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Databas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8초

The Meaning, Method and Tool to Build the Ewha Music Database (EMDB)

  • Kim, Eun-Ha;Chae, Hyun 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3호
    • /
    • pp.239-245
    • /
    • 2020
  • The Ewha Music Database (EMDB) is an online database comprised of primary source materials related to music education from East Asia during the modern era (1880 to 1945) when Korea, Japan, and China were geopolitically and culturally intertwined. We developed the incipit search in EMDB as an embedded tool. This is the first attempt in Korea to implement a unique search function of musical data using alphabets of musical notes. Unlike in traditional search system that uses general literature information search conditions, such as author, title, publisher, year, number of pages, etc., it offers a new way of searching a musical piece/work and sheet music. This study confirms that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is an important methodology for research of music culture as a field of humanities.

Music Similarity Search Based on Music Emotion Classification

  • Kim, Hyoung-Gook;Kim, Jang-He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6권3E호
    • /
    • pp.69-73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algorithm to retrieve similar music files from a large archive of digital music database. Users are able to navigate and discover new music files which sound similar to a given query music file by searching for the archive. Since most of the methods for finding similar music files from a large database requires on computing the distance between a given query music file and every music file in the database, they are very time-consuming procedures. By measuring the acoustic distance between the pre-classified music files with the same type of emotion, the proposed method significantly speeds up the search process and increases the precision in comparison with the brute-force method.

소셜 미디어 분석을 통한 음악 추천 모델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usic recommendation model through social media analytics)

  • 정경록;박구락;박상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14-220
    • /
    • 2021
  • 스마트폰이 빠르게 보급되면서 음악을 생활 속의 배경음악처럼 항상 모든 곳에서 듣는 것이 일반화되어 개인의 상황과 조건에 맞는 추천을 할 수 있는 음악 데이터베이스를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음악추천 모델을 제안한다. 소셜 미디어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음악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고 기존의 음원 제공 플랫폼이 주로 사용하는 협업필터링과는 다른 방식으로 음악을 분류한다. 웹크롤링으로 음악 제목이 해시 태그로 달린 게시글을 찾아 해당 글에 함께 달린 다른 해시 태그들을 수집하고 분류하여 실제 청취자의 음악에 관한 의견을 데이터베이스에 사용한다. 소셜 미디어를 작성할 때의 감정, 상황, 시간대, 날씨 등 많은 조건이 해시 태그에는 포함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사람의 의견이 집단지성으로 반영된 소셜 미디어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기하학적 해싱 기법을 이용한 음악 검색 (Music Retrieval Using the Geometric Hashing Technique)

  • 정효숙;박성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09-11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음악 데이터베이스의 멜로디와 사용자가 기술한 멜로디의 기하학적 구조를 비교하는 음악 검색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시스템은 멜로디의 구조적이고 상황적인 특징들을 분석하여 쿼리 멜로디와 데이터베이스의 멜로디가 일치성을 찾고자 한다. 검색 방법은 사전 처리 단계와 인식 단계로 이루어진 기하하적 해싱 알고리즘에 기반을 두고 있다. 사전 처리 단계 동안 구조적 특징을 찾기 위해서 음악의 멜로디를 여러 개의 프래그먼트(fragment)들로 분할하고 그 프래그먼트의 각 음의 높이 및 길이를 분석한다. 상황적 특징을 찾기 위해서 각 프래그먼트의 중심 화음을 찾는다. 인식 단계 동안 사용자가 입력한 쿼리 멜로디를 여러 개의 프래그먼트들로 분할하고 구조적이고 상황적 특성이 유사한 모든 프래그먼트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투표는 각 프래그먼트에 대해 이루어지고 총 득표수가 최대인 음악이 쿼리 멜로디와 일치하는 멜로디를 갖는 음악이 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한 멜로디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표절 음악을 감지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 PDF

Establishing a Music Education Database

  • ;;이민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00-300
    • /
    • 2012
  • A database is an organized collection of data, today typically in digital form. The data are typically organized to model relevant aspects of reality, in a way that supports processes requiring this information. A good database is designed for a specific use and is constructed with the possibility of growth. In this project, we collect music education data of the East Asia and try to build a database that can share the primary data based on this collection. Hence we can provide opportunity to study about Korea modern music and culture in a broader perspective.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database construction methodology for implementing on this project and we see over about data entry and management.

  • PDF

사용자 질의 패턴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음악 검색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n Efficient Music Retrieval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User Query Pattern)

  • 노승민;황인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6호
    • /
    • pp.737-748
    • /
    • 2003
  • 디지털 음악 컨텐츠의 활용이 보편화되고 음악 데이터의 양이 방대해지면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음악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질의하고 검색하는 기능이 절실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이 자주 질의하는 멜로디 부분을 이용하여 음악 검색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음악 검색 시스템인 FMF(Fast Melody Finder)를 제안한다. 이 기법은 어떤 음악에 대해 사용자가 기억하고 질의하는 내용이 대개 음악의 특정 선율에 한정되어 있다는 사실에 기반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이러한 질의 패턴을 이용하여 자주 질의되는 부분을 인덱스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빠르게 찾아낼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러한 선율들을 다루기 위해서, 사용자의 허밍에 의한 음향 질의와 오선지를 통한 질의로부터 추출된 음높이와 음의 길이를 분석하여 UDR과 LSR 스트링으로 변환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질의를 할 수 있다.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고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보인다.

특징행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NMF 기반 음악전사 (NMF Based Music Transcription Using Feature Vector Database)

  • 신옥근;류다현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8호
    • /
    • pp.1129-1135
    • /
    • 2012
  • NMF를 이용하여 음악을 전사할 때 표적음악에서 특징행렬과 가중치 행렬을 동시에 추출해 내는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특징행렬의 크기(특징벡터의 수)를 미리 알아야 할 뿐 아니라, 추출된 각각의 특징벡터들의 음고를 결정하는 어려운 과정을 거쳐야한다. 또 이 방법은 음악에 포함된 음고의 수가 커질수록 특징행렬을 정확하게 추출해 내기 어려워진다는 단점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피하기 위해 특징행렬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준비한 다음 이를 실제 음악에 이용하는 방법을 실험한다. 먼저 특징행렬 데이터베이스를 만든 다음, 특징행렬을 추출한 피아노에서 연주된 음악, 그리고 제 3의 피아노에서 연주된 같은 음악을 각각 전사하여 성능을 비교한다. 또 이들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특징행렬과 가중치행렬을 동시에 추출하는 방법도 실험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특징행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특징행렬과 가중치행렬을 동시에 추출하는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오디오 핑거프린트의 비트에러율을 이용한 자동 음악 요약 기법 및 시스템 (Automatic Music Summarization Method by using the Bit Error Rate of the Audio Fingerprint and a System thereof)

  • 김민성;박만수;김회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53-463
    • /
    • 2013
  • 본 논문은 음악의 코러스(chorus) 구간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기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다루었다. 코러스 구간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음악 요약 기술은 방대한 음악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음악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샘플 음악을 생성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기존의 알고리즘들은 2차원 유사도 행렬, 확률모델, 신경망모델, 템포 특징 벡터, 클러스터링 기법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의 오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한 후 곡 내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구간 쌍의 비트에러율을 통해 음악 요약을 추출한다. 다만, 음악 검색 솔루션에서 사용된 오디오 핑거프린트가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존재할 경우에는 이를 바로 로딩한 후 비트에러율을 계산하여 음악 요약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은 이미 만들어진 데이터베이스를 변형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음악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다양한 알고리즘과 솔루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음악의 코러스를 추출하는데 있어서 기존 방식보다 매우 뛰어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Music Identification Using Its Pattern

  • Islam, Mohammad Khairul;Lee, Hyung-Jin;Paul, Anjan Kumar;Baek, Joong-Hwa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7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9-420
    • /
    • 2007
  • In this method, we extract peak periods using energy contents of each segment of music. This feature extraction method is equally applied on both the training and query music. Similarity matching algorithm is applied on the extracted feature values for identifying the query music from the database. The retrieval accuracy of 95% of our method is a pretty good result.

  • PDF

Decorrelated Filter Bank를 이용한 음악 장르 분류 시스템 (Music Genre Classification System Using Decorrelated Filter Bank)

  • 임신철;장세진;이석필;김무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0-106
    • /
    • 2011
  • 음원의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음악 데이터베이스가 방대해지고 있다. 따라서, 음악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음악의 특성에 따라 장르별로 자동 분류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기존 장르 분류 시스템은 대부분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MFCC)를 특징 벡터로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uditory Filter Bank를 이용한 Decorrelated Filter Bank (DFB)와 Octave-based Spectral Contrast (OSC)에 texture window를 적용하여 특징을 추출한 후, Support Vector Machine (SVM)을 이용하여 장르 분류를 시도하였다. 기존의 Marsyas 장르 분류 시스템과 비교한 결과 DFB와 OSC로 복합적인 특징 벡터를 구성하면 더 적은 차수의 특징벡터를 사용함에도 4.2 %의 향상된 분류 성공률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