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classification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9초

내러티브 프로세스 분류 모델 기반 애니메이션 OST의 음악적 요소 분석 (Animation OST Musical Element Analysis based on A Narrative Process Classification Model)

  • 장소은;성봉선;이장훈;김재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239-1252
    • /
    • 2014
  • The OST (Original Sound Track) in the film plays a vital role in increasing consensus and concentration to the storyline. The selected 4 animations are classified into 17 Narrative Processes (NP) by using NP Classification Model [1]. For the NPs each having OSTs, the authors have investigated 6 kinds of objective musical elements of the OST such as sound (speech, music, effect), tonality, tempo, range, intensity, and instrumentation. It is found that there are 33.3% common musical elements among all of them for the NPs with OSTs commonly. Among them, it is also found that there are 71.9% of common properties of the musical elemen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y firstly showing that there are common properties of objective musical elements in each NP and the corresponding OST.

확장 마크업 언어(XML)를 이용한 정간보 악보 표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tation of Jeongganbo Score u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이용주;최근우;박태진;강경옥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6-45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구조와 기호를 가지는 국악 악보인 정간보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디지털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정간보의 구조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 정간보기보에 활용되는 기호를 분류하고, 기호의 사용 형태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다양한 정간보의 구조와 기호를 포함하는 정간보 악보 기술 방법을 DTD(Document Type Definition) 로 정의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정간보로 기보된 악보를 제안한 DTD에 따라 XML로 기술하였고, 정간보 악보가 기록된 XML을 해석하고 이를 정간보 형태로 나타내어주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XML로 기술된 정간보 악보가 적절하게 해석되고 정간보 악보 형태로 보여주는 것이 가능함을 보였다.

SAR에 적용된 SVD-Pseudo Spectrum 기술 (SAR Image Processing Using SVD-Pseudo Spectrum Technique)

  • 김빈희;공승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3호
    • /
    • pp.212-21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에 SV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 Pseudo Spectrum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그 성능을 기존 알고리즘과 비교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SAR 영상의 해상도 및 목표물 분해능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신호 성분으로 이루어진 Hankel Matrix와 SV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방법을 사용하여 잡음에 강인하고 sidelobe이 적으며 스펙트럼 추정에서 해상도를 높인 SVD-Pseudo Spectrum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분해될 목표물을 모델링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고 SVD-Pseudo Spectrum 방법이 기존의 퓨리에 변환 기반 방법과 고해상도 기술 기반의 MUSIC 방법보다 더 좋은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오디오의 파형과 FFT 분석을 이용한 대표 선율 검색 (Representative Melodies Retrieval using Waveform and FFT Analysis of Audio)

  • 정명범;고일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12호
    • /
    • pp.1037-1044
    • /
    • 2007
  • 최근 내용 기반 음악 검색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응답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음악의 대표성을 갖는 선율을 추출하여 색인하고, 검색 시 이를 사용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미디(midi) 데이타를 이용하여 대표 선율을 추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미디 데이타에 한정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신호처리를 이용하여 모든 오디오 파일 포맷에 적용 가능한 대표 선율 검색을 제안한다. 대표 선율 검색을 위해 FFT(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박자와 마디를 찾고 각 마디들의 PCM 데이타로부터 높은 수치가 나타나는 빈도를 측정한다. 이때 높은 수치들이 가장 많이 뭉쳐 있는 영역에서 여덟 마디 간격이 오디오 데이타의 대표 선율 영역이다. 제안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으로 총 1000곡을 선택하여 대표 선율을 추출하였고, 그 결과 템포를 찾아낸 737곡 중 79.5%의 정확성을 보였다.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서 주파수 영역의 도래각 추정 기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oA Estimation in Frequency Domain in Automotive Radar System)

  • 최정환;최지원;김성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호
    • /
    • pp.12-22
    • /
    • 2016
  •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자율 주행 자동차 시스템으로 레이더 시스템이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레이더 시스템은 전방 차량의 거리, 속도 그리고 각도를 추정한다. 도로 환경에 차량뿐만 아니라 인식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고해상도 각도 추정 알고리즘이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방식으로는 클러터들 사이에서 전방의 차량만의 각도를 추정하기 어렵고, 특히 같은 각도 상에 놓인 다른 차량들을 구분하기 힘들다. FMCW 레이더 시스템에서는 거리와 속도가 다른 차량들이 서로 다른 비트 주파수를 가지기 때문에, 비트 주파수에 기반하여 각도 추정을 할 수 있다면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MUSIC 알고리즘을 주파수 영역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적합성에 대한 분석을 한다.

YouTube 내의 치과 관련 한국어 컨텐츠 현황 분석 및 활용 방안 (Analysis of the dentistry-related contents uploaded on YouTube Korea)

  • 조재현;권혁준;정서연;허경석;정일영;서정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12호
    • /
    • pp.728-735
    • /
    • 2019
  • Objective: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e potential influence of YouTube videos regarding dentistry on the mass population. However, there was not any clear investigation for Korean population. We aimed to systemically analyze the type of the dentistry-related videos uploaded on YouTube Korea and the accounts used for uploading, and to assess their effect on the view count of the content. Methods: Classification, type of the accounts, and view count of the videos listed by the keyword 'dentistry' were analyzed, which were uploaded on YouTube Korea platform from September 2017 to April 2019. Kruskal-Wallis test with post hoc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videos and the type of accounts on the view count. Results: 1.026 videos were enrolled to the analysis. Primary classification of the videos was information/education, advertisement, life, news, child contents,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broadcast, cartoon/game, humor, and music. Secondary classification of the videos was dental experience, advertisement, role-playing, information/education., humor, cartoon/game, child contents, life, and broadcast. Type of the accounts was dentistry associates, general public, media company, and government office (sorted by frequency). Subject of the most videos (93.6%) was general public.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the view count of the videos according to the primary and secondary classifications, the account used for uploading, and target subject of the videos. Conclusion: Dentists and their associate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YouTube platform and try to monitor and intervene the dentistry-related contents, considering its huge impact on the general public.

  • PDF

레이더 표적 구분을 위한 1차원 산란점 추출 기법 알고리즘들의 성능에 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ion of One-Dimensional Scattering Extraction Algorithms for Radar Target Identification)

  • 정호령;서동규;김경태;김효태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3 No.1
    • /
    • pp.193-197
    • /
    • 2003
  • Radar target identification can be achieved by using various radar signatures, such as one-dimensional(1-D) range profile, 2-D radar images, and 1-D or 2-D scattering centers on a target. In this letter, five 1-D scattering center extraction methods are discussed - TLS(Total Least Square)-Prony, Fast Root-MUSIC (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Matrix-Pencil, GEESE(GEneralized Eigenvalues utilizing Signal-subspace Eigenvalues), TLS-ESPRIT(Total Least Squares - Estimation of Signal Parameters via Rotational Invariance Technique), These methods are compared in the context of estimation accuracy as well as a computational efficiency using a noisy data. Finally these methods are applied to the target classification experiment with the measured data in the POSTECH compact range facility.

  • PDF

깊은 신경망 기반의 전이학습을 이용한 사운드 이벤트 분류 (Sound event classifica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 based transfer learning)

  • 임형준;김명종;김회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3-148
    • /
    • 2016
  • 깊은 신경망은 데이터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으로 최근 많은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제한적인 양의 데이터베이스는 깊은 신경망을 훈련하는 과정에서 과적합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풍부한 양의 음성 혹은 음악 데이터를 이용한 전이학습을 통해 제한적인 양의 사운드 이벤트에 대한 깊은 신경망을 효과적으로 훈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련의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적은 양의 사운드 이벤트 데이터만으로 훈련된 깊은 신경망에 비해 현저한 성능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잡음 파워 스펙트럼 밀도 추정을 이용한 서로소 배열과 프로퍼게이터 기법 기반의 향상된 도래각 추정 기법 (Improved Direction of Arrival Estimation Based on Coprime Array and Propagator Method by Noise Power Spectral Density Estimation)

  • 변부근;유도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67-373
    • /
    • 2016
  • 우리는 도래각 (DoA; direction of arrival) 추정 방법 중 하나인 서로소 배열 기반의 프로퍼게이터 방법을 개선시키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서로소 배열 기반의 프로퍼게이터 방법은 특이값 분해없이 도래각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서로소 배열 기반의 MUSIC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복잡도를 지녔으나, 다소 저하된 도래각 추정 성능을 보인다. 우리는 이러한 성능 저하의 원인 중 하나로 잡음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의 자기상관행렬의 대각 성분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에 있음을 파악하고, 잡음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가 장기간에 걸쳐 추정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신호의 자기상관행렬의 대각 성분을 사용하는 도래각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우리가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서로소 배열 기반의 프로퍼게이터 방법보다 연산량을 4배정도 증가시키지만 탐지확률 95% 기준 하에 신호대 잡음비를 1.5dB, 도래각 분해능을 $0.7^{\circ}$ 만큼 개선시켜 그 성능이 서로소 배열 기반의 MUSIC에 보다 근접함을 관찰한다.

시조창 분류고 (Research on Classifying the 'Sijochang', or Korean Ode Narrative Song)

  • 신웅순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4집
    • /
    • pp.223-258
    • /
    • 2006
  • 본고는 음악상으로서의 시조 분류이다. 잣수에 의한 문학상 분류와는 달리 시조창은 선율에 따라 달라진다. 문학상으로는 단시조 중시조 장시조의 분류가 일반적이나 시조창은 평시조 지름시조 사설시조로의 분류가 일반적이다. 같은 시조창이면서 다른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는 경우가 있고 다른 종류이면서 같은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는 경우가 있어 시조창의 명칭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실정에 놓여있다. 몇몇 국악인들에 의해 시도는 되고 있으나 개념에 대한 구체적인 논증 없이 이루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고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의 번다한 명칭들을 정리하고 시조의 분류 체계를 세우고자하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필자는 고악보와 현행 시조보, 기존 이론을 검토, 평시조 계열 지름시조 계열 사설시조 계열로 일단 3대별하고 여기에 현재 불리워지고 있는 시조창들이 어떤 계열에 속하는 것인가를 몇 가지 원칙에 의해 분류해보았다. 필자가 조사한 현행 시조 명칭 67가지를 필요한 16개의 명칭으로 줄여 분류했다. 이는 현재 불리워지고 있는 명칭들이 같은 시조이면서 표음이 다른 것도 있고 다른 시조이면서 같은 명칭으로 불리워지는 것들도 있다. 이의 복잡, 번다함을 피하기 위해 문학과 음악상의 개념을 고려, 일부 용어들을 정리했다. 1) 평시조 계열 : 평시조, 중허리 시조, 우조시조, 파연곡 2) 지름시조 계열 : 지름시조, 남창지름시조, 여창지름시조, 반지름시조, 온지름시조, 우조지름시조, 사설지름시조, 휘몰이 시조 3) 사설시조 계열 : 사설시조, 반사설시조, 각시조, 좀는 평시조 아직도 배자, 형태, 음계, 타장르와의 영향 관계 등 적지 않은 음악상의 작업들이 남아있고 그에 대한 이론 축척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음악적인 부분들은 전문가, 국악인들의 면밀한 검토와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차후의 논문을 기대할 수밖에 없음을 밝혀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