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al Genre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6초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Based on Deep Residual Auto-Encoder and Support Vector Machine

  • Xue Han;Wenzhuo Chen;Changjian Zhou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0권1호
    • /
    • pp.13-23
    • /
    • 2024
  • Music brings pleasure and relaxation to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ssify musical genres based on scenes. Identifying favorite musical genres from massive music data is a time-consuming and laborious task.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re effective in distinguishing between various musical genres. However, meeting the actual requirements in terms of accuracy or timeliness is challenging. In this study, a hybrid machine learning model that combines a deep residual auto-encoder (DRAE) and support vector machine (SVM) for musical genre recognition was proposed. Eight manually extracted features from the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MFCC) were employed in the preprocessing stage as the hybrid music data source. During the training stage, DRAE was employed to extract feature maps, which were then used as input for the SVM classifier.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is method achieved a 91.54% F1-score and 91.58% top-1 accuracy, outperforming existing approaches. This novel approach leverages deep architecture and convention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provides a new horizon for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tasks.

스펙트럼 대비 MFCC 특징의 음악 장르 분류 성능 분석 (Study on the Performance of Spectral Contrast MFCC for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 서진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5-26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스펙트럼 특징인 스펙트럼 대비 MFCC (SCMFCC)를 제안하고 음악 장르 분류 성능을 분석하였다. 음악 장르 분류를 위해서는 장르 간의 차이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는 특징을 사용해야 하므로, 음악의 화음 구조 및 강약을 잘 표현하는 스펙트럼 대비 특징들이 관심을 받아왔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SCMFCC는 멜 켑스트럼 상에서 스펙트럼의 대비를 이용하여 기존의 MFCC를 음악 분류에 적합하도록 변형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음악 장르 데이터베이스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제안된 SCMFCC 특징의 음악 장르 분류 성능을 기존의 다른 특징들과 비교하였다.

국악뮤지컬에 나타난 소리(창(唱))의 수용 및 변화양상 연구 - "'국악뮤지컬집단 타루'를 중심으로" - (Studies about Acceptance of Songs or Sounds 'Sori(唱)' appeared in Musical Comedy perform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Changeable Aspects Thereof - Centering around Korean Musical Group, Taroo -)

  • 정혜원
    • 한국연극학
    • /
    • 제49호
    • /
    • pp.5-47
    • /
    • 2013
  • Among the styles of performing arts, perhaps the genre that has attracted the largest audience would be musical. Popularity of musical has brought diverse changes in our performing arts market, and, upon emerging another musical genre, called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it has been well-received by the audiences.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is a word that are formed by merging two other terms such as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Musical (Comedy).' In the meantime, however, it has yet some problems in order to be defined as the genre that has concrete concepts. It is because the term such as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was created being closely associated with a marketing purpose rather than a term that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a genre of performing arts. Although this new musical genre has drawn attentions of many audiences by adding 'Musical Comedy' to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was not quite popular to the public, it still does not have any established forms so that there is a fine line between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and another genre like traditional style folk opera ("Changgeuk").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work called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in general, first of all, it is a performance where music and drama are played. Her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is musical is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is sung. And the kin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s being sung are mainly Pansori (dramatic story-singing) and folk-songs, and, in most cases,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re being used as accompanying music.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aspects of experiment centering around Korean Musical Group, Taroo. These days, various experiments has been repeated not only for the works of Taroo but other musical work presently called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also. Having encompassed overall performance factors including use of musical instruments, dance, acting, materials for drama as well as music in drama, the researcher has gone through experiments repeatedly. Meanwhile, however, the subject matters that make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mostly attractive to the audiences are music and songs or sounds. ["Sori" also called "Chang" (唱)] Particularly,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f our musicals, the role of "Sori" is extremely important. The factor that plays absolutely most important role in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Sori" is the created Pansori. Since the created Pansori is composed with new rhythmic patterns and new narrative poems, it tells the present story. Also it draws good responses from the audiences owing to easy conveyance of dialogues. And, its new style brings diversification to organization of musical instruments, so then this leads to the arrangements of music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s well as instrumental music ensemble, orchestra, and jazz band, etc. Likewise, upon appearing creative musics in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professional music and vocal compositions have begun to emerge naturally. And, the song specialist and writer, of course, staffs including direction, lighting, and sounds, etc are required. That is, professional composition method are forced to be introduced to all areas. Other than this, there are many music pieces which are based on our unique songs and sounds ("Sori") and such traditional factors as use of lead singer for ceremony or chorus, and the method that puts weight on Pansori. Accordingly many things accomplished. However, it is required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go through numerous discussions and more experiments.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things are the role of actor and actress, and their changes, and training of actor and actress further. Good news is there are good audience responses.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is an open genre. As musicals are divided into several domai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here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will be able to show its distinctive features in various styles according to embodiment.

음악 장르 분류를 위한 부밴드 분해와 특징 차수 축소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subband decomposition and feature-dimension reduction for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 서진수;김정현;박지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4-150
    • /
    • 2017
  • 음악 장르는 음악 검색 및 분류 등의 정보 처리 시스템 구현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장르 분류를 위한 스펙트럼 특징은 음악의 화음 및 강약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부밴드로 분해하여 구해진다. 본 논문은 음악 장르 분류 성능 개선을 위한 특징 추출을 위한 부밴드 분해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또한 부밴드 음악 특징의 차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장르 데이터셋들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옥타브 스케일보다 세분화된 부밴드 분해가 장르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징 차수 축소를 결합하여 분류기의 계산량도 줄일 수 있음을 보였다.

옥타브밴드 순서 통계량에 기반한 음악 장르 분류 (A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the Octave-Band Order Statistics)

  • 서진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86
    • /
    • 2014
  • 본 논문은 음악신호의 옥타브 밴드 상에서 주파수와 시간 방향의 순서 통계량에 기반한 음악분류기에 대한 연구이다. 음악의 화음 및 강약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서 파워스펙트럼의 옥타브 밴드 순서 통계량을 이용하였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두 음악 데이터셋을 이용한 성능 실험을 통해서, 옥타브 밴드 순서 통계량이 기존의 MFCC 와 옥타브밴드 스펙트럼 고저차 특징에 비해서 두 데이터셋에대해 각각 2.61 %와 8.9 % 장르 분류정확도가 개선되었다. 실험결과는 옥타브 밴드 순서 통계량이 음악 장르 분류에 적합함을 보인다.

대표구간의 음악 특징에 기반한 음악 장르 분류 (Music Genre Classification based on Musical Features of Representative Segments)

  • 이종인;김병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5권11호
    • /
    • pp.692-700
    • /
    • 2008
  • 일부 음악 장르 분류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특징 추출을 위한 구간 선택 시 사람이 직접 곡의 주요 구간을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분류 성능이 좋은 반면 수작업으로 인한 부담으로 새롭게 등록되는 음악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수작업 없이 음악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최근 음악 장르 분류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자동으로 추출구간을 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이 고정된 구간 (예, 30초 이후의 30초 구간)에서 특징을 추출하는 관계로 분류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곡 전체 구간에 대하여 반복구간들을 파악하고 이들의 위치와 에너지를 고려하여 곡을 대표할 수 있는 단일 대표구간을 선정한 후, 대표구간으로 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장르 분류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고정구간을 사용한 방법에 비해 괄목할 만한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뮤지컬 영화 연기 연구 (Musical Film Acting Method)

  • 박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718-726
    • /
    • 2021
  • 노래와 춤, 연기가 조화를 이룬 뮤지컬은 오페라가 발전되어 만들어진 대중적인 음악극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뮤지컬은 상업적으로 예술성과 대중성의 조화를 갖추고 있는 문화 산업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뮤지컬은 신명나고 다채로운 라이브 공연이 떠오르게 한다. 이러한 뮤지컬산업은 무대에서 뿐 아니라 뮤지컬 영화로 제 탄생되어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영화계는 영화 스크린을 통해 뮤지컬이 갖고 있는 뮤지컬만의 독창성을 표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연기적 측면에서 뮤지컬 영화 연기는 뮤지컬 영화에 맞는 연기를 구현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영화 연기의 특성과 뮤지컬 연기의 특성을 동시에 이해하고 각각 장르가 융합되어졌을 때 진정한 뮤지컬 영화 연기를 스크린에서 구현 할 수 있게 된다. 뮤지컬 영화 연기를 위해서는 각 장르별로 세분화된 기능적 특성을 이해하고 필요한 기능들을 현장에서 적용시켜야 한다.

Multi-Feature Clustering을 이용한 강인한 내용 기반 음악 장르 분류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bust Content-Based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System Using Multi-Feature Clustering)

  • 윤원중;이강규;박규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3호
    • /
    • pp.115-12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multi-feature clustering(MFC) 방법을 이용한 강인한 내용 기반 음악 장르 분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는 입력 질의 패턴(또는 구간)과 입력 질의 길이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불안정한 시스템 성능을 개선하는데 노력하였고, k-means clustering 기법에 기반한 multi-feature clustering(MFC)이라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질의 음악 파일의 서로 다른 여러 구간에서 질의 길이를 다변화하여 음악 특징 계수를 추출하였고, MFC 방법을 사용한 시스템과 MFC 방법을 사용하지 않은 시스템에 대한 장르 분류 성공률을 비교하여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cdot}$분석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MFC 방법을 사용한 시스템의 장르 분류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고, 시스템의 안정성 역시 높게 나타났다.

얼터너티브 음악 - 장르의 모호함과 비트 제너레이션 (Alternative Music - Ambiguity of Genre & Beat Generation)

  • 김성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212-4217
    • /
    • 2013
  • 얼터너티브 음악(Alternative Music)은 대중음악이 장르적으로 분류되기 시작된 이래로 가장 복잡하고 다양한 하위 장르(Sub Genre)를 가진 음악 형태일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1990년대 이후 주목받기 시작한 얼터너티브 락(Alternative Rock)을 중심으로 이 음악 형태의 장르적 모호함에 대한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전통적인 - 음악 형식에 근거한 - 분류법이 현대 대중음악을 규정짓는 데에 있어 필연적으로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살펴본다.

현대 뮤지컬 보컬 테크닉의 융합적 특징 - 'The Girl in 14G' 분석을 중심으로 -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Musical Vocal Technique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Girl in 14G' -)

  • 이은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57-166
    • /
    • 2021
  • 본 연구는 뮤지컬 보컬 수업에 있어 다양한 발성법을 익히고 학생들에게 적용시키기 위해 동시대에 나타나는 발성법과 노래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뮤지컬 보컬 발성법은 시대의 요구에 따라 변화하며 진화하고 있다. 오늘날 현대 뮤지컬의 특징은 어느 한 장르로 국한 할 수 없으며 작품 양식과 더불어 음악의 장르도 여러 장르로 파생되어 공존한다. 본 연구의 대상인 'The Girl in 14G'는 다양한 보컬 창법을 구사하는 미국의 유명 뮤지컬 배우인 크리스틴 체노웨스(Kristin Chenoweth)의 앨범에 실린 노래이다. 이 노래의 작곡자인 제닌 테소리(Jeanine Tesori)는 이 노래에서 뉴욕을 대표하는 음악 장르인 '브로드웨이 뮤지컬,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이스트 빌리지 재즈'를 표현하기 위해, '성악 창법(Classical Voice), 재즈(Jazz), 벨팅(Belting) 창법, 믹스드 보이스(Mixed Voice)'의 다양한 보컬 테크닉으로 작곡하였다. 노래의 전개는 1명의 배우가 3가지 음악 스타일과 창법으로 3명의 다른 인물을 넘나들며 연기해야 하는 어려운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Girl in 14G'를 부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보컬 테크닉의 습득이 필요한 만큼 많은 노력과 연습이 필요하며, 교육적 측면에서 학생과 배우에게 좋은 텍스트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구를 통해 이 노래는 탄탄한 음악적, 극적 구성을 갖는 대표적인 노래로써 현대 뮤지컬 보컬 테크닉의 융합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예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