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x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27초

음용수 중 변이원성 물질(MX)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nalysis of mutagen in drinking water)

  • 유은아;원정인
    • 분석과학
    • /
    • 제19권4호
    • /
    • pp.290-300
    • /
    • 2006
  • 세계적으로 음용수 공급을 위한 정수 공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쓰이고 있다. 그 중 염소는 값이 싸고 비교적 사용하기 쉬우며 미생물 제거 효과가 좋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독제이다. 그러나 소독과정 중에 독성을 가지는 소독부산물을 생성시키는 문제가 있다. 대표적인 소독부산물에는 트리할로메탄같은 휘발성 물질과 유기염소산같은 비휘발성 물질이 있고, 최근 새로이 3-chloro-4-dichloromethyl-5-hydroxy-2(5H)-furanone (MX)라는 물질이 대두되고 있다. MX는 음용수 중 총 변이원성의 20-50%에 해당하는 강력한 변이원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이에 WHO에서는 MX를 유해물질로 선정하였으나 분석적 어려움과 독성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아직 정확한 기준치가 설정되지는 않았다. MX는 음용수 중에 21.9-30.3 ng/L 수준의 미량이 존재하였으므로 좀 더 효율적인 분석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 방법의 개선을 위해 액체-액체 추출방법과 고체상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그 추출효율이 더 좋은, 고체상 추출방법을 채택하였다. 이미 여러 국가에서 MX의 분포를 조사한 바 있으나 국내에서는 MX의 분포 조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각 정수장별 MX 함량과 수계별 MX 함량을 조사하여 국내의 MX 분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MX의 생성패턴을 알고자 염소투입량, 정수장으로부터의 거리, 계절 수온 및 여러 수질조건에 따라 MX생성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본 결과 MX의 생성은 염소투입량과 계절, 수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X의 최적 소독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오존이나 입상활성탄(GAC)을 사용하는 고도처리수에서의 MX 함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MX의 생성은 염소 투입량과 계절, 수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존 처리한 고도처리수에서의 MX 생성이 최소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haracterization and Antiviral Effects of Mx Proteins from Various MHC Haplotype Chickens Showing Different Susceptible to Marek's Disease Virus

  • Chang, Kyuug-S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29-238
    • /
    • 2010
  • Chicken Mx protein (cMx) induced interferon (IFN) is an antiviral protein to inhibit replication of RNA virus, particularly negative stranded RNA virus, through blockage of transfortation of viral RNA and proteins. In order to determine antiviral effects of cMx from different MHC haplotype chicken, we characterized cMx gene by studying on nucleotide sequencing, antiviral effects to Newcastle disease virus, VSV and MDV, and transcription activities. Three types of eMx genes (2,118 bp) were detected from the different MHC haplotype chickens [B19 (N), B15(F) and B21 (GSP)] chickens, which have showed different susceptible to Marek's disease (MD). Several amino acid substitutions were showed in the cMx. The amino acid 548 and 631 in the cMxs from N and F, chickens susceptible to MD, was Val and Asn which was important on antiviral effects, and showed in resistant cMx. Those in the cMx from GSP, chicken resistant to MD, were same that showed in susceptible cMx. Though every cMx transactivated the expression of the reporter gene, the transcription activation by resistant cMx from N and F was lower compared to that by susceptible cMx from GSP. The decease of the cell growth in the resistant cMx cloned cells was seen in comparison with another cMx clone cells. Replication of NDV and VSV was suppressed in the clones with resistant cMx from N and F. NMx258-transducted cells lack of antiviral effects, and NMx437 or NMx646-transducted cells was showed 60% of antiviral effects compared to NMx705. Mean death time (MDT) and hemaggutination (HA) titer to NDV was long and low in the eggs of N and F lines, but short and high in the egg of GSP line. Interestingly, strong suppression to NDV was observed in the clone with N-Mx and in the eggs of N line. However, the effects of Mx for replication of vvMDV1 have not been. Thus, resistant types of cMx, N- and F-Mx, have showed the anti-viral effects to only RNA virus including NDV and VSV, but not to DNA virus. Antiviral effects of cMx were required whole length of amino acid including Val and Asn in amino acid 548 and 631.

CMS-MX 소프트웨어의 버전 관리 (Version management of CMS-MX software)

  • 신재욱;박광로;이남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880-1889
    • /
    • 1997
  • CMS-MX(CDMA Mobile System-Mobile eXchange) 이동통신교환기 소프트웨어는 그 규모가 크고 새로운 기능 추가에 따른 지속적인 변경이 요구되기 때문에 체계적인 버전 관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CMS-MX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형태의 파일들로 구성되어 있고 고유의 소프트웨어 개발 체계를 따르기 때문에 범용의 버전 관리 시스템을 그대로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CMS-MX 소프트웨어의 개발 환경 및 개발 체계에 적합하도록 구현된 CMS-MX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시스템을 소개하고 그 구성과 기능에 대해 기술하였다. CMS-MX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형상과 소프트웨어 개발자 정보를 하여 파일의 등록관리, 버전제어, 그리고 정보 관리의 기능을 수행하며 파일 전체 저장, 파일 검증, 소프트웨어 종합 작업과의 연계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 PDF

시료 농축 후 액-액-추출과 GC-MS를 이용한 염소 소독 음용수중 3-chloro-4-(dichloromethyl)-5-hydroxy-2(5H)-furanone(MX)의정량 분석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3-chloro-4-(dichloromethyl)-5-hydroxy-2(5H)-furanone (MX) in chlorinated drinking water using sample enrichment followed by liquid-liquid extraction and GC-MS)

  • 김희갑;송병열
    • 분석과학
    • /
    • 제29권1호
    • /
    • pp.29-34
    • /
    • 2016
  • 염소로 소독된 음용수에서 수백 ng/L의 농도까지 검출되는 3-chloro-4-(dichloromethyl)-5-hydroxy-2(5H)-furanone(MX)를 시료 농축 후 액-액 추출(LLE), 메틸 유도체화 및 GC-MS로 정량 분석하였다. 4 L의 물 시료를 감압회전증발기를 사용해 30 ℃에서 0.4 L로 농축하였다. 물 중의 MX는 ethyl acetate(100 mL × 2)를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액 중 MX는 10 % H2SO4 in methanol로 methyl 유도체를 만들었다. MX의 회수율은 73.8 %이었으며, 이는 수지 흡착법의 38.1 %보다 높았다. 정량한계와 반복성(RSD)은 각각 10 ng/L와 2.2 %로 추정되었다. 이 결과는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는 수지 흡착법의 대체 방법으로 LLE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Developing a Virus-Binding Bacterium Expressing Mx Protein on the Bacterial Surface to Prevent Grouper Nervous Necrosis Virus Infection

  • Lin, Chia-Hua;Chen, Jun-Jie;Cheng, Chiu-M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8호
    • /
    • pp.1088-1097
    • /
    • 2021
  • Grouper nervous necrosis virus (GNNV) infection causes mass grouper mortality, leading to substantial economic loss in Taiwan. Traditional methods of controlling GNNV infections involve the challenge of controlling disinfectant doses; low doses are ineffective, whereas high doses may cause environmental damage. Identifying potential methods to safely control GNNV infection to prevent viral outbreaks is essential. We engineered a virus-binding bacterium expressing a myxovirus resistance (Mx) protein on its surface for GNNV removal from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thus increasing the survival of grouper fin (GF-1) cells. We fused the grouper Mx protein (which recognizes and binds to the coat protein of GNNV) to the C-terminus of outer membrane lipoprotein A (lpp-Mx) and to the N-terminus of a bacterial autotransporter adhesin (Mx-AIDA); these constructs were expressed on the surfaces of Escherichia coli BL21 (BL21/lpp-Mx and BL21/Mx-AIDA). We examined bacterial surface expression capacity and GNNV binding activity throug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e also evaluated the GNNV removal efficacy of the bacteria and viral cytotoxicity after bacterial adsorption treatment. Although both constructs were successfully expressed, only BL21/lpp-Mx exhibited GNNV binding activity; BL21/lpp-Mx cells removed GNNV and protected GF-1 cells from GNNV infection more efficiently. Moreover, salinity affected the GNNV removal efficacy of BL21/lpp-Mx. Thus, our GNNV-binding bacterium is an efficient microparticle for removing GNNV from 10‰ brackish water and for preventing GNNV infection in groupers.

초분광센서와의 상호교정을 통한 RedEdge-MX 다분광 카메라의 보정계수 산출 (Calculation of correction coefficients for the RedEdge-MX multispectral camera through intercalibration with a hyperspectral sensor)

  • 백승일;고수윤;김원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07-716
    • /
    • 2020
  • 원격탐사 분야에서 물체의 특성을 정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분광센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드론에 탑재하여 운영할 수 있는 경량 다분광 카메라의 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정량적 원격탐사를 위해서는 카메라 또는 센서에서 획득된 복사량의 정확도가 중요하지만, 저가의 다분광 카메라의 경우 복사정확도에 대한 독립적인 검증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농작물 모니터링, 식생 분석, 수질 분석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MicaSense사의 RedEdge-MX 카메라에 대한 복사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미국 NIST 표준에 따라 교정된 초분광 센서인 TriOS RAMSES를 이용하여, RedEdge-MX 센서의 복사휘도 및 복사조도에 대한 상대 보정계수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RedEdge-MX의 복사휘도는 밴드별로 RAMSES보다 5~16% 가량 낮게 나타났고, 복사조도 역시 1~20% 가량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RedEdge-MX의 관측값을 RAMSES에 상응하는 값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보정계수를 1차 그리고 3차 회귀분석을 통하여 제공한다.

Expression Analysis of the Mx Gene and Its Genome Structure in Chickens

  • Yin, C.G.;Du, L.X.;Li, S.G.;Zhao, G.P.;Zhang, J.;Wei, C.H.;Xu, L.Y.;Liu, T.;Li, H.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7호
    • /
    • pp.855-862
    • /
    • 2010
  • Among the known interferon-induced antiviral mechanisms, the Mx pathway is one of the most powerful pathways. The Mx protein has direct antiviral activity and inhibits a wide range of viruses by blocking an early stage of the viral replication cycle.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Mx in vivo and in vitro have been conducted. The chicken Mx gene spans 21 kb and is made up of 14 exons and 13 introns, of which the promoter region was analyzed. The real-time PCR results showed that Mx expression was increased in chicken embryo fibroblasts (CEF) after 12- and 24-h induction with polyI: C. Induction of Mx expression by poly I: C in vivo revealed tissue-specific patterns among the chicken tissues tested. A trace expression of Mx was detected in healthy chicken liver tissues from adult chickens without inducement; the expression levels in the liver, heart, and gizzard were higher than in the muscle and kidney. This is the first report to demonstrate the expression of a glutathione-S-transferase-tagged-Mx fusion protein of 75 KDa, as well as the biological activity tested by SDS-PAGE and western blotting.

MX-S2X(선박중심직접통신) 물리계층 구현 및 성능분석

  • 김혜진;류형직;김원용;김부영;심우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6-98
    • /
    • 2022
  • MX-S2X(선박중심직접통신)은 디지털 통신 연계기술 개발 및 실증을 통한 육상·선박·시설의 유기적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도래할 해상 통신 기술 인프라로서의 효과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 무설설비 다각화 및 통신연계 기술개발 '의 1차년도에 수행한 MX-S2X 시스템의 물리계층 설계에 대한 보완 및 해상통신을 위한 최적화를 통해 상세설계를 확정하고, 이를 구현/제작한 HW의 성능을 검증한다. 제작한 HW의 검증을 위해 시험환경을 구성하여 PER 성능을 측정하고 M&S 결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MX-S2X HW의 기능 및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비면허대역용 선박 사물 통신을 위한 MX-S2X(선박중심직접통신) 연구

  • 김혜진;김원용;김부영;심우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1-123
    • /
    • 2021
  • 선박중심직접통신(MX-S2X)은 디지털 통신 연계기술 개발 및 실증을 통한 육상·선박·시설의 유기적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해양사고 저감 및 자율운항선박을 위한 인프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MX-S2X 기술개발에 대한 소개, MX-S2X 개발을 위한 운용 및 설계 요구사항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해상 통신 환경이 통신성능에 영향을 끼칠수 있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MX-S2X 시스템의 물리계층 설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비면허대역용 선박중심직접통신(MX-S2X) 개발현황 및 향후계획

  • 김혜진;김병기;김원용;김부영;심우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9-151
    • /
    • 2023
  • MX-S2X(선박중심직접통신)은 선박을 중심으로 한 D2D 통신을 통해 육상·선박·시설의 유기적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해양 분야의 4차 산업혁명에서 해상 통신 기술 인프라로서의 핵심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된다.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 무설설비 다각화 및 통신연계 기술개발 '의 1단계 3차년도에서는 2차년도에 제작한 MX-S2X 1차 시제품에 대한 기능을 보완하고 ISM 대역의 소출력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DSSS을 적용하여 2차 시제품을 구현/제작하고 실제 해상환경에서 성능을 검증한다. 본 논문에서는 MX-S2X 2차 시제품에 대한 1, 2차 실해역 시험결과 및 향후 계획에 대해 공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