 게이트 SPECT 방법의 재현성을 각각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연속 촬영한 $^{99m}Tc$-MIBI 게이트 SPECT로 얻은 확장기말 부피와 수축기말 부피, 구혈률에 대한 Bland Altman 도해의 2 표준편차에 상당하는 범위는 14.1 ml, 9.4 ml, 5.5%로 연속 촬영한 $^{201}Tl$ 게이트 SPECT로 얻은 24.1 ml, 18.6 ml, 10.3%보다 좁았다. 또한, 연속 촬영한 $^{99m}Tc$-MIBI 게이트 SPECT로 얻은 확장기말 부피와 수축기말 부피, 구혈률에 대한 표준편차의 기하학적 평균은 2.1 ml, 2.7 ml, 2.3%로 연속 촬영한 $^{201}Tl$ 게이트 SPECT로 얻은 3.2 ml, 3.5 ml, 5.2% 보다 작았다. 결론: 같은 환자를 같은 위치에서 두번 연속하여 촬영한 게이트 SPECT로 평가한 심근기능의 재현성은 $^{99m}Tc$-MIBI게이트 SPECT 방법에서 더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기간별 변동과 약제의 효과를 보기 위한 좌심실 부피와 구혈률 측정에서 $^{201}Tl$보다는 $^{99m}Tc$-MIBI 게이트 SPECT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역행성 심정지액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Using Retrograde Cardioplegics)

  • 문현종;김기봉;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27-33
    • /
    • 1997
  • 관상동맥 우회술에 있어서 전방성 심정지액 주입에 의한 심근 보호의 한계성으로 심정지액의 적절한 분포를 위한 역행성 심정지액의 사용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본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1994년 4월부터 1995년 8월까지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한 95례중 76례에서 역행성 심정 지액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남녀 성비는 남자가 48명, 여자가 28명이며, 평균 연령은 58.2$\pm$8.3세였다. 술전 진단으로 불안정성 협심증이 53례(70%), 안정성 협심증이 14례(18%), 심근 경색후 협심증이 6례 (8%), 경퍼적 관상동맥 확장술후 합병증이 2례 (3%), 급성 심근경색증이 1례 (1%)이었다. 술전 관상동맥 조명술상 3중혈관 질환이 42례 (55%), 2중혈관 질환이 11례 (14%), 단일혈관 질환이 10례 (13%), 좌주관상동맥 질환이 13례(17%) 로, 수술시 대복재정맥 이외에 좌측 내유동맥을 이용한 경우가 69례, 우측 내유동맥의 경우 11례, 좌측 요골동맥을 사용한 경우가 6례, 우측 위대망막동맥의 경우가 1례이었다. 환자 1인당 문합은 평균 3.2 $\pm$ 1.1개이었다 심정지액 주입 방법으로는 75례에서 전향성 심정지액 주입으로 심정지를 유도한 후 역행성 심정지액 주입으로 심근보호를 유지하였고, 역행성 심정지액 주입만으로 심정지유도 및 심근보호를 유지한 경우도 1례가 있었다. 역행성 심정 지액을 간헐적으로 주입한 경우가 19례, 계속적으로 주입한 경우가 57례이었으며, 우관상동맥 문합을 시행하였던 39례의 환자에서는 역행성 심정지액 주입법 및 우관상동맥 이식 편을 통한 전향성 심정지액의 동시주입법을 실시하였다. 수술 사망은 없었으며, 수술후 합병증으로는 부정맥이 15례 (20%), 수술후 심근경 색증이 10례 (13%), 저심박출증이 8례(11%),술후 일과성 신경학적 합병증이 7례 (9%),술후 일과성 정신과적 합병증이 6례 (8%), 급성 신부전이 3례 (4%),술후 출혈 및 폐렴이 각각 2례 (3%), 창상 감염과 십이지장 궤양 천공이 각각 1례 (1 %)이었다. 역행성심정 지액을 이용한 심근 보호법은 고위험도의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우회술에서 수술 위험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심근 보호법이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