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Sampl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7초

치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경중 치매노인의 Na, K, Ca, Cl, P, Cholesterol의 혈중 농도 및 17-KS, 17-OHCS의 뇨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nentia prevention nursing program on Urinary 17-KS, 17-OHCS, and Blood Na, Cl, K, Ca, P, cholesterol of the Demented elderly women)

  • 나현주;조명숙;임욱빈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51-166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Dementia prevention nursing program on Urinary 17-KS, 17-OHCS, and Blood Na, Cl, K, Ca, P, cholesterol. The sample for the present study was composed of 16 demented elderly in D care center for the elderly in K city. The Dementia prevention nursing program consisted of concept memory training, music therapy, and art therapy. The program was performed twice a week and about ninety minutes was consumed for one session. The program had been administered for 8 weeks. We checked Urinary 17-KS, 17-OHCS, and Blood Na, Cl, K, Ca, P, cholestero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Wlicoxon signed rank test of SAS system for window 6.12. The result were follows : 1. Urinary 17-KS 17-KS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intervention(p=0.005). 2. Urinary 17-OHCS 17-OHCS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intervention(p=0.001). 3. Blood Na, Cl, K, Ca, P, cholesterol Na(p=0.0002), Cl(p=0.0001), K(p=0.0001), Ca(p=0.0028),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intervention. The results show that Dementia prevention nursing program increases Urinary 17-KS, 17-OHCS, and decreases Blood Na, Cl, K, Ca, P, cholesterol. In conclusion, the Dementia prevention nursing program can be used for the effective measure to decrease stress of the Demented elderly.

  • PDF

심리사회적 중재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대처방법,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sychosocial Stress Management on Stress and Coping in Student Nurses)

  • 김조자;허혜경;강덕희;김보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0-101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psychosocial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stress and coping in student nurse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A convenience sample of 24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Nursing,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n=12) and control groups(n=12).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10 points) and blood cortisol. Coping was measured using a scale modified by So (1995) based on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developed by Folkman and Lazarus (1985).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the CES-D by Radloff (1977) and state anxiety, using the State Anxiety Inventory by Spielberger (1976). The psychosocial stress management program included education, relaxation (Korean Dan Jeon-typed Breathing and music), and social support. Result: Results showed for the two groups, 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scores (U= 19.50, p=0.002), 2) no difference in cortisol levels (8am, 4pm), 3)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focused coping (U=25.50, =0.007), 4) no difference in emotion-focused coping, and 5) no difference in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Conclusion: By utilizing the program, students were able to learn how to control their stress and improve their coping. Therefore with a partial modification, psychosocial stress management can be useful for continual management of stress in student nurses.

  • PDF

A Study on SNS Applications in Broadcasting Based on Analysis on KBS' Reaches on Facebook

  • Lee, Jong-su;Pyo, Man-seok;Kwon, Soon-chul;Lee, Seung-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9권3호
    • /
    • pp.27-34
    • /
    • 2017
  • According to the material about the analysis of digital consumers' lifestyle in Korea published at the end of 2016, 100% had experienced a smartphone before, and 91% had joined in digital communications. Among digital contents, 85.5% had experienced music, and 78.6% had used TV contents before. Also, SNS utility rate equaled 83.3%, and the Facebook utility rate of those in the 10's and 20's exceeded 80%.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SNS utility in broadcasts. Based on the results of operating KBS Facebook accounts,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reaches of entertainment, drama, and culture genres and analyze correlation between the reaches and 'like' friends on Facebook and also correlation between the reaches and ratings.To address the goal, among the Facebook mentions operated within a year, 2016, this researcher analyzed 2,526 mentions to publicize entertainment, drama, and culture genres and the results of 834 million reaches and also used the data of original broadcasts' ratings.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employed SPSS Ver. 18.0 to perform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conference interval is set as 95%, and p<0.05 is regard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s, more reaches are found in entertainment, drama, and culture genres in order, and it is found to have strong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like's. The reaches and ratings have no correlation, and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und in i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publicize programs efficiently for broadcasting.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Country Image on the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Su, Shuai
    • 유통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43-52
    • /
    • 2010
  • 본 연구는 중국에서 중요한 소비 계층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대도시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제발전, 교육수준, 제품품질, 기술연구, 생활수준, 민주체제의 요소로 국가이미지를 측정하여 일본과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의 식품, 의류패션, 생활용품, 음악제품, 자동차, 가전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제품별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제품을 제외한 식품, 생활용품, 의류패션, 음악제품, 자동차 구매시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일본보다 다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표본 구성의 한계로 인해 본 연구의 일반화에는 주의가 필요하나 국가이미지의 각 구성요소가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여 국가 차원에서의 국가이미지 구축 전략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또 각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중국시장에서의 브랜드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집단인정치료(Group validation therapy)가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Group Validation Therapy(V/T)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 장우심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023-1039
    • /
    • 2008
  • 본 연구는 집단인정치료가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집단인정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문제행동, 우울 및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상자인 치매노인 40명을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각각 20명씩 무작위 배정하였고,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와 사전검사 후 집단인정치료를 실시하였다. 이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36명의 최종 결과를 얻게 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집단인정치료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의 향상, 일상생활활동 증가, 우울 감소, 삶의 질 향상에 유의미하였으나 문제행동 감소에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집단인정치료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뿐만 아니라 일상생활활동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켰으며, 삶의 질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향후 집단인정치료는 치매노인을 돕는데 효율적인 심리사회적인 치료방법으로 실무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기법을 활용한 노인복지관의 실버 오케스트라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연구 (An Evalua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Silver Orchestra Program Using IPA)

  • 허순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87-300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이 운영하는 실버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의 실천적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운영 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의 춘천동부노인복지관이 운영하는 '춘천 실버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실버회원 그룹(N=53)과 프로그램 운영자 그룹(N=32)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지역사회와의 연계', '예산 운영', '프로그램 운영', '인력 운영', '홍보전략', '프로그램 운영환경'을 포함하는 6개의 평가영역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평가영역에 대하여 22개의 평가항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버회원 그룹에서는 '인력 운영'이 중요도와 만족도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운영자 그룹에서는 '예산 운영'과 '인력 운영'이 중요도와 만족도에서 각각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하였다. IPA 매트릭스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는 실버회원 그룹과 프로그램 운영자 그룹의 관점에서 현상유지 및 강화, 집중투자 및 개선, 낮은 우선순위, 그리고 과잉노력 지양으로 영역화된 프로그램 운영 속성에 대해서 서로 차별화된 노력과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중학교 해외 체험 사례 조사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Overseas Experience Case Studies in Middle School)

  • 박영주;이미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801-807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중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진행한 해외 체험 프로그램 사례를 조사하여 향후 해외 체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검색 엔진을 통하여 키워드 중심으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및 비교·분석한 후 SPSS 23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독립표본 t 검정과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역의 작은 학교 중심으로 해외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특히 전라남북도에서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청, 지자체 등 다양한 공적 자금이 투입되어 전액 부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우리나라와 가까운 동남아시아 국가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둘째, 중학교 해외 체험 프로그램의 목적은 크게 진로 체험, 문화 체험, 관광, 자매 학교 방문으로 나타났다. 해외 체험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글로벌 역량과 세계 시민성을 함양하고,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활동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해외 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역할을 하며, 향후 공교육에서의 해외 체험 활동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기를 기대한다.

서울시 대학생의 소비가치 유형과 예술상품 소비 -공연예술 및 미술전시회 관람을 중심으로 (Types of Consumption Values and Art Apprec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 조수현;이연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0권1호
    • /
    • pp.83-105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ypes of consumption values and to examine 5 types of art apprec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Five types of art appreciation included fine art exhibition(including photographs, architects, calligraphy works), classical and opera performance, traditional Korean music performance, drama and musical performance, dance performance.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422 university students of five universitie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factors for consumption values of students emerged four factors. These were called as 'materialism', 'honor centered', 'family centered', 'hedonism' value. 2. Th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se four factors. The result showed 3 groups of consumption value which were called as 'material' honor value group', 'family value group', 'hedonic value group'. 3. The consumption value of university student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variables. 4. The behavior of art apprec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significantly differed by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value. The material' honor valued group showed the least chances to make decisions on art appreciation for one's own, which reflected that this group appreciate art to satisfy their honors rather than to enjoy art itself. They also showed the most chances to consider the renownedness of the art work or artists among three groups. And they showed the least chances to pay for the tickets for art appreciation, all of those meant that they appreciate arts unvoluntarily in situational condition. The family valued group showed the most chances to pay for the tickets when they appreciate arts. And therefore they were most susceptible for the prices. The hedonic valued group showed the most interests in art. They decided to appreciate art for their own, and they considered the contents and the highness in the level of the art the most when they appreciate art. And they show the most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drama/musical performances, which reflect their interests in hedonic value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consumption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ed their behavior of art appreciation. Thus, university students' behavior on art appreciation can be effectively developed by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consumption values.

  • PDF

비만아동을 위한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혼합방법론의 적용 (An Emotional Self-Regulation Program for Obese Children: Pilot Study Using Mixed Methods)

  • 김희순;마유미;박지영;김승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87-197
    • /
    • 2013
  • 목적 비만아동을 위한 이론기반의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함. 방법 본 연구는 혼합방법 중 실험연구를 위한 끼워넣기 모형을 활용함. 즉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하여 본 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우울, 식습관,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추가적으로 질적 자료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함. 결과 본 연구결과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은 비만아동의 우울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대상자는 '자신감 고취', '충동 조절', '또래와의 친밀감', '행복감', '체중감소를 위한 노력 및 경험' 등을 표현함. 결론 본 연구결과 정서적 자기조절 능력의 강화는 비만관리에 있어 효과적인 전략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대상자와 지역을 확대한 반복연구와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제언하는 바임.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위해 혼합방법을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평가에 있어 실무와의 연계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짐.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정신건강 비교 (An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on the Life-Style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장효원;김정현;어성연;정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7-72
    • /
    • 2012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업스트레스가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 및 경기도 소재 8개 지역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8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들에 비해 학업스트레스 점수가 높았으며 특히, 하위 요인 중 교사 및 수업시간, 친구와의 경쟁 관련 학업스트레스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남학생들의 경우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흡연 및 음주 경험 과 흡입제 사용 경험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컴퓨터나 온라인 게임 등의 놀이오락 위주로 여가활동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건강상태 조사 결과, 남녀학생 모두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정신건강진단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정신건강 위험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우을증상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학업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과정에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