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corrhizal inoculation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4초

Glomus mosseae와 Bradyrhizobium sp. R938의 동시 접종에 의한 땅콩의 질소고정력 증진효과 (Effect of Dual Inoculation with Glomus mosseae and Bradyrhizobium sp. R938 on the Nitrogenase Activity of Arachis hypogeae L.)

  • 서현창;김창진;김신덕;유익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8-552
    • /
    • 1991
  • Bradyrhizobium sp. R938과 VA 내성 균근균인 Glomus mosseae의 동시 접종이 영호 땅콩의 질소고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포트 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땅콩에 Glomus mosseae와 Bradyrhizobium을 동시에 접종한 처리에서 질소고정력이 Bradyrhizobium만을 접종한 것보다 1.5배 증가되는 결과를 얻었다. 땅콩을 69일 동안 생육시킨 결과 근류의 크기도 내생균근균의 동시 접종으로 인해 증가되었다. 동시접종처리구에서 근류 하나의 평균 중량은 6.7mg으로, Bradyrhizobium만을 접종한 것보다 1.5배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Bradyrhizobium과 Glomus mosseae의 동시 접종은 양분 흡수의 증진을 통한 질소고정력 증진효과 이외에도 VA 내생균근균으로 인한 호르몬 효과가 있으리라는 점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d Soil Conditions on Crop Plant Growth

  • Kim, Sang Joon;Eo, Ju-Kyeong;Lee, Eun-Hwa;Park, Hyeok;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45권1호
    • /
    • pp.20-24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n various crops of inoculation with spec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n soils from different sources and selected AMF species suitable for domestic environment-friendly farming. Effects on plants varied with the AMF species used. In carrot, Scutellospora heterogama, Acaulospora longula, and Funneliformis mosseae had a positive effect on growth of the host, whereas AMF had only weak effects on the growth of red pepper and leek. AMF inocul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growth of carrot and sorghu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plants, and AMF; this study therefore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use of AMF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Dual Inoculation of Native Rhizobium spp. and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 Impact Study for Enhancement of Pulse Production

  • Choudhury, Bula;Azad, Padum
    • Mycobiology
    • /
    • 제32권4호
    • /
    • pp.173-178
    • /
    • 2004
  • Fifteen Rhizobium spp. from nodules of 6 common pulses collected from 6 districts of Assam were studied for their infectivity, intrinsic antibiotic resistance, nitrogenase activity and effect of dual inoculation with two native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viz. Glomus mosseae(GM) and Gigaspora gilmarie(GG). Out of the 15 isolates 9 were found nodulation positive and 6 of them(AR1, BR8, BR12, AR10, UR10 & GR21) were subjected to intrinsic antibiotic sensitivity test of which AR1 showed resistance against all the 9 test antibiotics. Isolates AR1 and GR21 showed the highest(4.25 mole, $gm^{-1}hour^{-1}$) and the lowest(1.05 mole, $gm^{-1}hour^{-1}$) nitrogenase activity respectively. In Most Probable Number count, the maximum Rhizobium population $5.8{\times}10^5$, was found in both Blackgram and Greengram variety of pulses. The maximum dry weight of nodules(3.14 g), dry weight of shoot(10.08 g), nitrogen content(7.68 mg, $plant^{-1}$), chlorophyll content(1.89 mg, $g^{-1}$), phosphorus content of shoot(6.17 mg, $g^{-1}$) and yield(535.67 kg, $Ha^{-1}$) were found when AR1 dually inoculated with GM in Blackgram.

Influence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us and Kinetin on the Response of Mungbean Plants to Irrigation by Seawater

  • Rabie, G.H.
    • Mycobiology
    • /
    • 제32권2호
    • /
    • pp.79-87
    • /
    • 2004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inoculation with the mycorrhizal fungus Glomus clarum and foliar application of kinetin on the growth of mungbean plant irrigated wht different dilution of seawater. Arbuscular-mycorrhizal(AM) inf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dry weight, height, chlorophyll, sugar and protein content, nitrogen and phosphorus-use efficiencies, leaf conductivity, transpiration rate, nitrogenase, acid and alkaline phosphates activities of all salinized mungbean plants in comparison with control and non-mycorrhizal plants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kinetin. Mycorrrhizal plants showed higher concentrations of N, P, K, Ca and Mg and lower Na/N, Na/P, Na/K, Na/Ca and Na/Mg ratios than non-mycorrhizal plants when irrigated with certain dilution of seawater. Mungbean plants showed 597% and 770% dependency on AM fungus G. clarum in absence and presence of kinetin, respectively, for biomass production under a level of 30% of seawater. The average value of tolerance index for mycorrhizal plants accounted 267% and 364% in absence and presence kinetin respectivel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benefits of kinetin which are actually known for mycorrhizal than non-mycorrhzal plants. AM fungus and kinetin protected the host plants against the detrimental effects of salt. However, mycorrhizal infection was much more effective than kinetin applications. Thus management applications of this arbuscular mycorrhizal endophyte(G. clarum) with kinetin could be of importance in using seawater in certain dilution for irrigation in agriculture.

시설원예(施設園藝) 작물(作物)에서 토착(土着) VA균근균(菌根菌)에 관한 연구(硏究) -III. 토착(土着) VA 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 (Studies on the Indigenous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VAMF) in Horticultural Crops Grown Under Greenhouse -III. Effects of the Indigenous VAMF Inoculation on the Early Growth and the Subsquent Growth after Transplanting of Greenhouse Grown Crops)

  • 손보균;양원모;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9-107
    • /
    • 1992
  • 공시작물(供試作物) 오이, 토마토, 가지, 고추 및 멜론의 육묘단계(育苗段階)를 포함(包含)한 초기생육(初期生育)에 토착(土着) VA균근균(菌根菌)의 접종효과를 구명(究明)하기 위해 수행(遂行)한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건물중(乾物重),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 등에서 공시(供試)된 5개 작물(作物) 모두 VA균근균(菌根菌)의 접종효과를 보였는데 오이의 경우 엽면적(葉面積)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差異)를 보이고, 초장(草長)은 정식(定植) 후인 출아(出芽) 후 6주부터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토마토의 경우는 엽면적(葉面積)과 초장(草長)에서 전(全) 조사기간(調査時期)에 토착(土着) VA균근균(菌根菌) 접종처리(接種處理)에서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에 대한 VA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는 정식(定植) 후에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멜론의 초장(草長)과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에서 전(全) 조사기간(調査期間)에 유의성(有意性)있는 VA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를 보이고 인정(認定)되었고 뿌리 신선중(新鮮重)에서도 출아(出芽) 후 4주부터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가지의 경우에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의 경시적(經時的) 조사결과(調査結果) 출아(出芽) 후 4주부터 유의성(有意性)있는 VA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가 인정(認定)되었으며, 초장(草長)의 경우도 이식(移植) 후에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差異)를 나타냈으며, 엽면적(葉面積)과 지상부(地上部) 신성중(新鮮重)은 출아(出芽)후 8주, 12주 조사시(調査時)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고추의 엽면적(葉面積)에서 VA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가 초기(初期)부터 크게 나타났고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 및 신선중(新鮮重)도 출아(出芽) 후 4주를 제외(除外)한 전(全) 조사기간(調査時期)에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差異)를 나타냈다. 공시(供試)된 작물(作物)의 VA균근균(菌根菌) 감염률(感染率)은 생율(生育)의 진전(進展)에 따라 증가(增加)되었으며, 고추를 제외(除外)한 나머지 작물(作物)에서 이식(移植) 후 1주경에는 떨어졌으나 출아(出芽) 후 8주의 조사시(調査時)에는 다시 회복(回復)되어 출아(出芽)후 12주에 50% 내외(內外)의 감염률(感染率)을 보였고, 출아(出芽) 후 12주의 공시작물(供試作物) 근권(根圈)중 포자밀도(胞子密度)는 건토(乾土) 50g당 $72.7{\pm}26.3{\sim}100{\pm}10.3$개의 수준(水準)이었으며 오이와 토마토에서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지상부(地上部) 식물체(植物體)의 무기성분(無機成分) 분석결과(分析結果)에서 전(全) 질소(窒素)는 VA균근균(菌根菌) 접종처리(接種處理)에서 낮은 함량(含量)을 보였고, 인산(燐酸)은 토마토와 고추에서, 가리(加里)는 오이와 가지에서, 석회(石灰)는 토마토, 고토(苦土)는 토마토와 멜론에서 가장 높은 함량(含量)을 나타냈으며, 미량질소(微量窒素)인 철(鐵), 아연(亞鉛), 망간 및 구리 등의 함량(含量)에서도 VA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가 인정(認定)되었지만 가지에서는 오히려 낮은 흡수량(吸收量)을 보였다.

  • PDF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으로 접종(接種)한 포플러 4개(個)개 수종(樹種) 삽목묘(揷木苗)의 체내(體內) 부위별(部位別) Cd과 Pb 축적(蓄積) 특성(特性) (The Cd and Pb Accumulation in Various Tissues of Rooted Cuttings of Four Populus Species Inoculated with Ectomycorrhizal Fungi, Pisolithus tinctorius)

  • 한심희;이경준;현정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495-504
    • /
    • 2001
  • 본 연구는 포플러 4개 수종의 체내 부위별 Cd과 Pb 축적 특성을 이해하고, 균근 형성이 중금속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외생균근균인 모래밭버섯균(Pisolithus tinctorius)을 현사시나무(Populus alba${\times}$glandulosa), 수원포플러(P. koreana${\times}$nigra var. italica), 양황철(P. nigra${\times}$maximowiczii), 이태리포플러(P. euramericana)의 삽수에 접종하여 화분에서 생장시켰다. 화분은 균근균 접종구와 비접종구로 구분하였으며, Cd은 토양에 0, 30, 80ppm으로, 그리고 Pb은 0, 50, 300ppm으로 처리하였다. 가을까지 야외에서 생육시킨 다음, 수확 후 총 생체량, Shoot/Root율, Cd과 Pb의 농도를 부위별로 측정하였다. 모래밭버섯균을 접종한 이태리포플러는 Cd과 Pb 처리 모두에서 비접종구보다 총 생체량이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세 수종에서는 접종 효과가 없었다. 균근균 접종으로 수원포플러와 이태리포플러의 S/R율은 증가하였다. 현사시나무는 포플러 4개 수종 중 Cd을 가장 높은 농도로 축적하였으며, 균근균 접종은 Cd 축적 농도를 4배정도 증가시켰다. 현사시나무는 잎, 줄기, 뿌리 중에서 잎에 가장 높은 농도로 Cd을 축적한 반면 다른 세 수종은 뿌리에 가장 높은 농도로 축적하였다. 그러나 Pb 축적 농도는 4개 수종 중에서 현사시나무가 가장 낮았다. Pb의 축적은 포플러 4개 수종모두뿌리에서 가장 높았으나 수원포플러는 잎에도 뿌리만큼 축적하였다. 균근균을 접종하지 않은 경우 Pb의 축적은 이태리포플러에서 가장 높았으나, 균근균을 접종할 경우 수원포플러에서 Pb 축적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사시나무는 토양으로부터 Cd을 흡수하는데 효과적인 수종이며 이태리포플러는 Pb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균근균을 접종하면 현사시나무의 경우 Cd을 4배, 수원포플러의 경우 Pb을 2배 이상 더 흡수할 수 있고, 이 두 수종은 잎에 중금속을 축적하므로, 낙엽을 수거한다면 중금속 오염 토양의 생물 정화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결론 짓는다.

  • PDF

땅찌만가닥버섯균(菌)의 접종(接種)이 참싸리 묘목(苗木)의 균근형성(菌根形成)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Lyophyllum shimeji Inoculation on the Mycorrhizal Formation and Seedling Growth of Lespedeza cyrtobortya)

  • 이상용;정주해;이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46-152
    • /
    • 2005
  • 훼손된 비탈면의 조림에 균근균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땅찌만가닥버섯(Lyophyllum shimeji)의 배양학적 특성 및 인공접종에 의한 참싸리(Lespedeza cyrtobotrya)에서의 균근 형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L. shimeji는 MP (1% malt extract, 0.1% peptone, 1% glucose, 1.5% agar)배지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균사 최적 배양 온도 및 pH는 각각 $25^{\circ}C$ 및 pH 6 이었다. 인공접종에 의한 참싸리에서의 균근 형성 특성을 조사한 결과, L. shimeji는 Hartig net을 형성하는 외생균근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균근 접종 실생 묘목 뿌리의 생장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균근 접종 실생 묘목을 비탈면에 이식하였을 때의 생존율 및 건중량은 각각 62% 및 850 mg/본 이었으나, 균근을 접종하지 않은 실생 묘목의 생존율 및 건중량은 각각 11% 및 430 mg/본 이었다.

VA 내생균근균(內生菌根菌)과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으로 이중접종(二重接種)한 사방오리나무와 아까시나무의 생장촉진(生長促進)과 접종(接種)의 상승효과(相乘效果) (Growth Stimulation of Alnus firma and Robinia pseudoacacia by Dual Inoculation with VA Mycorrhizal Fungi and Nitrogen-Fixing Bacteria and Their Synergistic Effect)

  • 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229-234
    • /
    • 1988
  • 내생균근(內生菌根)이 질소(窒素)를 고정(固定)하는 수목(樹木)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시비(施肥)에 따른 균근균(菌根菌)의 효율(效率)을 평가(評價)하기 위하여, 사방오리나무 유묘(幼苗)를 화분(花盆)에서 Glomus mosseae로 접종(接種)하고 아까시나무를 묘포장(苗圃場)에서 Glomus sp. 와 Gigaspora sp. 로 접종(接種)하여 6개월후(個月後)에 접종효과(接種效果)를 조사(調査)하였다. 시비(施肥)하지 않은 사방오리나무의 경우에 토양훈증후(土壤燻蒸後) G. mosseae로 접종(接種)하여 건중량(乾重量)이 27%, 묘고생장(苗高生長)이 18% 증가(增加)하였고, G. mosseae와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으로 이중접종(二重接種)하여 건중량(乾重量)이 83% 증가(增加)하는 상승효과(相乘效果)를 가져왔다. 시비(施肥)한 사방오리나무의 경우에는 균근접종(菌根接種)이나 이중접종(二重接種)으로 인(因)하여 생장(生長)이 감소(減少)하였다. 아까시나무의 경우에 시비(施肥)하지 않은 묘목(苗木)에서 이중접종(二重接種)으로 인(因)하여 건중량(乾重量)이 25%, 묘고생장(苗高生長)이 23% 증가(增加)하였으며 시비(施肥)한 경우 이중접종(二重接種)으로 묘고생장(苗高生長)이 13% 증가(增加)하였다. 위와같은 실험(實驗)으로 Glomus mosseae는 사방오리나무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고, 균근균(菌根菌)과 근류근(根瘤菌)의 이중접종(二重接種)으로 상승효과(相乘效果)가 나타나며, 균근균(菌根菌)의 효과(效果)는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가 낮을때 더 크게 나타난다고 결론(結論)짓는다.

  • PDF

Increased Salinity Tolerance of Cowpea Plants by Dual Inoculation of an Arbuscular Mycorrhizal Fungus Glomus clarum and a Nitrogen-fixer Azospirillum brasilense

  • Rabie, G.H.;Aboul-Nasr, M.B.;Al-Humiany, A.
    • Mycobiology
    • /
    • 제33권1호
    • /
    • pp.51-60
    • /
    • 2005
  • Pot greenhou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attempt to increase the salinity tolerance of one of the most popular legume of the world; cowpea; by using dual inoculation of an Am fungus Glomus clarum and a nitrogen-fixer Azospirillum brasilense. The effect of these beneficial microbes, as single- or dual inoculation-treatments, was assessed in sterilized loamy sand soil at five NaCl levels ($0.0{\sim}7.\;2ds/m$) in irrigating wa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ercentage of mycorrhizal infection, plant height, dry weight, nodule number, protein content, nitrogenase and phosphatase activities, as well as nutrient elements N, P, K, Ca, Mg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increasing salinity level in non-mycorrhized plants in absence of NFB. Plants inoculated with NFB showed higher nodule numbers, protein content, nitrogen concentration and nitrogenase activities than those of non-inoculated at all salinity levels. Mycorrhized plants exhibited better improvement in all measurements than that of non-mycorrhized ones at all salinity levels, especially, in the presence of NFB. The concentration of $Na^+$ was significantly accumulated in cowpea plants by rising salinity except in shoots of mycorrhizal plants which had $K^+/Na^+$ ratio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This study indicated that dual inoculation with Am fungi and N-fixer Azospirillum can support both needs for N and P, excess of NaCl and will be useful in terms of soil recovery in saline area.

Applic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during the Acclimatization of Alpinia purpurata to Induce Tolerance to Meloidogyne arenaria

  • da Silva Campos, Maryluce Albuquerque;da Silva, Fabio Sergio Barbosa;Yano-Melo, Adriana Mayumi;de Melo, Natoniel Franklin;Maia, Leonor Cost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3호
    • /
    • pp.329-336
    • /
    • 2017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olerance of micropropagated and mycorrhized alpinia plants to the parasite Meloidogyne arenaria. The experimental design was completely randomized with a factorial arrangement of four inoculation treatments with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Gigaspora albida, Claroideoglomus etunicatum, Acaulospora longula, and a non-inoculated control)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 arenaria with five replicat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fter 270 days of mycorrhization and 170 days of M. arenaria inoculation: height, number of leaves and tillers, fresh mass of aerial and subterranean parts, dry mass of aerial parts, foliar area, nutritional content, mycorrhizal colonization, AMF sporulation, and the number of galls, egg masses, and egg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treatments for AMF spore density, total mycorrhizal colonization, and nutrient content (Zn, Na, and N), while the remaining parameters were influenced by either AMF or nematodes. Plants inoculated with A. longula or C. etunicatum exhibited greater growth than the control. Lower N content was observed in plants inoculated with AMF, while Zn and Na were found in larger quantities in plants inoculated with C. etunicatum. Fewer galls were observed on mycorrhized plants, and egg mass production and the number of eggs were lower in plants inoculated with G. albida. Plants inoculated with A. longula showed a higher percentage of total mycorrhizal colonization in the presence of the nematode. Therefore, the association of micropropagated alpinia plants and A. longula enhanced tolerance to parasitism by M. arena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