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hroom cultivation

검색결과 685건 처리시간 0.033초

고온기 표고 톱밥재배용 재배사 내의 환경 제어시스템과 버섯생육 온도 (Mushroom growth and cultivation environment at cultivation house of vinyl bag cultivation Shiitake mushroom on high-temperature period)

  • 전창성;공원식;박혜성;조재한;이강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63-269
    • /
    • 2014
  • 표고 재배방법이 원목재배에서 톱밥재배로 전환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재배적기인 봄가을의 버섯생산은 톱밥재배는 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연중재배 방안의 개발이 절실하며, 균상재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진 상태이다. 농가 재배사의 위치별 온도변화와 시설 및 장비에 대한 조사와 재배온도별 버섯발생 및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재배사 내의 온도는 외부 온도가 $34^{\circ}C$일 때에 내부온도는 $30{\sim}31^{\circ}C$이었으며, 상하단의 온도 편차는 $1^{\circ}C$이내였고, 밤의 온도는 외부온도가 $22{\sim}21^{\circ}C$ 일 때에 내부는 $22{\sim}23^{\circ}C$ 수준으로 $1^{\circ}C$ 높았다. 전체적으로 보면 $24^{\circ}C$미만은 버섯 발생 및 생육이 가능한 온도대의 시간은 22:30부터 아침 7:30분까지이며, 습도는 온도와는 반대로 낮에는 55~65% 내외이나 밤에는 85~95%내외를 유지하였다. 재배사 시설들은 냉동기, 물콘, 3중막 표고재배사, 미스트 및 포그노즐 등이었으며, 재배자들은 낮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었다. 봉지배배에서 혹서기에 재배가능한 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14^{\circ}C$부터 $29^{\circ}C$ 까지 $3^{\circ}C$ 간격으로 항온상태에서 버섯재배사에서 재배한 결과 $23^{\circ}C$까지는 버섯이 발이 또는 생산되었으나 $26^{\circ}C$부터는 버섯생산이 불가능하였다. 버섯품질을 결정하는 버섯 색깔과 형태적 특성변화에서 명도값은 온도가 증가하면서 증가하였고, 대의 채도(a, b)값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갓에서는 채도(b)값은 온도에 따른 큰 변화가 없었으나, 채도 (a)값은 감소하였다. 형태적 특징 중에서 갓크기는 1차 수확에서는 온도 증가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2차 수확에서는 증가하였다. 대길이는 재배온도가 높아지면 대길이가 길어지며, 갓두께는 1차 수확에서는 서서히 감소하지만 2차 수확은 1차보다 빠르게 증가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표고톱밥 재배사내에 상하단의 온도편차가 $1^{\circ}C$ 이내로 균상재배가 가능하며, 버섯 발생유도기간에 온도는 $23^{\circ}C$ 이하에서만 가능할 것이다.

느타리버섯 수확후 배지를 이용한 표고 배지 개발 (Application of spent oyster mushroom substrate for bag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 김정한;강영주;백일선;정윤경;이용선;이영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0-73
    • /
    • 2018
  • 느타리버섯 수확후 배지를 이용하여 표고 톱밥배지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 수행결과 다음과 같다. 느타리버섯 수확후 배지를 톱밥 첨가량의 20~50%로 4처리로 혼합하여 분석한 결과 C/N은 62~76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 수확후 배지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질소와 폴리페놀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고, 과당과 유기산 함량은 낮은 경향이었다. 특히, 미강이 첨가되지 않은 50% 처리구는 과당, 유기산 함량이 현저하게 낮았다. 초발이기간은 20, 25%가 7일로 대조구와 같았으나 30%와 50%는 각각 6일, 11일로 대조에 비해 각각 1, 4일 지연되었다. 표고버섯 3주기 수량은 20% 처리구가 268.7 g으로 대조와 비슷하였으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여 특히, 50% 첨가구에서는 버섯 발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느타리버섯 수확후 배지를 표고 배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톱밥 첨가량의 20% 수준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버섯폐배지의 발생량 조사 및 새송이, 느타리, 팽이 버섯 폐배지의 버섯종류별과 재배방식별의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Yield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ent Mushroom (Pleurotus ryngii, Pleurotus osteratus and 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According to Mushroom Species and Cultivation Types)

  • 김영일;배지선;정세형;안문환;곽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79-8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폐배지의 동물 사료로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배지의 최소한의 발생량을 버섯종류와 버섯재배 방식에 따라 산출하고, 느타리, 새송이, 팽이 버섯폐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버섯종류별과 재배방식별로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2004년도 우리나라 폐배지 총 발생량은 1,670,182M/T이었다. 사료로의 이용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폐배지는 전체 발생량의 58.2%인 972,141 M/T이 발생되었으며, 이중 재배방식별로는 병재배에 의해 67%, 균상재배에 의해 20%, 봉지재배에 의해 13%가 발생되었으며, 버섯 종류별로는 느타리버섯 폐배지가 46%, 팽이버섯 폐배지가 32%, 새송이버섯 폐배지가 22% 발생되었다. 버섯 재배방식별 폐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있어서 균상재배 폐배지는 병재배와 봉지재배 폐배지 보다 NDF 함량(65.2%)이 낮고, NFC 함량(12.7%)이 높은 특징이 있어서(P<0.05), 사료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폐배지의 화학적 성분 변이도는 병 또는 봉지재배 방식보다 균상재배 방식에서 높은 편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섬유소(NDF) 함량의 변이도는 예상보다 낮은 편이었다. 결과적으로 폐배지를 동물 사료로 이용 시 버섯종류에 따라 분류하는 것보다는 재배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으며, 사료영양적 측면에서 가치가 높은 균상재배 폐배지의 우선적 이용이 권장된다.

표고 봉지재배에 있어서 영양원에 따른 재배적 특성 비교 (Comparison in Cultural Characteristics on Different Nutritions in Bag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 장명준;이윤혜;이한범;류준걸;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05-109
    • /
    • 2011
  • 표고 봉지재배시 적정한 영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참나무톱밥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T5의 pH는 4.7로서 T1(대조구)과 대등하였다. 균사 생장량은 T5에서 배양 35일경에 모두 생장하였으며, 대조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배양특성은 T5가 배양일수 87일로 T1(대조)과 대등하였으며, T1, T2 및 T5의 갈변정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우수하였고, 배양율도 100%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재배기간을 조사한 결과 초발이 소요일수, 생육기간, 재배일수 모두 T5처리구가 T1(대조)과 대등하였다. 혼합배지에 따른 수확주기별 수량 및 상품화율은 T5에서 수량이 348g/kg으로 T1(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생물학적 효율은 34%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

경북지역 양송이버섯(Agaricus bisporus) 생산 감소 원인 연구 (The causes of production decrease in button mushroom of Gyeongbuk province)

  • 강민구;조우식;김우현;이숙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7-162
    • /
    • 2015
  • 국내 양송이버섯 생산동향 및 생산량 감소 원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2000년 이후 국내 양송이버섯의 생산량은 70%, 농가수는 37%가 감소하였으며 경북지역은 감소폭이 더욱 컸다. 국내 재배면적은 6%가 증가하였지만 경북지역은 30%가 감소하였다. 2002년 이후 중국산 양송이(조제)가 공급되면서 양송이버섯 시장은 농가수가 감소하는 등 큰 영향을 받았으나 양송이버섯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특히,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감소로 시장으로 공급되는 양이 수요량보다 부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나. 양송이버섯의 생산량이 감소한 원인으로는 농가경영여건의 악화, 수량보다는 품질에 중점을 둔 재배방식의 변화, 중국산 양송이버섯의 수입, 기후변화로 인한 재배환경 변화, 재배시설의 노후화, 양송이버섯 재배용 국산설비의 개발이 부진하였던 것을 뽑을 수 있다. 특히, 양송이버섯 재배용 배지의 원재료의 품질이 우수하지 못하며, 선진국에 비해 배지의 생산기술이 떨어지지만, 1980년대 이후 정착된 불안정한 한국형 배지생산 시스템으로 인해 양송이버섯 배지의 품질이 낮아진 것이 국내 및 경북지역의 양송이버섯 생산량 감소에 주요 원인 중 한가지로 작용하였다.

보릿가루가 첨가된 침엽수 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 (Cultiv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Using Coniferous Sawdust-based Media with Barley Flours)

  • 박현;이봉훈;오득실;가강현;박원철;이학주
    • 임산에너지
    • /
    • 24권2호
    • /
    • pp.31-36
    • /
    • 2005
  • 꽃송이버섯은 $1,3-{\beta}-D-glucan$의 함량이 다른 버섯에 비하여 훨씬 높은 식용버섯이다. 이 버섯은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가 큰 식용버섯으로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일본과 한국에서 재배하고 있다. 하지만, 쉽게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이 알려지지 않고 일부 기업이 특허권의 범주 내에서 재배를 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간단한 공정으로 꽃송이 버섯을 재배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낙엽송, 소나무, 잣나무의 톱밥을 이용하여 보릿가루와 설탕을 80:20:3의 중량 비율로 섞은 후 수분함량을 65% 내외로 맞춘 병배지에서 꽃송이버섯을 생산할 수 있었다. 톱밥 종류 및 균주에 따라서 자실체 생산성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650g의 배지에서 최고 177g(수율 27%)를 수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용적인 꽃송이버섯 재배방법으로 이 배지를 적극 추천한다. 단,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보릿가루의 적정 농도와 톱밥종류에 맞는 균주의 선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PDF

버섯 재배용 배지 재료로 수입한 농업부산물에서 중금속, 잔류농약, 영양성분 조사 (Investigation of Heavy Metals, Residual Pesticides and Nutrient Component from Agricultural By-products Imported as Medium Substrates for Mushroom Cultivation)

  • 김준영;이근식;이찬중;김성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7-221
    • /
    • 2017
  • BACKGROUND: For the food safety of cultivated mushroom, information on the safety of agricultural by-products imported as medium substrates for mushroom cultivation is urgently needed.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ct the presence of heavy metals, residual pesticides, and nutrient component in the imported medium substrates. METHODS AND RESULTS: Six kinds of medium substrates imported from nine countries from 2015 to 2017 were investigated. A mercury analyzer MA-2000 and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OPTIMA 7000DV were used to analyze mercury, lead, arsenic, copper, nickel and cadmium. All of these heavy metals were detected at lower level than heavy metal tolerance standard level of by-product fertilizer in Korea. When 246 kinds of residual pesticides were examined by GC and HPLC, imidacloprid, thiamethoxam and carbendazim were detected from Egyptian beet pulp, Indian cottonseed meal and cottonseed hull, respectively. The content of nutrient components (water, crude ash, crude fat, crude protein and crude fiber) varied among imported countries and the medium substrates. CONCLUSION:The presence of heavy metals and residual pesticides in imported medium substrates for mushroom cultivation was confirmed. For the safe production of mushroom, this study shows that imported medium materials for mushroom cultivation need to be managed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버섯 병재배를 위한 배지조성물의 종합관리 모델 (Comprehensive model formedium composition for mushroom bottle cultivation)

  • 정종천;이찬중;문지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1-118
    • /
    • 2016
  • 버섯 병 재배용 배지는 재료의 혼합, 수분조절, 입병, 살균, 냉각의 작업과정을 거쳐 조성된다. 배지조성은 버섯종류별로 알맞은 재료의 선택, 수분함량, 병당 입병량, 가비중, 질소량, 병내 배지의 3상조건 등을 매일 입병 작업하는 과정에서 연중 일정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배지조성에 관하여 단편적으로 개발한 기술들을 작업과정에 맞추어서 종합적으로 투입하는 모델을 설정하였다. 배지조성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4계절을 통한 버섯 재배에서 균 배양기간, 재배기간, 수량 및 품질에 기복이 많았던 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ultivation and Nutritional Value of Prominent Pleurotus spp.: An Overview

  • Raman, Jegadeesh;Jang, Kab-Yeul;Oh, Youn-Lee;Oh, Minji;Im, Ji-Hoon;Lakshmanan, Hariprasath;Sabaratnam, Vikineswary
    • Mycobiology
    • /
    • 제49권1호
    • /
    • pp.1-14
    • /
    • 2021
  • Pleurotus species are commercially essential mushrooms and widely cultivated throughout the world. The production of Pleurotus mushrooms alone accounts for around 25% of that total cultivated mushrooms globally. In America and Europe, Pleurotus species are considered specialty mushrooms, whereas, in Korea, their cultivation is economically profitable, and it is one of the highly consumed species. Pleurotus species are predominantly found in tropical forests and often grow on fallen branches, dead and decaying tree stumps, and wet logs. Biographica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leurotus genus is among the more conspicuous fungi that induce wood decay in terrestrial ecosystems worldwide due to its formidable lignin-modifying enzymes, including laccase and versatile peroxidases. Pleurotus species can be grown easily due to their fast colonization nature on diversified agro-substrates and their biological efficiency 100%. Pleurotus mushrooms are rich in proteins, dietary fiber, essential amino acids, carbohydrates, water-soluble vitamins, and minerals. These mushrooms are abundant in functional bioactive molecules, though to influence health. Pleurotus mushrooms are finding unique applications as flavoring, aroma, and excellent preservation quality. Apart from its unique applications, Pleurotus mushrooms have a unique status delicacy with high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s. The present review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cultivation of Pleurotus spp. using different agro-waste as growth substances paying attention to their effects on the growth and chemical composition.

공기순환 방법이 느타리버섯 재배사 공기균일도 및 버섯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r-circulation Ways on Air Uniformity and Mushroom Quality in a Cultivation Facility for Oyster Mushroom)

  • 염성현;박혜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7-137
    • /
    • 2022
  • 느타리 균상 패널재배사에 상향과 하향 등 양방향으로 바람 토출이 가능한 정역 제어 대류팬(시험구)과 상향으로만 바람을 토출하는 관행 유동팬(대조구)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내부환경과 버섯품질을 조사하였다. 재배 주기별 첫 수확 2일 전의 기온과 상대습도 편차를 조사한 결과, 시험구(1주기: 1.0-1.3℃와 7.8-9.0%, 2주기: 0.7-1.1℃와 10.0-11.4%)가 대조구(1주기: 5.8-6.4℃와 21.3-23.1%, 2주기: 3.4-5.7℃와 14.6-18.3%)보다 공기 균일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품질의 경우 재배 주기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배지 세력이 큰 1주기에서는 정역 제어 대류팬을 적용시킨 경우가 관행 유동팬 적용에서보다 버섯품질이 다소 우수하였으나 배지 세력이 다소 약해진 2주기에서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주기에서 공기 균일도가 향상되었음에도 버섯품질이 다소 떨어진 것은 하향으로의 바람이 버섯 생육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균상 재배단 내측과 외측에서의 풍속 계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정역 제어 대류팬의 운영 매뉴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