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corrhizal structur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Root Age-Dependent Changes in Arbuscular Mycorrhizal Fungal Communities Colonizing Roots of Panax ginseng

  • Kil, Yi-Jong;Eo, Ju-Kyeong;Lee, Eun-Hwa;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416-421
    • /
    • 2014
  • In this study, we examined arbuscular mycorrhizal fungal (AMF) community structure colonizing field-cultivated ginseng roots according of different ages, such as 1- to 5-year-old plant, collected from Geumsan-gun, Korea. A total of seven AMF species namely, Funnelliformis caledonium, F. moseae, Gigaspora margarita, Paraglomus laccatum, P. occultum, Rhizophagus irregularis, and Scutellospora heterogama were identified from the roots using cloning,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large subunit region in rDNA. AMF species diversity in the ginseng root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root age because of the decreased species evenness. In addition, the community structures of AMF in the roots became more unifor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ge of ginseng affects mycorrhizal colonization and its community structure.

Community Structur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Soils and Plant Roots Inhabiting Abandoned Mines of Korea

  • Park, Hyeok;Lee, Eun-Hwa;Ka, Kang-Hyeon;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44권4호
    • /
    • pp.277-282
    • /
    • 2016
  • In this study, we collected rhizosphere soils and root samples from a post-mining area and a natural forest area in Jecheon, Korea. We extracted spor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from rhizospheres, and then examined the sequences of 18S rDNA genes of the AMF from the collected roots of plants. We compared the AMF communities in the post-mining area and the natural forest area by sequence analysis of the AMF spores from soils and of the AMF clones from roots. Consequently, we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of AMF communities varied between the post-mining area and the natural forest area and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eavy metal contents in soi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avy metal contamination by mining activity significantly affects the AMF community structure.

시설재배 토마토 토양에서 Arbuscular 균근균의 분포 (Distribu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the Soil grown Tomato Plants under Greenhouse)

  • 조자용;김진섭;양승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9-228
    • /
    • 2006
  • 전남 담양지역의 시설재배 토마토에서 발생하는 arbuscular 균근균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총 21 농가의 토마토 재배 토양을 채취한 후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를 분리하여 계수한 결과 $500{\mu}m$ 이상은 0.01개 정도, $355{\sim}500{\mu}m$는 0.02개 정도, $251{\sim}354{\mu}m$는 0.09개 정도, $107{\sim}250{\mu}m$는 0.9개 정도, $45{\sim}106{\mu}m$는 2.0개 정도였으며, 토양 g 당 평균 3.02개 정도의 포자밀도로 분포하였다. 토마토 뿌리에서 균근 감염 양상을 보면 vesicle 18.0%, hyphae 6.0%, arbuscule 2.0%등 전체적으로 26.0% 정도의 감염율을 보였다. 분리된 arbuscular 균근균 포자를 수단그라스에 재접종하여 4개월 정도 배양하여 arbuscular 균근균의 동정을 실시한 결과 Glomus sp., Gigaspora sp. 및 Acaulospora sp. 등으로 동정되었다.

  • PDF

Effects of Organic Farming on Communi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 Lee, Si-Woo;Lee, Eun-Hwa;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36권1호
    • /
    • pp.19-23
    • /
    • 2008
  • Red pepper (Capsicum annum L.) roots and soils representing different agricultural management practices such as conventional (CON), no-chemical (NOC), and organic farming systems (ORG) were collected from 32 farm field sites in Kyunggi, Korea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agricultural practices on arbuscular mycorrhizal (AM) symbiosis. ORG inoculum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growth compared to inoculum from CON and NOC. A community analysis of AM fungi (AMF) using morphological features of spores revealed that AMF spore abundance and species divers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RG than in CON. Additionally, a community analysis of AMF colonizing roots using a molecular technique revealed higher AMF diversity in ORG than in C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ricultural practices significantly influence AM fungal community structure and mycorrhizal inoculum potential.

산림(山林)의 토양환경(土壤環境) 조건(條件)에 따른 수지상(樹枝狀) 균근(菌根)(AM)균(菌) 집단(集團)의 종(種) 다양성(多樣性) (Species Diver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Community Depending on Environmental Conditions of Forest Soils)

  • 구창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0-79
    • /
    • 2000
  • Arbuscular mycorrhizal(AM) fungi have significant role for ecosystem structure and function. They are the major component of forest soil ecosystems and critically important for water and nutrient cycling in the system. To understand the ecology of AM fungi the fungal spores were collected, identified and counted in forest soils under various climatic and edaphic conditions. In relation to soil depth 90% of AM fungi spores and mycorrhizas distributed within 15cm soil depth. Number of spores per $100m{\ell}$ forest soil volume was 5 to 36 spores from 1 to 3 fungal species. AM fungal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in warmer climates, and more moist and fertile soils. The most frequently found species were Gigaspora decipiens irrespective of soil moisture and Gi. gigantea irrespective of soil fertility. In the Jeju island the soils of Cryptomeria japonica plantations an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meadow had more AM spores than the other soils. We suggest AM fungi be considered as keystones species when restoring a disturbed forest ecosystem.

  • PDF

Effects of Mycorrhizal and Endophytic Fungi on Plant Community: a Microcosm Study

  • Park, Sang-Hyun;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35권4호
    • /
    • pp.186-190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liar endophytic fungi and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on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experimental microcosms containing an assemblage of five species of plants (Oenothera odorata, Plantago asiatica, Trifolium repens, Isodon japonicas and Aster yomena). Leaves of Sasa borealis, Potentilia fragarioides, and Viola mandshurica were collected in Chungbuk, Korea.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surface sterilized leaves and identified to species level using molecular and morphological techniques. Four isolates of the endophytic fungi were inoculated to the leaves of host plants in the microcosms. Also, three species of AMF spores were extracted from pure cultures and the mixture of the three species inoculated to the roots of the plants. After four months of growth in a green house, effects of both symbiotic fungi on plant species diversity, community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were examined. The plant species divers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inoculation of the symbiotic fungi. Results indicate that AMF significantly affect plant productivity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충남 섬 지역 근권 토양의 수지상균근균 군집 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the Islands of Chungnam, Korea)

  • 이정윤;이은화;가강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6-2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충남 서해안에 분포하는 5개의 섬 지역(신진도, 마도, 대난지도, 원산도, 삽시도)과 육지 해안 지역인 무창포의 근권 토양내 수지상균근균 군집 구조의 차이점을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충남 지역에서 국내 미기록종인 Acaulospora brasiliensis, Redeckera fulvum를 포함하여 14개 속 24종의 수지상균근균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섬 지역에서 Acaulospora 속이 우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섬 지역의 근권에서는 육지 지역과는 다른 수지상균근균 군집 구조가 발달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섬 간의 수지상균근균 군집은 섬들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 유사하게 발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설재배지 무경운 토양에서 녹비작물별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감염양상과 포자밀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Spore Density and Colonization Patter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the No-tillage Soil under Greenhouse Condition)

  • 양승구;서윤원;김병호;손보균;위치도;이정현;정우진;박노동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3-355
    • /
    • 2011
  • 월동 녹비작물 재배가 시설 토양과 무경운 유기재배 고추의 균근균 포자밀도 및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월동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기주작물별 균근균 활성 포자수는 대조구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기주 작물별 균근균 활성 포자의 밀도는 보리와 완두콩이 호밀, 헤어리베치, 쇠별꽃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에 고추를 무경운 정식하여 재배한 토양의 AMF 포자 밀도는 대조구와 녹비작물 종류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AMF 밀도보다 후 작물로 고추를 재배한 토양의 AMF밀도는 감소되었으나, AMF 밀도의 균일도는 증가되었다. 한편 보리 녹비작물을 예취하여 제거한 토양의 AMF포자 밀도는 제거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 균근균의 기주작물별 포자 형태와 크기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녹비작물 재배 후작물로 고추를 재배한 토양에서 분리된 AMF포자 형태와 크기도 동일하였다. 녹비 작물별로 뿌리의 내생 균근균 감염율이 쇠별꽃, 호밀과 헤어리베치는 낮은 경향이었으나, 보리 녹비의 감염율은 유의성 있게 높았다. 고추 뿌리 내의 AMF 감염율은 녹비작물의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보리 녹비를 예취하여 제거한 처리의 감염율은 보리 녹비작물을 전량 토양에 투입한 처리 보다 높았다. 녹비작물 뿌리와 고추 뿌리의 내생 균근균의 주요 감염구조는 뿌리의 내부균사(Internal hyphae)로 균사간의 Network가 매우 발달되었다. 그리고 녹비작물과 고추 뿌리에서 Arbuscule이 형성되었으며, 근권 토양의 AMF포자밀도와 고추 뿌리 감염율의 상관관계도 파악할 수 없었다.

몇 가지 식물(植物) 중(中)의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e 에 관(關)하여 (IV)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e in Some Plants (IV))

  • 김종균;최두문;문형태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14-222
    • /
    • 1989
  • 석회암(石灰岩)지대의 두 지점(地點)에서 채집(採集)한 103종(種)(41과(科))의 식물뿌리 표본(標本) 중에서 9종(種)(95.1%)에서 VA mycorrhizae가 발견되었다. 그 밖의 5종(種)에서는 균근(菌根)구조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 종(種)들은 다음과 같은 과(科)에 속하는 것들이다 : Equisetaceae, Davalliaceae, Amaranthaceae, Ericaceae. 이것과 비교하기 위하여 석회암(石灰岩)지역이 아닌 두 지점(地點)에서 채집(採集)한 124종(種)(51과(科))의 표본(標本) 중에서 99종(種)이 VA mycorrhizae였다. 25종(種)은 Nonmycorrhiza였으며 그들은 다음과 같은 16과(科)에 속하는 것이었다 : Equisetaceae, Pteridacaea, Davalliaceae, Cyperaceae, Commelinaceae, Polygonaceae, Chenopodiaceae, Phytolaceaceae, Amaranthaceae, Aizoaceae, Portulacaceae, Caryophyllaceae, Fumariaceae, Cruciferae, Ericaceae and Rubiaceae.

  • PDF

송이균 접종으로 외생균근을 형성한 소나무 묘목의 PDMP 및 Tween 용액 처리에 의한 순화 (Acclimation of Ectomycorrhizal Pine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oculated with Tricholoma matsutake by the Treatment of PDMP and Tween Solutions)

  • 박현;이봉훈;가강현;유성열;박원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357-362
    • /
    • 2009
  • 송이균을 접종하여 균근을 형성시킨 소나무 묘목을 실외로 가지고 나갈 경우 송이 균근이 이탈되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실내에서 형성한 송이균 접종 소나무 배지의 초기 토양구조를 유지하며 수분을 공급하고자 배양병의 아래에 구멍을 뚫어 화분형태로 변형을 시킨 후 8종류의 급수방식을 시도하였다. 증류수만을 공급한 경우에는 송이 균근이 이탈되었지만, 2.5% PDMP(24 g potato dextrose broth, 3 g malt extract, 1 g peptone) 용액이나 0.5% Tween 80 용액을 2주 간격으로 관수한 경우에는 3개월의 순화처리 이후에도 송이 균근이 강한 활성을 띠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순화기간동안 송이 균근 형성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순화 성공률은 70% 수준에 이르렀다. 금후 송이를 접종한 소나무 묘목은 이러한 순화처리 과정을 거쳐서 균근을 안정시킨 후 현지에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